안녕하십니까?
인천테크노파크 원장 이주호입니다.
존경하는 이명규 위원장님을 비롯한 산업경제위원회 여러 위원님들을 모시고 인천테크노파크 주요사업에 대한 업무보고를 드리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업무보고에 앞서 주요 간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한재길 미래산업추진단장입니다.
이춘섭 기업지원단장입니다.
김문식 일자리사업단장입니다.
이완석 디자인사업단장입니다.
김근식 디지털SW사업단장입니다.
정승수 벤처창업사업단장입니다.
임동해 경영지원단장입니다.
이진욱 안전윤리실장 직무대행입니다.
(간부 인사)
이상 간부소개를 마치고 배부해 드린 보고서를 중심으로 업무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보고는 일반현황, ’22년도 행정사무감사 지적사항 처리결과, 주요업무 추진실적 및 계획순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4쪽입니다.
기구는 2실 7단 29개 부서로 인력은 10월 20일 기준 정원 223명에 현원 209명이며 계약직 122명과 임금피크제에 따른 별도 정원 5명을 포함하면 총 현원은 336명입니다.
’23년도 예산은 1차 추경 기준 총 3051억원 규모입니다.
5쪽부터 12쪽까지 위원회와 간부현황, 부서별 사무분장은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15쪽 ’22년 행정사무감사 지적사항 처리결과입니다.
지적사항은 총 7건으로 시정요구 1건, 처리요구 3건, 건의 3건이며 현재 모든 조치사항이 종결된 상태입니다.
16쪽입니다.
시의회와의 소통 철저입니다.
기관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중요사항 또는 현안사항에 대하여 산업경제위원회 대상 수시보고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였습니다.
앞으로도 기관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사항에 대해 위원회의 효율적 업무감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소관부서별 수시보고 등의 보고체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운영하겠습니다.
17쪽입니다.
테크노파크 장비관리 철저입니다.
지적사항과 관련 우리 TP가 보유한 각종 장비에 대한 세부내역 및 관리규정을 산업경제위원회에 보고드렸으며 주요장비에 대한 유지관리, 임대관리, 불용처리 등에 대한 관리매뉴얼 제작 및 프로세스를 확립하여 해당 장비 운용부서별 배치 등 조치를 완료하였습니다.
앞으로 매뉴얼을 바탕으로 한 장비관리체계를 보다 더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18쪽 테크노파크의 각종 지원사업의 균형 있는 추진입니다.
저희 TP가 지원하는 각종 지원사업에서 강화 및 옹진군 등 도서지역에 소재해 있는 기업이 소외되지 않도록 인천광역시 기업지원 통합플랫폼인 BizOK 시스템을 활용하여 인천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공고를 시행하고 있으며 아울러 기초지자체 기업지원 관련 부서와의 협업체계 구축으로 디자인 지원사업 내 도서지역 지원 분야를 신설하여 강화ㆍ옹진군 소재 기업만을 위한 지원사업을 신규로 진행 중입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서지역 기업들이 소외되지 않고 각종 지원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9쪽 선임직 이사 구성의 전문성 강화입니다.
우리 TP의 이사회는 당연직 이사 일곱 분과 선임직 이사 여덟 분, 선임직 감사 두 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선임직 이사 추천기관인 중소벤처기업부 및 인천시를 대상으로 TP 주요사업과 연계된 전문성 있는 선임직 이사를 추천해 달라는 협조를 구해 올 3월 이사회에서 지역경제협회 임원 및 대학교수 등 전문성이 확보된 신규 선임직을 이사로 선임 완료하였습니다.
20쪽 남동공단 뷰티거리 조성사업과 협업방안 모색입니다.
인천관광공사가 추진하는 다양한 의료웰니스 사업과 연계하여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으며 K-뷰티클러스터 등 보건복지부 공모 시 협업방안을 모색하였습니다.
지속적인 협업체계 운영을 통해 연계가능한 공모사업 등을 발굴하고 유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1쪽 스마트공장 도입 관련입니다.
스마트공장 보급 이후 성과 제고 및 확산을 목적으로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실태점검 및 성과조사를 매년 실시하여 기업들이 필요한 연계분야 및 지원수요를 적극 파악하고 이를 지원해 줄 수 있도록 지속적 관리ㆍ지원체계를 운영 중입니다.
아울러 동일업종 및 협업기업 중심으로 연계 지원체계 확립을 위하여 중기부 공모사업인 디지털클러스터 지원사업 관련 기획기관으로 선정되어 뷰티 분야 10개사를 선정하여 지원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22쪽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강화 필요입니다.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환경 조성을 위하여 일자리 지원사업 내에 근로환경 개선 지원사업을 반영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청년근로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휴게실 및 화장실 등의 시설 개보수와 작업공간 내 냉난방 지원을 위한 공조기 등 물품 구입비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청년근로자의 근속률 분석 및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보다 사업규모를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상으로 행정사무감사 지적사항 처리결과에 대한 보고를 마치고 다음은 23쪽 ’23년 주요업무 추진실적 및 ’24년 추진계획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27쪽 미래산업 육성 분야 인천 파브(PAV)산업 육성입니다.
인천에 파브산업 육성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관련 기업조사 및 발굴, 파브용 부품 개발지원과 개발된 부품의 시험 및 인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인천의 미래산업으로서 파브산업이 보다 성장할 수 있도록 상용화 기반 구축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29쪽 미래자동차 부품기업 육성입니다.
인천 자동차 부품기업의 미래차 기술전환과 성장기반 확충을 위하여 R&D 지원 및 기술전환 촉진, 관련된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내년에도 인천 자동차 부품기업의 생산성 촉진과 미래차 전환을 위한 성장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1쪽 로봇랜드 로봇산업진흥시설 운영입니다.
청라에 위치한 로봇타워 및 로봇연구소 시설의 안정적 관리와 입주기업 유치 및 성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현재 61개사가 입주해 있으며 입주기업 근로자의 편익 증진을 위하여 출퇴근 지원을 위한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입주환경을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중대재해 예방을 위하여 시설물 안전관리와 유지보수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3쪽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원입니다.
로봇 분야 스타트업과 스타기업 육성을 위하여 사업화 지원 및 특화로봇 실증 등을 추진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부평역지하상가 내 배송로봇 등에 대한 실증을 통해 로봇기업들의 다양한 서비스모델과 기술력에 대한 실증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로봇산업의 성장도모를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과 로봇문화 확산을 위한 꿈나무 프로그램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35쪽 바이오헬스케어 제품개발 지원입니다.
바이오헬스케어 제품 관련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공정개발, 시제품 제조,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총 14개사를 선정하여 지원하였습니다.
내년에는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지원사업으로 통합되어 보다 실효성 있는 사업이 될 수 있도록 기획할 예정입니다.
37쪽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 구축입니다.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를 구축하여 바이오산업 현장실무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는 사업으로 GMP 기준 충족 등에 따른 건축비 증액 문제 등으로 사업이 일부 지연되었으나 경제청 등 관련 기관과의 조속한 협의를 통해 센터가 조기에 개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9쪽 수소충전소 구축입니다.
현재 남동구와 중구 등 2곳에 수소충전소 구축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공사는 모두 완료되었으며 현재 안전검사 등 운영허가를 위한 제반활동을 추진 중입니다.
내년에는 구축시설물 및 운영사무를 민간운영사에 이양하는 이관작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41쪽 인천 연구개발 활성화입니다.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역량 강화를 위하여 부설연구조직의 설립 및 국가 R&D사업 유치를 위한 제반사항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올해에도 중소기업 부설연구소 설립지원 30건, 국가 R&D 공모과제 대응자금 지원 2건, 국가 R&D사업 유치를 위한 연구회 지원 1건 등의 실적을 창출하였습니다.
내년에도 중소ㆍ중견기업의 연구개발을 전 주기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45쪽 기업성장 지원 분야의 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사업입니다.
지역 내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이 있는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경영안정자금 총 2681개사에 1조 3300억원을 지원하고 구조고도화자금은 총 57개사에 348억원 규모를 지원하였습니다.
’24년도에도 유연하고 신속한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자금과 대외환경 변화에 따른 위기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47쪽 스마트공장 보급입니다.
인천 중소ㆍ중견 제조기업에 스마트공장 보급과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총 70개사를 선정,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사전컨설팅 지원 25개사와 원활한 스마트공장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실무자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내년에는 스마트공장의 양적 보급보다 질적 성장을 위해 도입기업의 사후관리에 집중하여 인천 제조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49쪽 해외수출상담회 운영입니다.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개척과 수출초보기업의 수출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현재기준 133개 업체를 지원하여 총 23건 27만 불 규모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내년에는 수출기업의 수요대응을 위하여 멕시코, 폴란드 등 신규시장을 개척하고 사업 운영방식의 고도화와 사후관리 강화를 통해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보다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51쪽 뷰티도시 조성입니다.
성장잠재력이 높은 뷰티기업을 발굴, 맞춤형 지원 및 국내외 판로개척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3년에는 인천 소재 뷰티기업 95개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판로 개척지원을 통해 현재 기준 총 12건 16만 불 규모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우리 인천 뷰티기업들이 더욱더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53쪽 일자리 지원 분야입니다.
55쪽 인천 일자리센터 운영입니다.
일자리 상담 및 정보제공 등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구인기업과 구직자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10월 20일 기준 4230명의 취업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취업률 제고를 위하여 노력하겠습니다.
57쪽 신중년아지트 조성 및 운영입니다.
만 50세에서 69세까지의 신중년들의 여가ㆍ문화ㆍ교류의 장을 제공하고 전문프로그램을 통해 퇴직 후 재취업 및 사회 재참여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입니다.
올해 7월 제물포스마트타운 1층에 개소하였으며 10월 20일 기준으로 571명의 이용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신중년 특화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발굴ㆍ운영토록 하겠습니다.
59쪽 정년퇴직자 고용연장 중소기업 지원은 정년퇴직한 신중년의 고용안정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대상자 313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61쪽 인천 청년공간 유유기지 운영입니다.
청년들을 위한 쉼과 교류의 공간을 조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청년들의 사회 참여유도 및 청년활동 지원을 위한 전문가 멘토링, 특강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입니다.
10월 20일 기준 약 2만 명이 방문하였으며 7개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3591명을 지원하였습니다.
63쪽 고용안정 선제대응패키지 사업입니다.
인천 뿌리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고용창출 선순환구조 확립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뿌리기업 취업알선, 뿌리기업 채용장려금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10월 20일 기준 고용창출 622명, 기업지원 61개사를 달성하였습니다.
65쪽 디자인 지원 분야입니다.
67쪽 중소기업 디자인개발은 중소기업의 디자인개발을 지원하여 신제품 개발을 활성화하는 사업으로 디자인 및 시제품 개발지원 120건, 마케팅 연계지원 60건을 지원하였습니다.
69쪽 산업시설 환경개선입니다.
노후산업단지에 디자인을 활용한 시민친화형 공간을 조성하고 근로환경 개선 등을 목표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현재 남동산단, 부평ㆍ주안산단, 검단산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내년에도 좋은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71쪽 디지털SW산업 육성입니다.
73쪽 SW융합클러스터 2.0은 데이터ㆍ네트워크ㆍAI 기반의 신제품, 신서비스 발굴과 SW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지역 내 SW융합기업의 혁신성장 기반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올해는 5개년 사업의 마지막 연차로서 그간 추진성과에 대한 분석과 성과 활용방안을 적극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75쪽 AI Playground 인천 조성입니다.
지역 특화산업과 AI기술을 융합, AI 혁신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개인정보위원회의 공모사업인 가명정보활용지원센터를 유치하여 7월에 개소하였습니다.
AI 실증사업화 지원 5개사 등 실적을 창출했으며 앞으로도 원활한 센터 운영 및 관련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AI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77쪽 블록체인허브도시 인천 조성입니다.
지역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인프라를 조성하고 관련 인력양성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입니다.
올해에는 도화동 JST 건물 내에 인천시 블록체인허브센터를 개소하였으며 블록체인 관련 포럼 개최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내년에는 정부가 공모하는 블록체인기술혁신지원센터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79쪽 인천콘텐츠기업지원센터 운영입니다.
우수한 콘텐츠 스타트업 발굴 및 유치, 지역 콘텐츠산업의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현재 33개사가 입주해 있으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콘텐츠 개발 및 역량 강화 등 다양한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81쪽 인천콘텐츠코리아랩 운영은 융합콘텐츠 창작자 육성, 콘텐츠 스타트업 발굴과 우수 콘텐츠의 사업화를 지원하고 사업전용공간인 틈 문화창작지대를 활용하여 시민의 문화콘텐츠 향유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83쪽 인천 VRㆍAR 제작거점센터입니다.
가상ㆍ증강현실 기술과 지역 특화산업을 연계하는 사업으로 VRㆍAR 융합 메타버스 콘텐츠 개발 20개사를 지원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지역 콘텐츠산업의 혁신을 주도하는 성장거점으로 육성해 나가겠습니다.
다음은 85쪽 벤처창업 지원 분야입니다.
87쪽 인천스타트업파크 운영입니다.
스타트업, 투자자, 기업, 대학, 지원기관 등이 상호 소통ㆍ교류하며 성장을 도모하는 혁신창업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4개 분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총 261개사의 스타트업을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다양한 지원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혁신스타트업 육성과 함께 인스타Ⅲ 조성을 위한 설계 및 공사 등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90쪽 창업도약패키지입니다.
도약단계에 접어든 3년 이상 7년 이내 창업기업의 데스밸리 극복을 위해 필요한 자금과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올해는 창업도약기업 18개사의 선정을 완료하였으며 내년 4월까지 시행하게 됩니다.
사업화에 필요한 시제품 제작, 컨설팅, 마케팅 등에 총 26억원 규모의 사업화자금을 지원하고 경영진단, 투자유치 등 7개의 특화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지원할 계획입니다.
92쪽 글로벌 스케일업 캠퍼스는 글로벌대학 및 국내외 액셀러레이터와 협력,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유망스타트업,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제품과 서비스 현지화, 해외시장 검증, 글로벌파트너 발굴ㆍ매칭 등을 통해 기업들의 스케일업 및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94쪽 IoT 테스트필드 조성사업입니다.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사회간접자본을 활용하여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의 서비스모델과 제품을 실증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올해에는 인천항만공사와 협업을 통해 인천연안여객터미널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폴 및 CCTV, 통신망 등을 구축하였으며 ’24년도부터는 기업들에게 실증지원을 위한 자원으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내년에도 기업들의 수요에 맞는 실증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주요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보 고)
ㆍ(재)인천테크노파크 주요업무보고서
(부록으로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