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 윤재석입니다.
2024년도 경제산업본부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1쪽 예산안 규모는 배부해 드린 자료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3쪽 하단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총 2435억 6471만 1000원으로 예산안 118쪽 소상공인정책과 주요 증감사업으로 국고보조금 수입으로 상권르네상스사업 19억 6100만원, 인천사랑상품권 전용통장 이자수입이 3억 8878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소상공인정책과 지역사랑상품권 예수금 수입 446억원 감액으로 사업 추진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 검토하고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됩니다.
5쪽 예산안 119쪽에서 121쪽까지 농축산과 주요 증감사업으로 정부양곡관리비 사업 등 31개 사업에 대하여 국고보조금 수입으로 전년 대비 17억 8228만원을 증액한 253억 4180만원을 편성하였고 기본형 공익직불금 사업 등 21개 사업에 대하여 정부기금 수입으로 전년 대비 18억 1254만원을 증액한 367억 1024만원이 증액되었습니다.
기타특별회계 세입예산은 232억 8088만 7000원으로 6쪽 예산안 1455쪽에서 1457쪽까지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입은 소상공인정책과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 일반회계 전입금, 정부기금 등으로 편성요구하였습니다.
소상공인정책과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은 전통시장 주차환경 개선사업과 주차환경 개선사업에 투입될 재원을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으로 지원받는 사항인데 전년 대비 98억 8000만원 감액된바 사업 추진에 문제가 없는지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세출예산 보고드립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총 4181억 7019만 4000원으로 예산안 762쪽에서 768쪽까지 주요사업으로 신중년 아지트 운영 2억 8000만원, 착한가격업소 인센티브 지원 2억 15만원을 신규편성하였는데 사업내용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7쪽 예산안 762쪽에서 768쪽까지 주요 증감사업으로 은퇴 및 퇴직 신중년의 전문성을 공익사업에 활용하고자 하는 신중년 경력형 사업은 전년 대비 68.8% 감액한 2억 2235만원을 편성하였는데 사업 추진에 문제점이 없는지 설명이 필요합니다.
소상공인정책과 예산안 769쪽에서 773쪽까지 주요 신규사업으로 전통시장 화재공제 가입지원은 전통시장 화재사고 대비 신속한 복구와 보상지원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인데, 수혜대상 전통시장 점포의 선정과 사고발생 시 보상수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고 소상공인 원금상환 유예 보증료 지원은 인천신용보증재단 보증잔액 중 보증사고가 우려되는 소상공인에 대한 원금상환을 유예시켜주는 사업으로 보이는데 대상 소상공인의 선정기준과 원금상환 유예기간 등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주요 증감액사업으로 인천신용보증재단 보증재원 출연, 인천신용보증재단 특례보증재원 출연, 인천신용보증재단 특례보증에 대한 이차보전금,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사업이 30% 이상 감액편성 요구하였습니다.
경기 침체로 세수 확보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우리 시 민생경제와 직결되는 사업으로 향후 서민경제 안정화를 위한 보완책이 강구된다고 사료됩니다.
9쪽 또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사업의 경우 각 기금으로부터 예수금을 받아 운영되어지고 있는데 2024년 예산안에 시ㆍ도지역개발기금 예수금으로 1054억원을 세입편성하였고 세출에서는 예수금 원리금 상환비용으로 337억 2539만원을 세출로 편성하였는데 재정적 부담은 없는지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그 외에도 주요 증액사업으로 상권르네상스사업 지원사업은 공모절차를 통해 부평 원도심 상권과 중구 개항희망문화 상권지역이 선정되었는데 사업내용ㆍ효과ㆍ기간ㆍ규모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공정사회경제과 예산안 774쪽~778쪽 주요 신규사업으로 전국적 박람회 개최로 인천 사회적경제 활성화 계기를 마련하고자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개최사업비 13억원을 편성요구하였습니다.
총사업비 13억원 중 시비 6억원을 편성하였는데 국비가 아직 미편성된 사항으로 사업 추진이 불투명해 보이는데 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주요 감액사업으로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비 지원사업은 전년 대비 31억 2750만원, 마을기업 육성사업은 전년 대비 1억 9500만원, 국고보조금 교부계획에 의거 30% 이상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노동정책과 예산안 777쪽에서 783쪽 주요 신규사업으로 이동노동자의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휴식공간 설치를 위해 이동노동자 간이쉼터 설치사업 1억 2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1쪽 하단 농축산과는 전년 대비 11.9% 증가한 1792억 778만 3000원으로 주요 신규사업과 주요 증액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산안 784쪽에서 810쪽까지 주요 신규사업으로 대학생 대상 아침밥 먹는 문화 확산 및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인천형 천원의 아침밥 지원사업에 2억 7018만원, 농어업인 공익수당으로 68억 4100만원, 유기동물입양센터 설치지원으로 3억 3990만원을 신규사업으로 편성요구하였습니다.
인천형 천원의 아침밥 지원사업은 2023년 추경에 예산편성이 처음으로 되었는데 대학생들의 호응도나 사업성과에 대해 설명이 필요하고 농어업인 공익수당 사업은 지원대상 규모와 지원액, 사업비 관련 군ㆍ구 협의는 마무리되었는지 여부, 유기동물입양센터 설치지원 사업은 사업 추진 목적, 필요성, 효과, 민원발생 소지는 없는지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주요 증감내역으로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 벼 생산면적 조정으로 밭작물 자급률 제고를 위한 전략작물 직접지불사업, 일반원예시설 현대화를 위한 시설원예 현대화사업 등 증액하였고 도시텃밭 조성, 고품질쌀육성단지 조성지원 등 감액하였습니다.
13쪽 하단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는 전년 대비 11.2% 증가한 84억 5336만 9000원으로 주요 신규사업과 주요 증액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산안 910쪽에서 914쪽까지 주요 신규사업으로 남촌농산물도매시장 지하주차장 및 환경동 진입로 차양 구매ㆍ설치로 3억 1500만원을 편성요구하였습니다.
본 사업 추진으로 주요 시설인 지하주차장과 환경동 비ㆍ눈 유입에 따른 여름철 배수 문제 등 겨울철 차량 미끄러짐 사고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 밖에 경제산업본부 2023년 대비 전액 삭감사업으로 경제정책과 중소기업 근로자기숙사 임차료 지원사업, 행정절차 등 이행, 공정사회경제과 사회적기업 사업개발비 지원사업, 사회적기업 사회보험료 지원, 사회적기업 지역특화사업, 사회적기업 지역특화사업(지원), 농축산과 강화 고려인삼축제 지원, 고추건조기 지원 영농편의 수리시설 개보수사업, 축산물 해썹 컨설팅 지원사업이 전액 삭감되었습니다.
15쪽 특히 사회적기업 관련 예산의 전액 삭감이 두드러지는바 사회적 약자에 대한 특별한 보호가 더욱 필요한 시점에서 문제는 없는지 설명이 필요합니다.
기타특별회계 사업을 보고드립니다.
예산안 1444쪽 지하도상가특별회계 주요 증감사업으로 소상공인정책과 지하도상가 위탁관리비 전년도 대비 63.1% 증액한 68억 1546만 8000원, 예비비 전년 대비 97.6% 감액한 4113만 4000원, 입점관리인들의 관리비 일부를 지원하는 민간위탁금 전년 대비 9.2% 증액한 14억 2000만원을 편성 요구하였습니다.
16쪽 다만 지하도상가 시설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지하도상가 위탁관리비의 경우 경상적 경비로 보이는데 40% 가까이 증액한 사유에 대해 설명이 필요합니다.
예산안 1473쪽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주요 증감사업으로 소상공인정책과 전통시장 경영현대화를 위한 디지털 전통시장 육성사업으로 전년 대비 90% 증액한 9500만원, 전통시장 주차환경 개선을 위한 주차환경 개선사업으로 전년 대비 57.5% 감액한 96억 4630만원이 편성되었습니다.
17쪽 계속비사업으로 예산안 1504쪽 검단ㆍ가좌 복합문화센터 건립 2개 사업이 연도별 지출액 반영하여 변경되었고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은 신규로 편성된바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에 대한 중기지방재정계획 반영, 투자심사 등 사전절차 이행 여부 설명이 필요합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배부해 드린 자료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보고를 마칩니다.
<참 조>
ㆍ2024년도 경제산업본부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예산안 검토보고서
(부록으로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