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 유한경입니다.
2020년도 인천광역시여성가족재단 출연 동의안과 2020년도 여성가족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검토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먼저 출연 동의안입니다.
배부해 드린 보고서 2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인천광역시장으로부터 제출된 본 동의안은 2020년도 인천광역시 세출예산에 인천여성가족재단의 출연금을 반영하고자 지방재정법 제18조제3항에 따라 인천시의회의 동의를 받고자 제출된 안건입니다.
여성가족재단은 지방자치단체 출자ㆍ출연 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과 인천광역시 여성가족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따라 인천시 출연을 받아 설립ㆍ운영되고 있는 출연기관으로 2012년 11월 설립되었습니다.
조직 및 인력 구성은 1실 2부 4수탁기관으로 정원 65명에 현원 57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2020년도 주요사업으로는 지역맞춤형 여성가족정책 연구개발, 성인지력 향상을 위한 교육 운영, 여성네트워크 구축 및 교류협력사업, 여성 인적자원개발 및 일자리 창출사업과 여성문화회관 운영ㆍ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성별영향분석평가센터, 고령사회대응센터, 광역새일센터, 부평새일센터 등 4개 수탁기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0년 여성가족재단 세입 예산안은 교육수강료, 수영장 운영수입, 시설대관료 사용 등 11억 9390만 6000원을 편성하였고 세출예산은 인력운영비 및 기본경비 등 재단운영비 32억 2437만 6000원, 노후 보일러 교체비용 등 재산조성비 2억 768만 4000원, 평생교육ㆍ수영장 운영 등 교육사업비 7억 2602만 1000원, 정책연구개발비 3억 482만 8000원, 예비비 500만원 등 총 44억 6790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재단운영비는 기본급 3.2% 인상, 육아휴직 대체인력 채용, 성과급 증액, 정액급식비 및 명절휴가비를 신설하는 등 전년 대비 2억 2929만 8000원을 증액하였고 재산조성비는 노후보일러 교체공사, 전기설비 교체, 노후 전산시스템 서버 교체 등으로 1억 41만 6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정책연구비는 연구과제 조정에 따라 4725만 2000원이 감액되었고 교육사업비는 청사시설 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평생교육 프로그램 사업비 등 3억 5127만 1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여성가족재단의 총 세출예산 44억 6790만 9000원 중 자체수입 11억 9390만 6000원을 제외한 32억 7400만 3000원을 출연하고자 하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첨부해 드린 자료는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세입ㆍ세출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검토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보고서 1페이지입니다.
먼저 예산안의 총괄 규모를 말씀드리겠습니다.
2020년도 여성가족국 소관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세입예산 총괄 규모는 6936억 6499만 9000원으로 전년 대비 7.28%인 470억 5122만 8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세출은 9779억 1849만 2000원으로 전년도 대비 8.75%인 786억 3511만 2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2페이지 일반회계 총괄입니다.
일반회계 세입은 6932억 1697만원으로 전년 대비 7.25%인 468억 4149만 8000원이 증가하였고 세출은 9761억 7046만 3000원으로 전년도 대비 8.59%인 772억 2538만 2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3페이지입니다.
2020년도 인천광역시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총규모는 8조 666억 2103만 7000원으로 전년 대비 약 12.39%인 8891억 9376만 5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사회복지예산은 3조 2075억 6886만 3000원으로 인천시 일반회계 예산의 39.76%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성가족국 예산은 9761억 7046만 3000원으로 사회복지예산의 30.4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인천광역시 일반회계 세출의 기능별 분류에 따르면 사회복지예산이 전년 대비 15.65% 증가한 3조 2075억 6886만 3000원으로 기초생활보장 분야 17.17%, 취약계층지원 분야 20.56%, 보육ㆍ여성ㆍ가족 분야 8.03%, 노인ㆍ청소년 분야 23.22%가 증가하였고 보훈 분야는 1.5%가 감소하였습니다.
다음에 4페이지 세입입니다.
일반회계 세입은 세외수입 246억 732만 1000원을 제외하면 83.15%가 국고보조금, 균특보조금, 기금 등으로 의존재원이 대부분이고 보전수입 및 내부거래는 1143억 1775만원으로 전체 세입의 16.4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5페이지부터 6페이지, 7페이지는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8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세출에 대한 검토의견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세출예산 중 자체재원은 3997억 3856만 4000원으로 40.9%를 차지하고 의존재원은 5764억 3189만 9000원으로 5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0년 여성가족국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개선, 인천아이사랑꿈터 설치 운영, 혁신육아복합센터 건립 등 인천시 자체 추진사업과 보육지원체계, 생활SOC 추진사업 등 중앙부처 정책사업의 확대ㆍ개편에 따른 예산을 중점적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은 인건비 수준이 열악한 종사자에 대한 임금격차를 해소ㆍ완화하기 위해 인건비 기준이 없는 지역아동센터, 아동그룹홈, 학대피해아동쉼터, 여성권익시설 등 210개소 534명에 대한 호봉제 임금테이블을 마련하고 종합건강검진비, 상해보험료 등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한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0페이지입니다.
보육지원체계 개편은 맞춤형보육 시행 3년 만에 보육지원체계를 전면적으로 개편하여 기본보육시간과 연장보육시간으로 구분하고 각 보육시간대별로 전담 보육교사를 배치하도록 하여 부모들이 늦은 시간에도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보육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되고 시간대별 전담교사를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처우도 개선될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다만 보건복지부가 2020년 3월부터 전자출결시스템을 통해 아동의 출결여부와 이용시간을 확인하여 연장보육료를 지원할 계획으로 개편된 보육지원체계가 원활하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전체 어린이집에 전자출결시스템의 설치와 연장보육 전담교사의 충원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므로 보육 현장에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에 대한 사전준비에 철저를 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 혁신육아모델 개발은 그동안 인천시가 TF팀을 구성하여 아이사랑꿈터라는 우리 시 실정에 맞는 혁신육아모델을 개발하였고 2023년까지 100개소를 설치하여 운영할 예정입니다.
아이사랑꿈터는 공동육아ㆍ공동돌봄에 초점을 둔 육아정책으로서 부모자조모임, 가정육아 활성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전문가 상담이나 육아정보도 제공할 계획으로 2020년에는 30개소를 설치할 계획에 있습니다.
또한 육아정책의 기조 변화에 따라 공공산후조리원과 육아종합지원센터, 유아전용수영장, 도서관, 실내놀이터 등 다양한 시설이 포함된 출산ㆍ육아 다기능 혁신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천시의 혁신육아 정책사업들이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초기 시행단계부터 사업계획을 철저히 세워 역점사업이 신속하고 내실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부서별 세출예산입니다.
먼저 여성정책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여성정책과는 청년지역 양성평등 네트워크, 폭력피해이주여성상담소 운영, 성폭력피해자 자립지원 공동생활가정 운영 등 국비매칭 신규사업 3건과 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여성안심 지킴이집, 여성친화도시 광역협의체 운영 등 자체 신규사업 3건 등 6개의 신규사업과 여성가족재단 출연금, 가정폭력상담소 운영 등 국비 보조금과 매칭시비 증액으로 전년 대비 23.79%인 28억 6530만 1000원이 증액된 149억 816만 9000원이 편성되었습니다.
다음 13페이지 보육정책과입니다.
보육정책과는 대체교사 지원, 전자출결시스템 장비비 지원 등 국비 신규사업 2건을 편성하였고 시비사업으로 혁신육아복합센터 건립, 어린이집 회계시스템 도입, 장애아 자연체험 학습지원비 등 3개 사업을 신규로 편성하였습니다.
그 밖에 보육교직원 인건비, 보육교직원 처우개선, 만 3~5세 누리과정, 영유아보육료, 어린이집 확충 등 국비와 매칭시비의 증액으로 전년 대비 256억 2724만 8000원이 증액된 6170억 6102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4페이지 육아지원과입니다.
육아지원과는 아이사랑꿈터 설치와 연계추진 프로그램 사업비 등 7개 신규사업과 아이돌봄사업 운영, 난임시술비 지원사업 등 국비 보조금 및 매칭시비의 증액으로 전년 대비 15.79%인 63억 5114만 6000원이 증액된 465억 7533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친출산 환경조성 정책사업은 출생아 수 감소로 I-MOM 출산 축하지원금 9억 3800만원을 감액하는 등 전년 대비 0.46%가 감소한 198억 9409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혁신육아 지원사업은 인천아이사랑꿈터 설치 운영 14억 5963만원, 광역가정육아활성화지원센터 운영 1억 7880만원, 가정육아 활성화 프로그램 보급사업 2억 3000만원, 주말 부모 자녀 참여 프로그램 운영 7000만원, 부모자조모임 구축 및 네트워크 사업 3000만원, 도담도담장난감 교재ㆍ교구 순회서비스 지원 2160만원 그 다음에 지역가정육아활성화지원센터 운영 4440만원 등 7개 신규사업 예산 20억 2843만원을 편성하였고 아이돌봄사업 운영비 30억 5763만원 등 국비 보조금과 매칭시비의 증액으로 전년 대비 50억 4236만 8000원이 증액된 138억 5642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출산지원 정책사업은 난임시술비 지원 사업비 17억 1165만원, 산모신생아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비 6억 5100만원 등 22억 4745만 8000원이 증액된 128억 428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아동청소년과는 청소년성문화센터 교재ㆍ교구비, 취약계층 이동통합서비스 지원사업 등 국비지원 사업 2건을 신규로 편성하였고 지방청소년활동진흥센터 기능강화사업 1건을 시비보조 사업으로 신규편성하였으며 아동수당, 다함께돌봄센터 설치비ㆍ인건비ㆍ운영비, 아동발달계좌 지원, 중구 청소년수련관 건립비 등 전년 대비 16.92%를 증액한 2442억 8217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가족다문화과입니다.
가족다문화과는 연수구와 옹진군의 생활SOC가족센터 건립사업, 청소년성문화센터 교재ㆍ교구 지원, 미혼모자 복지시설 상담치료 의료지원, 공동생활가정형 주거지원, 찾아가는 결혼이주여성 다이음 사업 등 5개 국비보조 사업을 신규로 편성하였고 한부모 복지시설 세탁건조기 지원, 다문화가족 교류 소통공간 운영, 외국인 지원시설 교육용 노트북 구입 등 3개 사업을 시비보조로 신규편성하였습니다.
그 밖에 한부모가족 자녀양육비 지원, 다문화가족 특화사업 등의 증액으로 전년 대비 18.38%인 60억 299만 5000원이 증액된 386억 5633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8페이지 사업소입니다.
사업소 중 여성복지관은 행정운영경비 4885만 3000원을 감액하는 등 전년 대비 3681만 6000원을 감액편성하였고 여성의광장은 관류보일러 교체, 대강당 휠체어 리프트 설치공사, 피난유도등 교체공사 등 노후시설 환경개선 공사 등 전년 대비 3억 5475만 6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서부여성회관은 노후 교육기자재, 노후 전산장비 교체사업비 4452만원, 공공운영비 1929만원, 도배기능사 교육시설 정비 1145만원 등 전년 대비 9573만 4000원을 증액편성하였으며 아동복지관은 아동보호전문기관 설치사업비 6억원을 증액하는 등 전년 대비 14.32%인 6억 758만 4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9페이지입니다.
신규사업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2020년도 여성가족국은 여성, 영유아, 아동청소년, 외국인, 다문화, 여성인력 양성 및 교육 등 분야별 1억원 이상 사업, 16개 신규사업에 대한 예산 103억 1977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신규사업은 이전 회계연도 본예산에 편성되지 않았다가 해당 연도에 새로 편성되어 최초로 시행되는 사업으로 과거의 집행실적이 존재하지 않고 사업에 대한 검토가 미흡하여 실집행률이 저조하거나 당해연도에 집행되지 못하고 다음연도로 이월될 우려가 있습니다.
신규사업에 대한 계획이 미흡하거나 구체적인 추진계획이 확정되기 전에 예산이 편성될 경우 예산편성의 신뢰성과 객관성이 저하될 수 있는 만큼 예산편성의 타당성 제고를 위해 철저한 사업계획 수립이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복지사업은 계속사업으로 이어져 향후 재정이 지속적으로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사업의 필요성과 타당성, 연내 집행가능성 및 사업효과에 대하여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고 과거에 없던 새로운 사업이 추가된 관계로 수요 등 외부환경에 대한 예측 실패와 각종 공사에 필요한 행정절차의 미이행 등의 사유로 사업 지연이 발생하거나 집행이 부진하지 않도록 철저한 준비가 필요할 것입니다.
사업별 신규사업에 대한 검토의견은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35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보고서 35페이지 주요 증액사업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여성가족국 3억원 이상 주요 증액사업은 18개 사업에 601억 6028만 8000원으로 대상자 확대, 지원기준 변경, 사업의 지방이양, 서비스 보장 강화, 제도 개편ㆍ확대 등에 따라 증액이 되었습니다.
사업별 증액사유를 살펴보면 아동수당 지원대상이 만 6세에서 만 7세로 확대되고 난임시술비 지원대상도 기준 중위소득 130%에서 180%로 변경되는 등 지원대상 및 기준이 변경되었고 연장보육시간에 전담교사를 배치하도록 보육지원체계가 개편됨에 따라 교사 충원에 필요한 보조교사 인건비, 처우개선비 등이 증액되었으며 균특보조금으로 지원하던 청소년수련관 건립사업은 지방이양사업으로 분류되어 국비 지원이 중단됨에 따라 사업비의 일부를 시비로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증액사업의 대부분이 국비보조 사업으로 본예산에 편성해야 할 사업비가 편성되지 못하고 추경에 편성하거나 시나 군ㆍ구의 사전 수요조사 없이 중앙부처의 일방적인 사업량 배정으로 수요보다 과다하게 편성되어 예산이 사장되거나 집행잔액이 발생하는 사례가 없도록 예산편성과 집행과정에 철저를 기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45페이지 주요 감액사업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45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여성가족국 소관 2억원 이상 주요 감액사업은 8개 사업으로 53억 5915만 2000원으로 지원대상자 감소, 추가경정예산안 반영을 전제로 한 일부 예산편성 그 다음에 집행률 저조에 따른 감액, 시책 개편에 따른 기존 사업 종료 등이 주요 감액사유에 해당하고 있습니다.
주요 감액된 사업의 세부 검토의견은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고 49페이지 주민참여예산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49페이지 주민참여예산입니다.
주민참여예산은 지방재정법 제39조와 인천광역시 주민참여예산제 운영 조례에 따라 시민들이 예산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민복지 향상을 도모하고 재정운용의 투명성, 공정성을 증대하여 재정민주주의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이고 인천시는 300억원 범위 내에서 주민참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천시 전체 주민참여예산사업 중 여성가족국 소관 사업은 33건으로 22억 6278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인천시 전체 주민참여예산의 7.54%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주민참여예산사업의 경우 일회성이거나 행사성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다수가 있는데 주민참여예산의 취지에 맞도록 제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이 됩니다.
다음에 50페이지에 특별회계와 52페이지부터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검토보고는 보고서로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20년도 인천광역시여성가족재단 출연 동의안 검토보고서
ㆍ2020년도 여성가족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검토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