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상수도사업본부장 김인수입니다.
지금부터 2024년도 수도사업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배부해 드린 사항별설명서를 토대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사항별설명서 5쪽 예산 총괄표입니다.
2024년도 예산규모는 우측 예산 총계와 같이 총 4344억 2909만원으로 2023년 본예산 3722억 7060만원 대비 16.6%인 621억 5849만원이 증액편성되었습니다.
왼쪽 상단 사업수익은 2023년 본예산 대비 345억 5673만원 증액된 2788억 68만원이며 중앙의 자본수입은 2023년 본예산 대비 276억 175만원 증액된 1556억 284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왼쪽 하단 세출예산입니다.
사업비용은 2023년도 본예산 대비 291억 9789만원이 증액된 2787억 1988만원입니다.
자본적 지출은 본예산 대비 329억 6060만원이 증액된 1557억 920만원입니다.
다음은 세입ㆍ세출 주요 반영사항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사항별설명서 11쪽부터 17쪽까지는 수익적 수입에 관한 것으로 11쪽 영업수익은 요금 현실화에 따른 사용료수익 증가분과 원ㆍ정수 판매수입 증가분 등을 반영하여 전년 대비 340억 4183만원이 증액된 2683억 252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4쪽 영업외수익은 상수도 예금이율 인상에 따른 이자수입 증액과 지방상수도 확대에 따른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급수시설 유지관리비 감액분, 불용품 판매단가 인상에 따른 증액분 등을 반영하여 전년 대비 5억 1489만원이 증액된 104억 754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9쪽 수익적 지출에 관한 사항입니다.
21쪽부터 90쪽까지는 경영관리부 소관사항으로 21쪽 경영관리부 수익적 지출은 전년 대비 63억 5103만원이 증액된 892억 9307만원으로 상수도 직원과 청원경찰 등 기타직, 무기계약근로자 인력운영비와 상수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비, 일반운영비 등 행정운영경비 예산사항입니다.
구체적 반영내용을 보면 24쪽부터 26쪽까지 상수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하늘수 워킹그룹 진행비용과 법정ㆍ전문교육 확대에 따른 증액분을 편성하여 3억 70만원을 편성하였고 30쪽 통합자재관리센터 건립에 따른 자재이관용역비로 2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89쪽 지역개발기금 이자상환액으로 27억 3041만원, 그 외 일반수용비와 공공요금 증액분 등을 반영하였습니다.
91쪽부터 105쪽까지는 수질안전부 소관사항으로 91쪽 풍납 및 팔당계통 원수구입비로 전년 대비 10억 1365만원 감액된 587억 3813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하단의 풍납취수장, 성산ㆍ임학가압장 동력비는 전기요금 인상분을 반영하여 120억 6294만원을 편성, 92쪽 하단의 4개 정수장 동력비로 179억 82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93쪽 하늘수 과학교실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기간제근로자 인건비로 4178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96쪽 옥내급수관 개량지원사업은 경기침체로 신청세대 감소가 예상되어 3억 5000만원 감액편성하였습니다.
100쪽 연구용역비 7000만원 삭감은 5년 주기로 수립하는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학술용역비로 지난 11월 준공하여 환경부에 제출하였습니다.
다음 106쪽부터 115쪽까지는 급수부 소관사항으로 108쪽 수도정비계획 수립 및 상수도관망 기술진단용역비는 계속비사업으로 연차별 집행계획에 따라 전년 대비 19억원 감액편성하였습니다.
하단의 건설사업관리 용역사업은 상수도 공사에 대한 시공단계 감독대행으로 신속한 민원대응과 공사품질을 향상하고자 7억 96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109쪽 소송 패소에 대비하고자 소송배상금은 7억을 증액한 47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16쪽 시설부 소관사항으로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급수시설 지원사업비로 해수담수화시설 제세공과금과 지방상수도 확충에 따른 소규모급수시설 유지비 감액분을 반영하여 전년 대비 1억 3800만원 감액한 29억 6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21쪽부터 132쪽 맑은물연구소 소관예산으로 121쪽 연구용 재료비와 각종 시험장비 유지비, 연구개발비 등 수질관리 강화를 위한 사업비를 전년 대비 3613만원 증액하였으며 8억 933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33쪽부터 147쪽은 수도시설관리소 소관예산으로 135쪽 상수관로 안전점검용역과 북항 해저배관에 설치된 관로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한 용역비로 1억 9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38쪽 누수수리비로 5억 5000만원이 증액된 39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41쪽 교체용 수도미터 구입물량 증가와 역류방지 등 기능 추가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전년 대비 44억 2만원이 증액된 66억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148쪽부터 219쪽까지는 부평정수사업소 등 4개 정수사업소 소관사업으로 먼저 148쪽 부평정수사업소는 5년 주기로 올해 실시한 정밀안전진단과 에너지진단 용역비 5억 4200만원 감액분과 정수 수질관리 강화를 위한 약품비 증액분 등을 반영하여 전년 대비 1억 2564만원이 감액된 48억 114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72쪽 남동정수사업소는 정수장 운영에 따른 각종 수선유지비 증액분 등을 반영하여 38억 7095만원을 편성하였고 188쪽 공촌정수사업소는 정수시설물 수선유지비, 정수 수질관리 약품비 증액분 등을 반영하여 3억 8292만원이 증액된 40억 37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03쪽 수산정수사업소는 정수시설물 노후에 따른 수선유지비, 공공요금 증액분 등을 반영하여 6억 2613만원이 증액된 43억 287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공통사항으로 각 기관별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공정안전관리 연간 컨설팅 용역비 3000만원과 위험성평가 수행용역비 1000만원을 신규편성하고 일반운영비, 공공요금 등 필수경비를 반영하였습니다.
220쪽부터 332쪽까지는 중부수도사업소를 포함한 5개 지역 수도사업소 소관사업 예산으로 주요 편성사항으로 226쪽 중부수도사업소는 누수수리비로 5억 600만원 증액된 24억 7800만원을 편성하고 243쪽 남동부수도사업소는 신설공사비로 북도면 배급수망 구축에 따른 신규수요를 반영하여 12억 5398만원 증액된 26억 9300만원을 편성하였고 270쪽 북부수도사업소는 누수수리비와 블록시스템 분석 및 관리용역비 증액분 등을 반영하여 관망시설 관리 수선유지비를 전년 대비 2억 233만원이 증액된 24억 6533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287쪽 서부수도사업소는 시설물 수선유지 및 블록시스템 관리용역비 증액분 등 전년 대비 3억 9948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312쪽 강화수도사업소는 강화정수장 여과지 정비로 1억 2700만원, 313쪽 길상정수장 약품 투입설비 교체비로 1억 62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이 외의 수도사업소 예산은 기간제근로자 채용인력 증원과 임금 인상에 따른 보수 및 보험료 증액분과 매년 반복적으로 소요되는 시설물 유지비와 일반운영비 등 필수소요경비를 반영하여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33쪽 자본예산입니다.
337쪽 유형자산처분은 인천시 통합보훈회관 건립을 위한 간석동 부지와 인천시 교육청과 활용예정인 청천동 운휴부지 매각수입 등을 반영하여 전년 대비 111억 2756만원이 증액된 134억 293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중간의 시ㆍ도지역개발기금 장기차입금 전액 삭감내역은 진행 중인 대규모 공사사업비 충당을 위해 올해 편성하였던 차입금을 2024년도에는 미편성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하단의 자본잉여금수입은 전년 대비 779억 4624만원이 증액된 1261억 5114만원을 편성하였고 국고보조금수입은 강화군 노후상수도 정비사업 등 9억 5750만원을, 타회계 건설보조금수입은 상수도 전산화정보 갱신사업 외 6개 사업에 대한 국ㆍ시비보조금으로 전년 대비 20억 18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340쪽 원인자부담금수입은 983억 9964만원 순증한 것으로 보이나 지방공기업 예산편성 기준에 따라 공사부담금수입에서 과목 변경한 사항으로 실 증액은 749억 7074만원으로 이는 푸른송도배수지 2단계 건설공사 원인자부담금 중 2023년 1회 추경에 편성한 1차 부담금 250억원을 제외한 745억 3921만원을 반영한 사항입니다.
341쪽 순세계잉여금은 2024년도 이월금 추계에 따라 42억 4400만원을 편성하였고 하단의 영업미수금은 2023년도 12월 31일이 공휴일에 따른 납기일 연장으로 수도요금 미수액을 반영하여 118억 38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43쪽 자본적 지출사항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45쪽 경영관리부 소관사항입니다.
본부 청사 옥상 방수공사비 1억 73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내년 하반기 통합자재관리센터 건립에 따른 사무실 환경 조성 및 내부 환경 구축비로 5억 6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48쪽부터 수질안전부 소관예산으로 방문객에 대한 만족도와 인천수돗물 이미지를 제고하고자 청사 인천하늘수 포토존 조성사업비로 4000만원을, 349쪽 펌프 효율 측정장비 구입비로 74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350쪽 정수장 소형생물 대응체계 구축사업비로 8억 8500만원, 하단의 각종 노후행정장비 교체구입비로 2억 4166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354쪽 급수부 소관예산으로 실시간 누수 감시로 유수율을 향상하고자 스마트 누수감시시스템 센서장비비로 9976만원을, 356쪽 노후네트워크 보안장비 교체비로 1억 3746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357쪽 원격검침단말기 구매비로 25억 3350만원이 증액된 41억 63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58쪽부터 368쪽까지는 시설부 소관사항으로 전년 대비 180억 6787만원이 증액된 782억 158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59쪽 강화군의 안정적인 급수체계 구축을 위한 화도배수지 건설사업은 계속비사업으로 2028년까지 총 231억원이 소요되며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비로 2024년도 사업비 13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0쪽 공촌~부평, 남동~수산 간 비상연계관로공사는 계속비사업으로 2024년도 사업비 172억 538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1쪽 영종도 해저송수관로 건설공사는 공사공정 및 연차별 계획에 따라 2024년도 사업비 215억 7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2쪽 수산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건설공사는 전년 대비 동일하게 103억 7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3쪽 강화군 노후상수도 정비사업은 계속비사업으로 국비 50%를 지원받아 2024년도 사업비 93억 1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5쪽 북도면 지방상수도사업 74억 7100만원을, 교동ㆍ삼산배수지 건설공사는 20억원, 백령도 해수담수화시설 공사로 14억 53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69쪽 맑은물연구소는 노후된 옥상 방수공사비 6000만원, 차량 대체취득비로 9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370쪽 연구시설 개선과 노후장비 대체구입비로 9억 1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72쪽부터 375쪽까지는 수도시설관리소 자본예산으로 374쪽 노후관 교체공사와 블록정비공사비 등 노후상수도관 정비사업비로 10억 1752만원이 증액된 50억 926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76쪽부터 407쪽까지는 부평정수사업소 등 4개 정수사업소 소관 자본예산으로 신규편성사업으로는 382쪽 부평정수사업소는 3정수 입상활성탄 교체주기 도래에 따른 구입ㆍ교체비로 20억원, 387쪽 남동정수사업소는 노후된 회수배관 교체공사비로 6억 3000만원을, 394쪽 공촌정수사업소는 유실된 여과사를 보충하고 기능이 저하된 여과사를 교체하고자 하는 여과사 교체공사비로 5억 7000만원을, 407쪽 수산정수장은 노후조정농축조 슬러지 수집기 교체공사비로 10억 1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공통사항으로 각 기관별 정수사업소 운영에 필요한 자산취득비와 노후화된 시설 개량에 따른 사업비를 편성하였습니다.
408쪽부터 431쪽까지는 중부수도사업소 등 5개 수도사업소의 자본적 지출사업비입니다.
408쪽 중부수도사업소는 62억 9241만원이 증액된 131억 2329만원이 증액되었고 409쪽 중구 영종지역 등 미급수지역 도로개설구간 및 급배수관 부설물량 증가로 인한 급배수관 부설공사비를 전년 대비 15억 9950만원 그리고 410쪽 노후관 교체구간 계획물량 증가 및 공사비 단가 상승에 따라 노후관 교체공사비로 전년 대비 35억 6111만원, 411쪽 문제관로 정비를 통한 유수율 향상을 위해 블록시스템 정비공사로 11억 66만원을 증액편성하였고 하단의 유량계 교체공사비로 1억 8608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413쪽 남동부수도사업소는 전년 대비 52억 9634만원이 증액된 119억 7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15쪽 북도면 상수관로 미부설구간에 9억 6172만원이 증액편성되었습니다.
하단의 영흥면 내리 군부대 가압장 설치공사비로 2억 6500만원, 416쪽 수질계측기 증설공사비로 1억 1941만원, 418쪽 블록시스템 정비공사비 41억 7686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419쪽 북부수도사업소는 전년 대비 14억 9180만원 증액된 71억 4944만원을 편성하였고 주요 증액사업으로 422쪽 문제 관로 정비를 위한 블록시스템 정비공사와 부평ㆍ계양구 노후관 교체공사비로 14억 355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423쪽 서부수도사업소는 전년 대비 4억 6116만원이 감액된 37억 4165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 증감내역은 424쪽 고지대 주민에 안정적인 급수공급을 위한 무인가압장 설치공사비 2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426쪽 노후관 교체 중장기계획에 따른 연차별 추진으로 노후관 교체공사비를 6억 6141만원 감액편성하였습니다.
427쪽 강화수도사업소는 전년 대비 33억 4102만원이 감액된 91억 5063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주요 증감내역은 427쪽 전기사고를 예방하고자 청사 수전시설 계량공사비로 7023만원 신규편성되었고 428쪽 급배수관 부설공사 및 2차 포장 공사비로 전년 대비 29억 2900만원 감액한 75억 7100만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아울러 정수사업소 및 수도사업소별로 일부 세부사업들을 전년 대비 개편하면서 몇몇 사업들은 신규사업이 아님에도 전년도 예산액이 0원으로 표시되거나 전액 삭감된 것처럼 보이는 사업들이 있는데 이는 실제로 신규편성되거나 전액 삭감된 것이 아니고 세부사업이 개편되면서 변경된 사항이오니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존경하는 정해권 위원장님과 위원 여러분!
지금까지 보고드린 바와 같이 2024년도 예산안은 안정적 수돗물 공급을 위한 수도시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경비와 생활민원 해결을 위한 필수경비 위주로 편성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상수도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협조해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이상으로 2024년도 수도사업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