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연용 복지국장입니다.
지금부터 2020년도 인천복지재단 출연 동의안과 2020년도 복지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 2020년도 복지국 소관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하여 일괄 제안설명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2020년도 인천복지재단 출연 동의안이 되겠습니다.
출연 동의안 제안이유는 2020년도 인천광역시 일반회계 세출예산에 인천복지재단 출연금을 반영하고자 지방재정법 제18조제3항의 규정에 의거 인천광역시의회에 사전 동의를 얻고자 하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출연 주요내용 및 동의사항을 보고드리면 출연금은 19억 5935만 2000원이고 출연방식은 모두 현금의 출연이 되겠으며 출연기관은 인천복지재단이 되겠습니다.
참고사항 2페이지 2020년도 인천복지재단 출연계획과 6페이지에 인천복지재단 출연 관련 법령은 자료를 참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쪽 2020년도 인천복지재단 세입ㆍ세출 추계에 대해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재단 세입추계는 23억 5026만 9000원으로 세부내역을 보고드리면 정기예금 이자수익 1530만원, 법인세 환급금 등 기타 영업외수입으로 140만원, 인천광역시 출연금수입 19억 5935만 2000원, 순세계잉여금 3억 7421만 7000원이 되겠습니다.
재단 세출추계는 전년 대비 4.5%가 증가한 23억 5026만 9000원으로 세부내역을 보고드리면 재단 연구 등 목적사업 추진을 위해서 인건비와 경비 등 매출원가 13억 2981만 9000원, 재단 운영을 위한 기본경비로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항목에 9억 929만 8000원, 경영평가에 따른 성과급 6115만 2000원, 예비비 5000만원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인천복지재단 출연 동의안에 대하여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2020년도 복지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세입이 되겠습니다.
복지국 총세입은 전년 대비 2275억 9480만 8000원이 늘어난 1조 3224억 617만 7000원이 되겠습니다.
세입 항목별로 편성내역을 보고드리면 국고보조금은 복지국 전체 세입 중 98.37%로 1조 3008억 6893만 1000원이고 인천가족공원 장사시설 등 사용료수입은 201억 5678만 6000원이며 재산임대수입은 8억 1800만원, 기타수입은 5억 6300만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26쪽 세출 사항이 되겠습니다.
복지국 총세출은 기정액 대비 19.98%가 증가한 1조 8618억 6492만 4000원으로 인천광역시 세출예산의 16.5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회계별 세출규모를 보고드리면 일반회계가 전년보다 3295억 4007만 5000원이 늘어난 1조 8615억 4492만 4000원,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특별회계는 전년보다 1억 7900만원이 감소한 3억 2000만원이 되겠습니다.
또한 재원별 세출규모는 국비가 69.9%, 시비는 30.1%이며 시비 중에서 국비매칭 시비는 14.2%인 2640억 6955만 3000원이고 자체사업 시비는 15.9%인 2969억 2644만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 사업명세서 사항이 되겠습니다.
보고순서는 예산서 편제에 따라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그 다음에 부서순으로 보고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337쪽에 복지정책과 소관이 되겠습니다.
전년 대비 18.18% 증가한 3857억 3895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생활안정은 550억 8976만 4000원이 늘어난 3500억 3989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유는 생계급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이 2.94% 인상되고 부양의무자 기준도 완화돼서 전년보다 532억 1565만 3000원이 늘었고 338쪽에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추진되는 긴급복지 사업은 지원인원이 늘어서 11억 2725만원이 증액 되었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저소득층 미세먼지 마스크 보급사업은 55억 1928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참고로 올해 추경에 반영한 미세먼지 마스크 보급사업과 비교하면 내년에는 지원개수와 보급인원이 증가해서 2019년보다 36억 3055만 4000원이 늘어났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같은 쪽에 일반 복지서비스 지원은 37억 4085만원이 늘어난 278억 9126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유로는 사회복지관 운영비가 연수구 함박사회복지관 개관으로 지원시설이 20개소로 늘어났고 종사자 인건비도 2% 인상돼서 전년보다 11억 7787만 5000원이 늘었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340쪽에 사회복무제도 지원비는 사회복무요원 배치인원이 늘어나고 급여도 33%가 인상돼서 전년보다 26억 3733만원을 증액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342쪽 지역복지 역량강화는 12억 2423만원이 줄어든 33억 87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감액사유를 보고드리면 사회복지인력 인건비는 읍면동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를 위해 2015년부터 2017년에 순증된 신규 사회복지직 공무원 인건비를 국비로 3년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6년 임용 직원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고 2017년 임용 직원도 2020년 6월에 지원이 종료됨에 따라 전년보다 국비 14억 2400만원을 감액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346쪽에 장애인복지과 소관 사항이 되겠습니다.
전년 대비 20.54%가 증가한 2566억 6574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장애인 생활안정은 47억 370만 8000원이 늘어난 658억 8259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유는 장애인 연금의 경우 수급자가 늘어나고 기초급여액이 인상돼서 45억 7853만 1000원이 증액된 사항이 되겠습니다.
348쪽에 장애인 재활지원은 52억 9663만 2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유는 장애인 일자리사업에 13억 8455만 4000원을 증액계상하였고 352쪽에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는 지원인원의 증가, 지원단가의 상승, 지급기간이 기존 10개월에서 12개월로 늘어남에 따라 17억 1565만 4000원이 증액되었으며 353쪽에 청소년 발달장애학생 방과후활동 서비스도 지원인원과 지급기간이 6개월에서 1년으로 늘어서 18억 6283만 6000원을 증액편성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355쪽 장애인 복지시설 운영은 43억 4888만 8000원이 증가한 628억 622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유는 장애인복지관, 장애인 거주시설 등은 종사자 인건비 인상분을 반영해서 운영비를 증액한 사항이며 357쪽에 전액 시비로 추진하는 시 추가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업과 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사업은 지원단가와 대상인원이 확대돼서 15억 1976만 2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360쪽 장애인 거주 및 재활시설 기능보강은 36억 8910만 8000원이 늘어난 64억 8835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유는 장애인 거주시설과 직업재활시설 기능보강을 위한 국비를 추가확보해서 36억 3188만 2000원을 증액하고 361쪽에 시각장애인복지관 리모델링을 위해서 신규로 시비 3억 5000만원을 책정하였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같은 쪽 장애인 사회참여 촉진은 257억 671만 8000원이 늘어난 972억 3187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유는 장애인활동지원급여 지원단가 인상과 지원인원 및 지원시간이 늘어남에 따라서 254억 7703만 8000원을 증액하였으며 367쪽에 주민참여예산으로 중증장애인 시민옹호 지원사업 3억 2400만원, 장애인 하이패스 감면단말기 3000대 지원비 1억 500만원을 신규로 편성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369쪽에 노인정책과 소관 사항이 되겠습니다.
전년 대비 23.2% 증가한 1조 1172억 8527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노인 생활안정은 1101억 9722만원이 늘어난 7895억 4831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편성 및 증액사유를 보고드리면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기존에 6개로 나누어 추진되었던 노인돌봄사업을 내년부터는 하나로 통합해서 추진함에 따라서 130억 5284만원을 신규로 계상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수혜자가 늘어난 기초연금은 1073억 6467만 2000원 증액한 7739억 2483만 3000원을 편성하였으며 370쪽 경로식당 무료급식소 13억 7872만 8000원, 371쪽 노인종합문화회관 운영비는 인건비 1.8% 인상 등을 반영해서 40억 4483만원, 경로당 여가문화 보급사업은 14억 7050만원, 372쪽 경로당 냉난방비, 양곡비 지원비는 19억 750만원을 각각 계상하였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373쪽 고령사회 대응 및 노인일자리 창출은 496억 6338만 1000원 늘어난 1133억 2820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노인일자리를 확대하고자 노인사회활동 지원사업에 490억 9619만 8000원이 증가한 1096억 2119만 8000원을 편성하였고 374쪽 경로당 및 복지관, 문화센터 등 노인여가시설은 시설 종사자 인건비 인상분 등을 반영해서 115억 8449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75쪽에 재가노인복지시설은 수급자 증가와 수가인상률 4.49% 등을 반영해서 96억 3796만 6000원을 증액하였고 노인요양시설도 수급자 증가와 수가인상률 4.23% 등을 반영해서 전년보다 143억 8617만 7000원을 증액계상하였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378쪽에 민선7기 공약인 효드림 복지카드는 75세 이상 사회적 보호계층 어르신께 월 8만원의 복지바우처를 드리는 사업으로 16억 5684만원을 신규편성하였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378쪽 노인복지시설 확충은 전년보다 50억 8860만 2000원이 늘어난 52억 8288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업은 379쪽 2022년 준공 예정인 부평구 남부노인문화센터 연차별 건축보조금으로 23억 3000만원과 2021년 준공목표인 시립노인요양시설의 계속비 연부액 27억 9152만 5000원이 되겠습니다.
380쪽 인천가족공원 조성사업과 인천가족공원 화장로 개보수 사업, 381쪽 황청리 추모공원 조성사업은 2019년에는 도시개발특별회계에 편성하였으나 2020년에는 일반회계에 연차별 사업비를 계상하였다는 보고를 드립니다. 시설공단에 위탁하는 인천가족공원은 신규 봉안당 개장에 따른 운영인력 증원 및 편의시설 개보수비용 등을 반영해서 18억 6554만 7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383쪽에 자활증진과 사항이 되겠습니다.
전년 대비 27.03% 증가한 771억 1351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자활지원은 149억 3036만 6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내역은 저소득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자활근로사업은 급여가 인상되고 참여자도 확대됨에 따라서 119억 9962만 9000원을 증액하였고 384쪽 기초수급자의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희망키움통장 등 5가지 통장사업은 신규 통장사업 시행 및 지원인원이 증가함에 따라서 27억 7922만원을 증액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386쪽 저소득층 사회복귀 지원은 35억 772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편성내역은 노숙인시설 운영비 22억 9941만 7000원과 노숙인시설 기능보강 사업비 9135만원이 되겠습니다.
387쪽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지원은 10억 5402만 7000원이 늘어난 173억 9958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내용은 서비스대상자가 증가해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6억 9651만 4000원, 가사간병 방문지원사업은 3억 7642만 8000원을 증액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390쪽 보훈과 소관 사항이 되겠습니다.
보훈과 예산은 전액 자체 시비사업이며 247억 4143만원을 편성하였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주요 편성내역을 보고드리면 390쪽 보훈의 날 격려금 30억 7800만원, 보훈대상자 지급수당 203억 4360만원, 13개 보훈단체 운영비 8억 2822만 8000원, 391쪽에 보훈시설 운영비 2억 4134만원, 392쪽에 국민통합과 진실화해 구현을 위해 4개 사업에 5024만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예산서 1264쪽에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특별회계 복지국 소관 세출예산 보고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노인정책과 1건 사업으로 구립 경로당 2개소 건립에 3억 2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0년 복지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고 다음은 2020년 복지국 소관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보고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복지국 소관 기금은 사회복지사업, 노인복지사업, 기초생활보장사업 3개 계정으로 운영되는 사회복지기금과 화장시설 주변지역 주민지원 기금이며 제안설명은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중심으로 해서 보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51쪽에 사회복지기금 사항이 되겠습니다.
2020년도 말 기금 조성예정액은 2019년도 말보다 7156만 7000원이 감소한 115억 5137만 6000원이 되겠습니다.
154쪽 수입계획은 자활근로 사업단 정산잔액 2억 7000만원, 전년도 예치금회수 수입 9억 2728만 7000원, 통합관리기금 예탁 이자수입 2억 2777만 5000원 등을 포함해서 14억 2919만 2000원이 되겠습니다.
156쪽에 지출계획을 각 계정별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사회복지사업계정 지출계획은 복지시책 개발 및 운영에 3000만원,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사업에 5000만원, 예치금으로 1억 3474만 9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노인복지사업계정 지출계획은 노인회 육성을 위해서 2개 사업 민간지원사업 5083만 8000원과 예치금 5737만원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157쪽 기초생활보장사업계정 지출계획은 창업자금 및 전세점포 임대보증금 1억원, 자활한마당 등 5개 민간보조사업에 3억 4263만 4000원, 통합관리기금 예탁금 3억원, 예치금 3억 6360만 1000원이 되겠습니다.
이어서 165쪽에 화장시설 주변지역 주민지원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보고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본 기금은 2017년에 조례를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주변지역은 부평2동과 3동, 십정2동, 간석3동 4개동으로 돼 있습니다.
주민지원협의체가 선정한 사업을 기금운용계획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2020년도 말 기금 조성예정액은 2019년도 말보다 2억 6183만 8000원이 늘어난 10억 3530만 6000원이 되겠습니다.
168쪽 수입계획이 되겠습니다.
2020년도 화장시설 사용료의 예상 징수액 78억 500만원의 10%인 7억 8053만 4000원에 대한 일반회계 전입금수입과 이자수입 및 예치금회수 금액을 포함해서 모두 15억 6898만 6000원이 되겠습니다.
169쪽 지출계획은 주거취약지역 해충 방역지원사업 등 26개 사업에 5억 3368만원과 예치금 10억 3536만원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복지국 소관 2020년도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