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 잠깐. 저기 확인하고.
(「의장, 보류에 동의안입니까, 보류동의안입니까?」하는 의원 있음)
보류, 보류.
(「찬성하는….」하는 의원 있음)
잠깐 말씀드리겠습니다.
의원님들, 이거 찬반표결 비밀투표는 기후변화대책위원회를 지금 조례 만드는 것을 보류할 거냐, 보류하는데 찬성할 것이냐. 보류입니다, 보류. 분명히 보류의 찬반을 묻는 것이기 때문에 잘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박희경 의원 의석에서 - 그러니까 찬성을 하는 사람은 동그라미이고 반대하는 사람은 엑스하면 되지. 그걸 얘기를 해야지.)
(웃음소리)
찬성 쓰지 말고 가부로 결정하세요, 가부.
(「찬성, 반대 헷갈리는데」하는 의원 있음)
(○김소림 의원 의석에서 - 찬성, 반대는요?)
(○이근학 의원 의석에서 - 찬성, 반대동의….)
(○한도섭 의원 의석에서 - 찬성, 반대로 합니까?)
그러니까 우리가 조례를 만들어서 통과를 하려고 하는 의례를 갖추고 있는데 의원님들이 보류하자는 동의가 지금 나온 것 아닙니까? 김용재 의원님하고 강석봉 의원님이, 그러니까 이것은 보류를 하고자 하는데 찬성이냐, 두 분 얘기가.
그러니까 강석봉 의원이나 김용재 의원님이 얘기하는데 찬성을 하면 가를 써 주시고 또 그게 아니다 그러면 부를 쓰시면 되는 거죠. 그렇죠? 그러니까 보류에 대한 가부를 묻는 거니까.
(○이근학 의원 의석에서 - 가부로?)
응.
(○지정구 의원 의석에서 - 찬성, 반대면 무효입니까?)
(○강창규 의원 의석에서 - 엑스냐, 이것을 표기…)
가부로 해, 가부로. 찬성, 반대 이것은 어울리지 않는 거고 가부로 하시죠, 여기서 가부로. 그렇게 준비했죠? 그렇게 하기로.
(○이재호 의원 의석에서 - 동의안에 찬성하냐 반대하냐….)
(○신영은 의원 의석에서 - 기초단체 선거할 때에는 가가 중요하던데.)
찬성이면 가니까.
(○이재호 의원 의석에서 - 그러니까 동의안에 찬성하냐 반대하냐.)
그러니까 그것만 쓰면 돼.
자, 그러면 의사담당관으로부터 설명을 들으시고 의원님들은 호명에 따라 투표를 실시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면 의사담당관 나오셔서 투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신 후에 호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