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환경연구원장 권문주입니다.
시민의 대변자로서 항상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시정발전을 위해 애쓰시는 김성준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러면 위원님들께 기 배부된 2021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따라 보건환경연구원의 2021년도 예산안을 주요사업 중심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세입예산입니다.
예산서 102쪽입니다.
세입은 2020년도 당초예산액 26억 7086만 2000원보다 6억 3837만 7000원 감액한 20억 3248만 5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시험검사 증지 수수료 수입은 1000만원을 증액한 5억 6000만원으로 편성하였고 기금을 포함한 전체 국고보조금은 6억 4837만 7000원을 감액한 14억 4248만 5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국고보조금은 총 5억 4707만 6000원이 감액되었으며 주된 감액요인은 지자체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 사업의 2020년도 예산액 6억 8250만원보다 5억 9250만원이 감소한 9000만원으로 편성하는 사항입니다.
103쪽 중간의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은 1438만원이 감소하였고 기금은 지역거점진단센터 운영비 지원 등 12개 사업에 8692만 1000원 감액되었습니다.
기금의 주된 감액요인은 축산물 위생검사기관 검사장비구입 지원 기금 감소입니다.
다음은 예산안 597쪽 세출예산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세출예산 전체 규모는 2020년 당초예산 264억 970만원에서 1억 922만원이 감액된 263억 48만원입니다.
그러면 분야별 주요사업 위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예산안 597쪽 시민보건강화 예산입니다.
시민보건강화 세출예산은 2020년 본예산에 비해 2억 9205만 7000원 감소한 44억 7702만 4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97쪽 중간입니다.
신종감염병 대응 및 감시사업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전담부서의 일반운영비와 장비구매를 위해서 1억 544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아래 지역거점진단센터 운영비 지원사업은 신종감염병 진단 등 질병관리청 지자체 지원금 증액으로 3억 4750만원 증액편성하여 생물안전3등급 연구시설의 재인증을 위한 공공운영비 3500만원을 증액하고 코로나19 등 감염병 진단을 위한 시험연구비 3억 1240만원을 증액하여 5억 9762만 5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00쪽입니다.
인플루엔자 등 진단재료비 지원사업은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플루엔자 유행감시 강화를 위해 질병관리청의 지자체 지원금이 증가하여 34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01쪽 법정감염병 진단 및 예방사업은 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 실험실검사 기술지도 지침에 근거하여 시험검사의 질 관리를 위한 검교정 및 밸리데이션 필요 대상장비 변경에 따라 1009만원을 증액편성하였으며 시험연구비는 식중독예방과 신설에 따른 업무조정으로 6000만원을 감액하여 식약미생물검사 강화사업으로 이동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03쪽 중간 매개체 감염병 진단 및 감시사업입니다.
사업비는 3억 3396만원으로 전년 대비 1억 4377만 7000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실시간 모기발생정보 모니터링 운영과 관련하여 설치지점 변경에 따라 공공운영비 909만 1000원과 재료비 3892만 6000원을 감액하였고 부서 간 업무조정에 따른 시험연구비 2500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05쪽 식약미생물검사 강화는 식품 및 의약품 미생물 검사사업으로 부서신설에 따른 일반운영비 449만 3000원을 증액편성하였고 업무조정에 따른 사업비 이관 시험연구비 6000만원 증액과 자산취득비 3192만원을 신규편성하여 2억 7762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606쪽 하단의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감시망 운영은 급성설사질환 국가감염병 감시사업으로 400만원 증액된 40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07쪽 먹거리 안전성 강화, 유통식품검사 강화로 안전한 먹거리 제공입니다.
전년 대비 8244만 9000원이 증액된 2억 8282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주요 증액요인은 노후장비인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광도계 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 1억 5000만원 편성입니다.
다음 608쪽 하단 남촌농수산물 안전성 검사사업은 전년 대비 5억 4942만 4000원을 감액한 2억 811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감액요인은 남촌농산물도매시장으로의 이전비용과 자산취득비의 감액이 되겠습니다
다음 609쪽 하단의 의약품 유해성조사 및 품질검사 예산은 자산취득비 증액으로 전년 대비 2483만 5000원이 증액된 1억 608만 5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10쪽 하단 연구원 운영은 전년 대비 1억 7729만 9000원이 증가한 13억 7529만 3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가요인으로는 코로나바이러스 방역소독 추가분과 연구원 정원 및 물가상승률 반영에 따른 시설장비 유지비 증가와 간접관리비율 등 인상에 따른 위탁사업비가 증액된 사항입니다.
다음 611쪽 하단 도시환경 관리 예산입니다.
2020년 본예산 대비 10억 2598만 1000원이 감소한 40억 9680만 3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사항으로는 먼저 612쪽 상단의 대기관리시스템 운영 예산은 9억 7489만 6000원으로 전년 대비 2306만 2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가요인으로는 금년도 대기측정소 신설로 인한 장비 운영과 관리를 위한 시설장비 유지비의 증액입니다.
같은 페이지 하단의 지자체 대기오염측정망 설치 운영 예산입니다.
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30개의 대기오염측정소 중 내구연한 10년이 도래한 노후측정소 1개소 교체에 필요한 예산으로 국비 9000만원을 지원받아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613쪽 하단의 생활환경 오염도 조사는 전년 대비 3094만 1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장비구입 시기에 따른 정도검사 격년 시행으로 정도검사 비용을 305만 9000원 감액하였으며 노후장비 교체를 위한 자산취득비로 7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614쪽 하단 기후대기시스템 운영은 2020년보다 407만 3000원이 증액된 3억 3978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기후대기측정소와 시험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설연구장비 유지비를 6920만원 편성하였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실태조사용 기체크로마토그래프 교체 건으로 1억 7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16쪽 중간 환경 안전성 조사 예산은 먹는 물 안전성 검사, 토양 및 폐기물 안전성 조사, 해양하천 수질환경관리, 방류수 검사, 환경생태 조사 및 환경 분야 시험검사의 국제적 적합성 기반구축사업으로 전년 대비 1660만 5000원이 증액된 13억 9935만 7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먹는 물 안전성 조사는 노후장비 교체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 구매를 위한 자산취득비 3억을 편성하여 전년보다 1억 770만원이 증액된 4억 5604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17쪽 하단 해양하천 수질환경 관리는 전년 대비 2억 994만 5000원이 감소한 2억 6311만 7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 감액요인으로는 해양측정소 1개소 감소에 따른 공공운영비와 자산취득비 2억 3000만원을 감액한 사항입니다.
621쪽 환경 분야 시험검사의 국제적 적합성 기반구축사업 자본은 3년 주기로 환경부에서 장비구입 지원으로 보조되는 사항으로 5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621쪽 가축방역사업 예산입니다.
전년도 본예산 대비 6억 2601만 6000원이 감소한 17억 3808만 6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먼저 주요사항으로는 621쪽 가축전염병 방역관리 사업에서 622쪽 기타보상금 60만원 감액은 대동물 병성감정의뢰 건수 감소 등으로 가축전염병 살처분 해체 수수료 금액을 감액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622쪽 중간 예방약품 등 지원, 623쪽 하단 방역장비 등 지원사업은 국비 증가분을 반영하여 각각 3억 1431만 9000원, 3억 18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25쪽 축산물위생검사기관 운영비 지원은 원유 중 잔류물질검사 계획량 조정에 따라 검사재료비를 감액하여 1억 1074만 7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25쪽 하단 축산물위생검사기관 검사장비구입 지원 예산액은 1억 1500만원으로 2020년 개정추진된 원유 중 잔류물질 검사를 위한 정밀분석장비 확충으로 국비 지원금이 감소됨에 따라 감액편성하였습니다.
627쪽 하단 유통축산물 검사추진은 전년 대비 1246만 1000원 감소한 1억 5287만 5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공공운영비 1753만 9000원 증액은 축산물검사장비의 밸리데이션 및 검교정 비용 증가에 따라 증액하고 축산물 검사목표 조정에 따라 시험연구비 3000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계속해서 628쪽 야생동물구조관리 체계구축의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운영은 총사업비 3억원으로 전년과 동일한 금액입니다.
다음으로 629쪽 하단 행정운영경비입니다.
인력운영비는 2020년 본예산 대비 17억 7769만 1000원이 증가한 152억 2332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 635쪽 하단의 기본경비는 전년 대비 5714만 3000원이 증액된 7억 6524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가요인은 대외홍보를 위한 홍보영상제작 비용과 공공요금 및 제세 그리고 연구원 원보 발간 등 비용입니다.
이상으로 2021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렸습니다.
시민보건 증진과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 등 시민행복을 위해 꼭 필요한 예산만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만 미흡한 부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원님들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리며 아무쪼록 위원님들께서 많이 지원해 주시고 또 원안대로 승인하여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