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국장 성용원입니다.
지금부터 2021년도 복지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세입입니다.
복지국 총 세입은 전년 대비 1175억 1273만 9000원이 늘어난 1조 4399억 1945만 6000원이 되겠습니다.
세입 항목별로 편성내역을 말씀드리면 국고보조금은 복지국 전체 세입 중 98.7%로 1조 4214억 7890만 2000원이고 인천가족공원 장사시설 등 사용료수입은 168억 3805만 4000원이며 인천가족공원 등의 재산임대수입은 9억 250만원, 기타수입은 7억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26쪽 세출사항입니다.
복지국 총 세출은 전년도 대비 9.67%가 증가한 2조 409억 3090만 6000원으로 인천광역시 세출예산의 17.09%가 되겠습니다.
일반회계 규모는 전년보다 1798억 4367만 5000원이 늘어난 2조 404억 7534만 5000원이고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특별회계는 전년보다 1억 3556만 1000원이 증가한 4억 5556만 1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세출예산 사업보고는 예산서 편제에 따라서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그리고 과별 건제순으로 보고드리고 세출예산서 단위사업 위주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355쪽 복지정책과 소관이 되겠습니다.
355쪽입니다.
전년 대비 6.51% 증가한 4108억 5432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생활안정은 3665억 2091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생계급여의 기준 중위소득 인상과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로 205억 4000여 만원을 증액하였고 긴급복지 지원인원 증가로 인해서 14억 4000여 만원이 증액되었으며 올해 재해구조기금으로 편성한 코로나19 입원 격리자의 생활지원비 사업은 일반회계로 전환해서 63억 3000여 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56쪽입니다.
일반 복지서비스 지원은 9억 8492만원이 늘어난 288억 7618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종사자 인건비 인상 등으로 사회복지관과 사회복지회관 운영비에 9억 2000여 만원을 증액하였고 인천시 사회서비스원 운영으로 출연금 1억 8000여 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의사상자 수당은 1356만원을 내년에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 358쪽 민간복지 협력은 7억 2165만 1000원이 증가한 35억 2364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푸드뱅크ㆍ마켓사업 지원에 종사자 인건비 인상과 노후냉동탑차 2대 구입, 참여예산으로 띵동푸드마켓 운영 등 5억 7000여 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62쪽입니다.
사회복지 인프라 확충입니다.
인천시 사회서비스원 운영비 등으로 7억 5371만 3000원이 증가한 23억 7571만 3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사회보장 특별지원 구역 사업비로 3억원과 취약계층 반지하 거주세대 환풍기 지원 설치사업에 4억 4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64쪽입니다.
장애인복지과 소관 사항입니다.
장애인복지과는 전년 대비 10.5%가 증가한 2835억 6711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장애인 생활안정은 699억 756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장애인연금 지원인원 증가와 기초급여액 인상 등으로 31억 5000여 만원이 주요증액된 사항이 되겠습니다.
366쪽 장애인재활 지원은 311억 5112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장애인 일자리사업에 9억 600여 만원을 그리고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와 청소년 발달장애학생 방과후활동서비스에 50억 4000여 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매년 청년 발달장애인 200명을 선정해서 월 15만원을 맞춤 지원하는 청년 발달장애인 자산형성 지원사업에 1억 2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73쪽 장애인 복지시설 운영은 699억 2692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장애인복지관과 장애인거주시설 등의 종사자 인건비 인상분을 반영하였고 시 추가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업과 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사업은 지원단가와 대상인원 확대로 해서 9억 1000여 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주 52시간제 전면시행으로 인해서 생활지도원 교대인력 증원을 위한 18억 3000여 만원을 내년에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79쪽 장애인거주 및 재활시설 기능보강은 33억 3170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보건복지부 지원 사업선정 결과에 따라서 장애인거주시설과 직업재활시설 기능보강비 33억 2000여 만원을 감액하였고 장애인복지관 노후차량 교체비 3억원과 장애인커뮤니티센터 확충공사 5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80쪽 장애인 사회참여 촉진은 1091억 5336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장애인활동지원급여 지원단가 인상과 지원인원 증가에 따라서 115억 6000여 만원을 증액하였으며 장애인 주거전환지원센터 운영에 따른 5억원을 신규로 편성하였습니다.
388쪽 노인정책과 소관 사항입니다.
전년 대비 11.5% 증가한 1조 2462억 2803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노인생활안정은 8880억 4229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기초연금의 수급대상이 증가하여 955억 8000여 만원을 증액하였고 경로식당 무료급식은 코로나19로 급식단가를 상향 조정해서 22억 2000여 만원을 편성하였고 경로식당 및 재가노인 무료배달급식소 영양사 또 조리사 지원사업은 1억 2000여 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90쪽 노인문화정착은 83억 136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노인종합문화회관 운영비가 인건비 인상 등을 반영하였고 금액은 3억 2000여 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경로당 냉난방비 또 양곡비 지원비에 1억 75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 392쪽 고령사회 대응 및 노인일자리 창출은 1204억 9165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새로 설치되는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 운영에 2억원을 신규편성하였고 노인일자리를 확대하고자 노인사회활동 지원사업에 66억 9000여 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394쪽 노인복지시설 운영은 1906억 8216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경로당과 복지관, 문화센터 등 노인여가시설 운영에 종사자 인건비 인상 등을 반영해서 1억 9000여 만원을 증액하였고 재가노인복지시설과 노인요양시설은 수급자 증가와 수가인상률 반영으로 245억 7000여 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398쪽 노인복지시설 확충은 72억 8139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노인요양시설 확충 기능보강사업에 23억 1000여 만원을 증액하였고 장사문화 개선은 무연고자 및 저소득층 공영장례 지원사업에 8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인천가족공원 운영비는 인건비 인상분과 금년에 최초로 시행한 온라인 성묘 고도화사업 등에 11억 4000여 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403쪽 자립정책과 사항이 되겠습니다.
자립정책과는 전년 대비 1.52% 감소한 759억 4308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자활지원은 549억 2576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자활근로사업의 사업량 감소로 인해서 7억 5000여 만원을 감액하였고 기초수급자의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희망키움통장 등 다섯 가지의 통장사업도 보건복지부의 내시액을 감안해서 4억 3000여 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406쪽 저소득층 사회복귀 지원은 38억 6416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노숙인시설과 쪽방상담소 운영비에 3억 2000여 만원을 증액하였고 노숙인시설 기능보강 사업비 5155만원을 감액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407쪽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지원은 168억 3707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과 가사간병방문 지원사업에 5억 8000여 만원이 감액된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410쪽 보훈과 소관 사항이 되겠습니다.
보훈과 예산은 전액 시비사업으로 238억 8278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보훈행사 등 지원비에 7000여 만원, 보훈의 날 격려금 29억 6000여 만원, 보훈대상자 수당 지원에 185억 4000여 만원을 편성하였으며 국가유공자 묘역조성사업 공사비 7억원, 13개 보훈단체 운영비로 9억 2000여 만원, 보훈시설 운영비에 2억 3000여 만원과 국민통합과 진실화해 구현을 위한 5개 사업에 1억 3000여 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예산서 1283쪽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특별회계 복지국 소관 세출예산을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장애인복지과의 사업 3건으로 검단권역 장애인주간보호센터 확충 등 4억 5556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1년도 복지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고 이어서 2021년도 복지국 소관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해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금운용계획안 노란 책자가 되겠습니다.
복지국 소관 기금은 사회복지사업, 노인복지사업, 기초생활보장사업 3개 계정으로 운용되는 사회복지기금과 화장시설 주변지역 주민지원기금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안설명은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중심으로 해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35쪽이 되겠습니다.
사회복지기금 사항이 되겠습니다.
내년 말 기금 조성예정액은 올해 말보다 2547만 2000원이 증가한 116억 6536만 1000원이 되겠습니다.
138쪽 수입계획은 자활근로사업단 정산잔액 2억 9000만원 그리고 전년도 예치금 회수수입 6억 4423만 3000원 그리고 통합관리기금 예탁금 원금 회수수입 3000만원, 예탁금 이자수입 2억 3030만 2000원 등을 포함해서 12억 9511만 8000원이 되겠습니다.
140쪽입니다.
각 계정별로 지출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사회복지사업 계정 지출계획은 복지시책 개발 및 운영에 3000만원 그리고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사업에 5000만원, 예치금으로 1억 6000여 만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노인복지사업 계정 지출계획은 대한노인회 육성을 위해서 2개 민간보조사업 5000여 만원과 예치금 6500여 만원이 되겠습니다.
끝으로 142쪽 기초생활보장사업 계정 지출계획은 창업자금 및 전세점포 임대보증금 1억원, 자활한마당 등 5개 민간보조사업에 3억 6000여 만원 그리고 예치금 4억 7000여 만원이 되겠습니다.
이어서 147쪽 화장시설 주변지역 주민지원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본 기금은 2017년에 조례를 제정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대상지역은 남동구 간석3동, 부평구 부평2동, 부평3동, 십정2동 이렇게 4개 동으로 되어 있습니다.
처리절차는 주민지원협의체가 선정한 사업을 기금운용계획에 반영하고 있으며 내년 말 기금 조성 예정액은 9억 5028만 4000원이 되겠습니다.
152쪽 수입계획이 되겠습니다.
내년도 화장시설 사용료의 10%인 4억 3493만 6000원에 대한 일반회계 전입금수입과 이자수입 및 예치금 회수금액을 포함해서 모두 15억 2818만 4000원이 되겠습니다.
153쪽 지출계획입니다.
동절기 취약가구 김장김치 지원사업 등 전체 25개 사업에 5억 7790만원과 예치금 9억 5028만 4000원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복지국 소관 2021년도 새해 예산안과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해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