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복지위원회 수석전문위원 홍창호입니다.
2020회계연도 복지국 소관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기금 결산 포함) 검토보고를 드리겠습니다.
1페이지 총괄개요는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고 2페이지입니다.
일반회계 세입결산으로 예산현액은 1조 4352억 6021만원 중 징수결정액은 1조 4380억 3343만원이고 실수납액은 1조 4380억 535만원이며 미수납액은 2808만원으로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으며 전년 대비 10억 1837만원이 감소하였습니다.
다음은 5페이지입니다.
5페이지 하단으로 세입결산 중 가장 비중이 높은 과목은 보조금으로 일반회계 전체 세입의 97.7%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 대비 2768억 5527만원으로 증가되었고 보전수입 등 내부거래는 전년 대비 26억 7958만원이 감소하였으며 세외수입은 전체의 2.3%를 차지하여 전년 대비 32억 4873만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8페이지 재원별 세부사항으로 자체재원은 2020회계연도 경상적세외수입은 전년 대비 9억 8695만원이 증가된 227억 8438만원이며 재산임대수입은 전년 대비 1억 6788만원이 감액된 6억 229만원입니다.
노인정책과의 장사시설인 인천가족공원 승화원 식당, 카페, 화원 및 석재 등 임대료수입 5억 8530만원이 주요원인입니다.
사용료수입은 전년 대비 11억 958만원이 증액된 218억 8259만원이며 노인정책과 소관 인천가족공원 장사시설 사용료수입이 전년 대비 15억 987만원이 증액된 217억 885만원이고 노인문화회관 평생교육, 생활체육 등 프로그램 사용료 등 코로나19로 인한 장기휴관으로 전년도 대비 4억 3055만원이 감소된 6835만원입니다.
2020회계연도 임시적세외수입은 전년 대비 22억 6178만원이 증가된 105억 8612만원이며 기타수입은 전년 대비 16억 7381만원 증액된 99억 8625만원으로 임시적세외수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9페이지 임시적세외수입 중 시ㆍ도비반환금수입은 2019년도 이전에 군ㆍ구에 교부된 보조사업 중 시비 부분의 반환금을 2020년도에 수납한 예산입니다.
복지국의 세출예산 대부분은 군ㆍ구를 통해 집행되는 자치단체 보조예산과 민간단체 이전으로 교부되는 것으로 결산서상 집행잔액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며 다음연도 결산을 보면 2019년 영종공감복지센터 운영, 2019년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2019년 사물인터넷(IoT) 안심폰사업, 2019년 희망잡(job)아 프로젝트 등 일부 사업은 상당한 규모의 시ㆍ도비반환금 및 그외수입으로 집행잔액이 반납되고 있습니다.
교부된 보조금은 효율적인 집행을 통해서 불용액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조금 교부 전에 실제 집행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교부 후에는 집행사항을 지속적으로 관리ㆍ점검하는 등 보조사업 추진에 철저를 기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12페이지 의존재원으로 국고보조금 등 의존재원 중 2020년도 국고보조금 등은 전년 대비 2726억 5527만원이 증액된 1조 4003억 7369원이며 세부사항으로 복지정책과의 맞춤형 개별급여 시행에 따른 기초생활보장급여 2881억 300만원, 저소득층 한시생활지원 673억 6620만원, 장애인복지과의 장애인연금 421억 8055만원, 발달재활서비스 47억 7882만원, 노인정책과의 기초연금 6537억 3137만원, 자립정책과의 자활근로사업 374억 3934만원 등이 주요 증액요인에 해당합니다.
다음 보전수입 및 내부거래는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고 14페이지 2020년도 미수납액현황으로 표를 보시면 장애인복지과의 4건과 노인정책과 3건, 보훈과 1건으로 미수납액은 2808만원입니다.
다음은 16페이지 세출결산으로 예산현액은 1조 9650억 4299만원 중 지출액은 1조 9440억 7639만원으로 다음연도 이월액은 96억 7409만원이며 보조금반납액은 109억 5606만원을 제외하면 집행잔액은 3억 3642만 7670원으로 불용률은 0.02%입니다.
다음은 18페이지 세출예산 중 복지국 집행잔액 비율은 예산현액 1조 9650억 4299만 810원의 0.02%인 3억 3642만원으로 이는 복지국의 예산 특성상 대부분의 예산이 자치단체 등 이전비나 민간자본 이전비로 국ㆍ시비를 매칭하여 군ㆍ구로 배분되며 정산 이후에 정확한 집행잔액을 파악하여 익년도 시ㆍ도비반환금 및 그외수입으로 처리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19페이지 사유별 불용내역을 보면 세출예산 중 불용액은 112억 9249만원으로 예산현액 대비 불용률은 0.57%에 해당합니다.
사유별 불용액을 살펴보면 국고보조금 반납액이 109억 5606만원으로 전체 불용액의 97.02%를 차지하고 있으며 계획변경 등 집행사유 미발생이 1억 9053만원으로 1.69%, 지출잔액이 1억 4218만원이며 보조금 정산잔액은 371만원입니다.
해당연도 보조금 정산이 차년도에 이루어짐에 따라 본예산 수립 시 정산결과를 반영한 예산을 편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보조금 사후관리를 위해 연내 집행 가능성을 고려한 예산편성 및 교부와 법정기한 내 보조사업의 실적보고서 제출 및 정산이 필요할 것입니다.
다음은 20페이지 집행률 저조사업 현황으로 불용액 발생 주요사업은 복지정책의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사업 등 6개 사업의 불용액이 전체의 98.97%를 차지하고 있으며 불용액 규모는 전년 대비 106억 5761원이 증가하였는데 사업의 효과가 극대화되고 수혜자가 체감할 수 있도록 사업의 우선순위 및 시급성을 감안한 효율적인 예산편성과 집행으로 건전한 재정운용에 철저를 기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21페이지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으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20년 9월 9일 기준 실직 및 휴ㆍ폐업 등 소득 감소로 생계비가 곤란한 위기가구에게 1회 지급하여 생계안정을 도모하고 긴급생계비를 지원하는 전액 국고사업입니다.
타 제도와 중복지원 불가조건 및 인천시 자체사업인 인천형 긴급복지 사업이 지원조건 및 수혜자 측면에서 유리하여 인천형 사업으로 안내되어 사업 잔액 109억 5480만원이 과다하게 발생하였습니다.
다음은 코로나19 사망자 장례비 지원으로 코로나19 사망자 및 전파방지시설에 유족장례비 및 화장, 운구, 입관 등 비용 300만원의 범위에서 실비 지원하는 전액 국고보조사업으로 예상사망자 대비 실제 사망자 수 감소에 따른 국비 미집행에 1억 8648만원이 불용처리되었습니다.
다음은 23페이지 예산전용으로, 24페이지입니다.
복지국의 예산전용 내역은 장애인복지과 1건, 노인정책과 2건으로 장애인복지과 사회복지시설인 피해장애인 쉼터의 신규 설치 관련 법적기준 충족을 위해 소방 및 내부공사 등 관련 예산 5900만원을 전용하였고 노인정책과 예산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거동불편 저소득 재가노인 식사배달 및 경로식당 무료급식을 대체식으로 지원하고 기간연장 등 부족한 예산확보를 위해 3억 2961만원을 전용한 사항입니다.
다음은 25페이지 명시이월 사항으로, 26페이지입니다.
2020회계연도 일반회계 명시이월은 인천장애인종합복지관 환경개선공사로 특별교부세가 2020년 9월에 교부되어 2020년 3회 추경예산으로 편성, 2021년도에 재배정사업으로 추진을 위해 명시이월된 사항입니다.
다음은 사고이월로 2020회계연도 일반회계 사고이월은 시각장애인복지관 증축공사로 지역현안특별교부세 7억과 시비 5억 1620만원의 사업비로 2019년부터 건축설계 등 사업추진을 위해 명시이월된 사항입니다.
다음은 27페이지 계속비이월 사업으로 노인정책과 2개 사업 81억 3472만원으로 2020회계연도 일반회계 이월액 96억 7409만원에 해당합니다.
다음은 29페이지 특별회계로 2020회계연도 특별회계 세출예산은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 3억 2000만원이 전액 집행되었으며 도시개발특별회계 29억 1891만원 중 17억 9064만원을 집행하였고 7억 7509만원을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다음은 33페이지 기금으로 복지국 총괄 기금은 사회복지기금과 화장시설주변지역 주민지원기금으로 2020년도 말 기금 조성규모는 전년도 조성액 대비 3억 1272만원이 증가한 127억 8668만원입니다.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20회계연도 복지국 소관 결산 승인의 건 검토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