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복지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세입ㆍ세출 총괄 사항입니다.
복지국 총 세입은 전년 대비 1487억 767만 8000원이 늘어난 1조 5890억 9513만 4000원입니다.
총 세출은 전년도 대비 10.7%가 증가한 2조 2613억 7473만 8000원으로 인천광역시 세출예산의 17.2%입니다.
일반회계 규모는 전년보다 2181억 4682만 6000원이 늘어난 2조 2595억 5717만 1000원, 수도권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는 전년보다 13억 6200만 6000원이 증가한 18억 1756만 7000원입니다.
그러면 83쪽 세입예산 편성내역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국고보조금은 복지국 전체 세입 중 97.9%인 1조 5560억 8962만 2000원이며 사회복지회관 사용료, 인천가족공원 장사시설 등 사용료 수입으로 176억 5830만 3000원, 사회복지회관 임대료, 인천가족공원 등의 재산 임대수입으로 8억 6295만 1000원, 기타수입은 7억원입니다.
다음은 세출예산 편성내역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순서는 예산서 편제에 따라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그리고 과별 직제순으로 보고드리고 세출예산서 단위사업 위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389쪽 복지정책과 소관입니다.
전년 대비 12.9% 감소한 310억 4566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편성내용으로는 일반 복지서비스 지원사업은 사회복지시설 사회복무요원 보상금 사업이 지방이양사업으로 확정되어 73억 6862만 2000원이 감소한 214억 8756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계획에 따라 처우개선 사업을 신규반영하고 종합사회복지회관 운영비, 프로그램 사업비 등의 11억 2700만원을 증액하였고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출연금으로 23억 2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90쪽 민간복지 협력사업으로 2억 2757만 3000원이 증가한 37억 9321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시설 대체인력지원센터 관리 운영비와 시설 종사자 처우개선비 반영비 등 1억 5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푸드뱅크ㆍ푸드마켓 지원은 ’21년도 주민참여예산으로 전액 시비 지원하였으나 2022년도에는 시와 군ㆍ구가 50%씩 분담하여 시비 6000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393쪽 사회복지 인프라 확충입니다.
사회복지관 16개소의 기능보강과 영종사회복지관 건립비,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의 국공립시설, 종합재가센터 등 20개 시설 위탁사업비 23억 8400만원과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등 지역사회통합돌봄 구축을 위한 공모사업 등에 13억 5749만 9000원이 증가한 37억 9421만 2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사회보장 특별지역 사업에 3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396쪽 장애인복지과 소관 사항입니다.
전년 대비 10.2% 증가한 3138억 3435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장애인 생활안정을 위해 9억 8628만 8000원이 증가한 714억 1790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장애인연금 및 장애수당 지원 인원 증가에 따라 15억 1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고 장애인 의료비 지원 등을 위해 19억 9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98쪽 장애인 일자리 지원,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등에 61억 6424만 9000원 증액한 372억 4537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업으로 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에 13억 8200만원과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31억 9700만원, 청소년 발달장애학생 방과후활동서비스 및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사업에 17억 79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405쪽 장애인의 재활자립과 복지 증진 도모를 위해 장애인복지관 운영비, 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장애인 거주시설 운영비 단가 상승분 등에 785억 1684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항으로 장애인복지관 운영비 18억, 장애인 거주시설 27억,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에 18억,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운영에 9억 89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412쪽 장애인 거주시설 1개소 및 직업재활시설 15개소 등의 기능보강을 위해 12억 3310만 8000원을 증액한 47억 6481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부평구 예림원과 장애인예술단 운영시설 등에 9억 7000만원을 증액하였고 인천장애인복지관 환경개선 공사비 10억 4432만원, 중구 영종국제도시 복합 공공시설 신규 건립비 1억 542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414쪽 장애인 사회참여 촉진을 위해 장애인 활동지원급여,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신규 개소, 뇌병변 장애인 기저귀 신규사업 등에 1218억 61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장애인 활동지원급여 지원 단가 인상과 지원인력 증가에 따라 113억 7000만원을 증액하였고 주민참여예산으로 뇌병변 장애인 기저귀 지원에 3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423쪽 노인정책과 소관 사항입니다.
전년 대비 9.3%가 증가한 1조 3630억 4516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어르신의 생활안정을 위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기초연금 지급, 경로식당 무료급식 지원 등을 위해 9611억 9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항으로 저소득 장기요양요원 등급에 어르신 돌봄서비스를 위한 9억 5100만원과 기초연금 지원대상자 증가에 따른 사업비 715억 8900만원, 거동 불편 저소득 재가노인 식사배달에 1억 5800만원, 경로식당 무료급식 지원을 위해 3억 16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425쪽 노인문화 활성화 정착으로 4억 7112만 7000원이 늘어난 86억 7249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노인종합문화회관 운영비 43억, 경로당 여가문화 보급사업으로 15억, 경로당 냉난방비 및 양곡비 지원 등에 약 23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27쪽 고령사회 대응 및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121억 6468만 8000원이 증가한 1328억 9634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항으로 어르신들의 일자리와 사회활동 지원을 위해 118억 9000만원과 어르신 일자리 지원기관에 1억 7000만원을 증액하였고 어르신, 노인 적합 일자리 공모사업에 2억 2300만원을 증액반영하였습니다.
429쪽 노인복지시설의 운영은 393억 9995만 7000원이 증가한 2300억 8212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항으로 재가노인복지시설에 45억, 노인요양시설에 335억, 학대 노인 피해전용쉼터에 약 50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433쪽 노인복지시설 확충사업은 전년 대비 42억 3349만원이 감소한 30억 4790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사업으로 노인요양시설 14개소의 기능보강을 위해 30억 4700만원, 시립요양원 건립에 따른 보강장비 1억원, 중구ㆍ영종 노인복지관, 남동구 만수노인문화센터 신규 건립비 등에 12억 485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장사문화 개선사업은 전년 대비 26억 4799만원이 증가한 30억 279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항으로 코로나19 사망자 장례 지원 지원인력 인원 증가에 따라 3억 20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고 별빛당, 안치단 만장 예정에 따른 신규 안치선 설치비 14억 2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인천가족공원 운영을 위해 6억 2936만 8000원이 증가한 162억 1009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부족한 장사시설 수요 대처를 위해 인천가족공원 3-2단계 사업비 9억 3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인천시설공단 가족공원 위탁운영비는 인건비 인상분을 반영하여 5억 2546만 8000원을, 화장로 이식기 개ㆍ보수를 위해 1억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438쪽 생활보장과 사항입니다.
전년 대비 16.9% 증가한 5278억 2695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생활안정을 위해 606억 4623만 2000원이 증가한 4271억 6714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생계급여의 기준 주민소득 인상과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로 570억 60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고 긴급복지 지원인력 증가로 21억 30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코로나19 입원 자가격리자의 생활안정을 도모하는 생활지원비 사업은 74억 80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지역주민의 다양한 복지 욕구에 부응하는 지역복지 기반 확립 사업을 위해 통합사례관리사 인건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활성화 지원, 취약계층 고위험군 IoT 돌봄플러그 시스템 구축비 등에 25억 2371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자활 지원사업은 82억 8608만 4000원을 증액한 631억 7084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자활근로사업의 사업량 증가로 73억 1000만원을 증액하였고 지역자활센터 정규직원을 84명에서 94명으로 확대하는 데 5억 80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444쪽 저소득층 사회복지 지원사업은 6억 6909만원이 증가한 45억 3325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항으로 노숙인시설 인건비 반영분, 노숙인시설 6개소의 기능보강, 노숙인 자활시설과 쪽방 상담소 운영비 등에 증액한 사항입니다.
445쪽 지역 특성과 주민 수요를 반영한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지원사업은 지원대상 감소로 5억 4263만 2000원을 감액한 162억 9444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49쪽 보훈과 소관입니다.
보훈과 예산은 전액 시비 사업으로 1억 1524만 1000원이 증가한 238억 502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인천시 월남 참전용사 호국 영령을 추모하고자 월남 참전 기념비 건립을 위해 5억원을 신규편성하였고 참전유공자 수당 인상과 보훈예우수당 대상자 증가로 4억 116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또한 13개 보훈단체의 사업비와 운영비 1억 80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예산서 1369쪽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 복지국 소관 세출예산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노인정책과 소관으로 어르신 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해 계양구 2개소와 서구 2개소 경로당 신축사업으로 18억 1756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2년 복지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고 다음은 2022년 복지국 소관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복지국 소관 기금은 사회복지기금과 화장시설주변지역주민지원기금 등 두 가지 종류로 제안설명은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중심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137쪽 사회복지기금 관련 사항입니다.
2022년 말 복지기금 조성 예정액은 ’21년 대비 9억 1500만 6000원이 감소한 114억 3796만 3000원입니다.
142쪽 수입계획입니다.
자활근로사업단 정산잔액 1억 3000만원, 전년도 예치금 회수 수입 6억 8731만 3000원, 통합관리기금 예탁금 원금 회수 수입 3억원, 예탁금 이자수입 2억 2420만 2000원 등을 포함하여 총 13억 4151만 5000원입니다.
다음은 144쪽 각 계정별 지출계획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사회복지사업 계정 지출액은 복지시책 개발과 운영비 등에 2000만원, 긴급 위기가정 생활지원에 3000만원, 민간 경상사업 3개 사업에 3000만원, 예치금 2억 7000만원 등입니다.
다음 노인복지 계정입니다.
지출계획은 대한노인회 육성을 위하여 2개 민간보조사업 5000만원과 예치금 6600만원입니다.
마지막으로 146쪽 기초생활보장사업 계정 지출계획은 자활사업 창업자금과 전세 점포 임대보증금 1억원, 자활 한마당 등 4개 민간보조사업에 3억 3000여 만원을 그리고 예치금 4억 3000만원입니다.
이어서 151쪽 화장시설주변지역주민지원기금 운용계획안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2022년도 말 기금 조성 예정액은 16억 6238만 6000원입니다.
156쪽 수입계획입니다.
2022년도 화장시설 사용료의 10%인 6억 3120만원에 대한 일반회계 전입금 수입과 이자수입과 예치금 회수 금액을 포함하여 22억 6365만 4000원입니다.
158쪽 지출계획은 동절기 취약가구 김장 지원사업 등 27개 사업에 6억 126만 8000원과 예치금 16억 6238만 6000원입니다.
이상으로 복지국 소관 ’22년도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