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체육국장 정형섭입니다.
2022년도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예산안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2022년 건강체육국 총 세입예산 규모는 2021년 예산 대비 5.7%인 454억 6974만 1000원이 증액된 8469억 501만 9000원입니다.
세입예산 재원의 84.4%는 국고보조금 등 1513억 2034만원이며 특별회계의 7.5%를 차지하는 의료급여 전입금은 640억 9518만 5000원으로 일반회계에서 전출된 금액입니다.
세출예산 규모는 2021년 예산 대비 0.75%인 88억 4895만 2000원이 감소한 1조 1679억 2162만 4000원이며 우리 시 전체 세출예산의 8.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출예산의 재원 구성은 국비 58.1%, 시비 41.9%로 상당 부분 연례반복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21년 예산 대비 4.24%인 208억 3149만 1000원이 감소한 4703억 5694만 5000원입니다.
의료급여기금,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 세출예산은 ’21년 예산 대비 1.75%인 119억 8253만 9000원이 증가한 6975억 6467만 9000원입니다.
그러면 먼저 일반회계 세입예산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93쪽 보건의료정책과 세입은 2021년 예산 대비 63억 2175만 7000원이 증가한 166억 653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은 농어촌보건소 등 이전신축에 따른 시설개선비 지원과 지방의료원 기능보강사업비 등 13개 사업에 국고보조금 57억 8066만 7000원을 편성하였으며 건강생활지원센터 시설ㆍ장비 확충사업,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교육비 지원 등 13개 사업에 정부기금 108억 7469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94쪽 감염병관리과 세입은 2021년 예산 대비 243억 2980만 8000원이 증가한 515억 6177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표본감시 운영경비, 격리치료 감염병 입원치료비, 말라리아 퇴치사업 등 9개 사업에 국고보조금 270억 8894만 8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에이즈 및 성병 예방 지자체보조사업, 보건소 결핵관리사업, 신종감염병 입원치료병상 확충 등 12개 사업에 정부기금 244억 7282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95쪽 체육진흥과 세입은 2021년 예산 대비 25억 7683만 7000원이 증가한 462억 7373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인천축구전용경기장 내 수익시설 토지임대료, 문학경기장 내 체육시설 등 19개 시설에 대한 임대료 수입 64억 8751만 1000원, 체육시설 운영수입 167억 127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인천유나이티드FC 축구센터 건립, 체육시설 건립 개ㆍ보수 등 13개 사업에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보조금 91억 9300만원을, 가상현실 스포츠실 지원 등 19개 사업에 정부기금 135억 8429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97쪽 건강증진과 세입은 2021년 예산 대비 14억 559만 9000원이 증가한 332억 4734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장애인구강진료센터 운영비 및 진료비 지원, 방문건강관리사업 등 8개 사업에 대해 국고보조금 77억 3096만 6000원을 편성하고 지역사회 중심 금연지원서비스, 저소득층 금연치료 지원사업,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등 27개 사업에 정부기금 255억 163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99쪽 위생정책과 세입은 2021년 예산 대비 3억 2320만 1000원이 증가한 35억 7217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식품안전 감시ㆍ대응, 건강기능식품관리 등 9개 사업에 국고보조금 33억 6606만 8000원을 편성하였으며 특별지방행정기관 이관업무인 유통식품 수거검사 수행경비 지원을 위해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보조금 2억 610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527쪽에서 540쪽 보건의료정책과 세출예산은 2021년 예산 대비 631억 8117만 1000원이 감액된 996억 8432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언제든지 걱정 없이 치료받을 수 있는 공공의료체계 강화를 목표로 공공의료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권역책임의료기관 길병원과 지역책임의료기관인 인천의료원에 11억 4000만원,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운영비 6억 8734만 3000원, 인천의료원 기능 강화를 위해 출연금과 퇴직급여충당금 지원비 92억 1000만원, 파견의사 인건비 4억원, 본관 후면동 증축으로 인한 심뇌혈관센터와 정신과 병동 50병상 구축 등 기능보강사업비 48억 5400만원, 보건의료 취약지 시설ㆍ장비 확충을 위해 병원선 대체건조에 따른 설계비 5억원, 병원선 운영에 따른 수리비 등 9억 7050만원, 강화보건소 증축 및 옹진군 의료장비 교체비 등 14억 5130만원, 건강생활지원센터 신축 및 개ㆍ보수비 13억 1270만 1000원, 응급의료체계 구축을 위해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영비 40억원, 중증외상센터 닥터카 운영비 2억 3000만원, 권역외상센터 운영비 40억 9300만원, 응급의료기관 운영비와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비 32억 4790만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541쪽에서 552쪽 감염병관리과 세출예산은 2021년 예산 대비 386억 8721만 2000원이 증액된 783억 5704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철저한 사전준비와 빠른 조치를 통해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를 목표로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를 위해 표본감시 운영비 2억 5302만원, 생물테러 초동대응 및 신종 재출현 감염병 위기관리 훈련비 7860만원, 국가지정 치료병상 시설유지비 3억원, 시ㆍ도감염병관리지원단 운영비 6억원, 코로나19 예방 및 지원체계 강화를 위해 코로나19 예방접종 시행비와 화이자 백신 희석제 구입비 375억 3498만 9000원, 코로나19 격리입원치료비 24억 4732만 4000원, 이상반응 역학조사활동 지원 인건비 5149만 8000원, 감염병 조기 발견과 예방관리 지원을 위해 말라리아 퇴치사업 등 방역 지원사업비 5억 5503만 5000원, 에이즈 및 성병 예방사업비 12억 8558만 5000원, 결핵환자 이동검진차량 구입비와 사업비 등 23억 8534만 4000원, 국가예방접종 22종에 대한 시행비 321억 3444만 3000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553쪽에서 570쪽 체육진흥과 세출예산은 2021년 예산 대비 28억 5734만 7000원이 감액된 2319억 4570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스포츠환경 개선과 엘리트체육 육성을 위해 체육회, 시청, 공단, 군ㆍ구에 소속된 운동경기부 운영비, 전국대회 참가 지원비 등 263억 4489만 1000원, 국내 엘리트대회 14개 대회 개최비 4억 3910만원, 장애인체육 육성에 따른 지원비 65억 8378만 2000원, 생활체육활동 참여 확대를 위해 생활체육대회 개최 및 참가비 11억 5451만 4000원,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에 따른 인건비 27억 9502만 8000원, 생활체육시설 확충을 위해 인천유나이티드FC 축구센터 건립, 인천광역시 선수단 숙소 신축 등 5개 계속사업비 138억 5400만원, 인천광역시 체육회관 설치사업 등 8개 신규사업비 94억 2100만원, 국민체육센터 건립 및 체육시설 개ㆍ보수 등 13개 신규사업비 167억 5900만원, 공공체육시설 및 스포츠산업 진흥 활성화를 위해 위탁체육시설 31개소에 대한 운영비 564억 8343만 4000원, 스포츠 교류 활성화를 위해 국제스포츠경기대회 6개 대회 개최비 6억 6396만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571쪽에서 589쪽 건강증진과 세출예산은 2021년 예산 대비 60억 3350만 3000원이 증액된 550억 4170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시민이 체감하는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를 통해 건강행복도시 구축을 목표로 시민과 함께하는 생활 속 건강생활 실천 강화를 위해 금연지원서비스, 저소득층 금연치료 지원사업, 학교 통학길 금연거리 조성사업 등 26억 5376만 3000원,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모바일 헬스케어, 지역사회건강조사 등 48억 8364만 3000원, 지역사회 중심의 정신건강안전도시 구현을 위해 광역ㆍ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운영비 등 96억 5547만 6000원, 자살유족 원스톱 서비스 7억 3862만 5000원, 정신요양 및 재활시설 운영비 51억 1320만 6000원, 마음안심버스 운영 등 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비 20억 5270만원, 치매 예방ㆍ치료 기반 확충을 통한 치매안심도시 조성을 위해 광역치매센터 운영비 8억 3391만 7000원, 치매돌봄기법인 휴머니튜드 사업비 1억원, 인천제2시립노인치매요양병원 그린리모델링 사업비 2억 4946만 3000원, 시민이 공감하는 건강 안전망 강화를 통한 건강백세 실현을 위해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35억 6340만 6000원, 국가 암관리 및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등 73억 8510만원, 방문건강관리사업 23억 7872만 9000원, 장애인 재활사업 및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운영비 9억 4422만 6000원, 아동치과주치의 및 어르신 틀니지원 사업비 3억 4335만 5000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590쪽에서 597쪽 위생정책과 세출예산은 2021년 예산 대비 4억 8631만 2000원이 증액된 53억 2816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위생업소 위생환경 수준 향상을 통해 시민 건강증진과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를 목표로 식품위생 우수업소 지원 및 생활방역 지원을 위해 안심식당 지정 및 방역물품 지원비 등 1억 5509만 9000원, 식중독 발생 최소화를 위해 수거검사비 등 1억 2025만 6000원, 유통식품 안전성 확보 및 영양 취약계층 급식지원 확대를 위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비 45억 8670만원, 노인급식소 운영비 1억 5000만원, 공중위생 서비스 향상 및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명예공중위생감시원 운영비 3310만원, 위생관리 홍보비 및 위생용품업소 지도ㆍ점검비 2680만원, 토탈미용 아카데미 운영비 1500만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의료급여기금특별회계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331쪽, 1333쪽 세입ㆍ세출 예산규모는 2021년 예산 대비 1.53%인 105억 1253만 9000원이 증가한 6955억 8467만 9000원입니다.
1341쪽 세입 분야 주요내용은 의료수급권자 및 월평균 진료비 증가에 따라 국고보조금을 전년 대비 53억 9366만 3000원 증액하여 5523억 8074만 5000원, 순세계잉여금으로 전년 대비 777억 7071만원 증액하여 784억 674만 9000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1345쪽 세출 분야 주요내용은 의료급여 진료비 예탁 및 심사수수료, 건강생활 유지비 및 임신ㆍ출산 진료비에 전년 대비 54억 8250만원 증액하여 6822억 1150만원, 의료급여 군ㆍ구 관리비 전년 대비 12억 1400만원 증액하여 71억 7010만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 세출예산안입니다.
1370쪽 체육진흥과에서 드림파크문화재단 축구장 인조잔디 공사에 대한 사업비 19억 8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건강체육국 소관 2022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이어서 2022년도 식품진흥기금 운용계획안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81쪽입니다.
식품진흥기금은 식품위생법 제89조 및 인천광역시 식품진흥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를 근거로 1989년도에 설치되었으며 식품위생교육 및 홍보사업, 음식문화 개선사업과 시설융자사업 등을 추진하여 식품위생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운용되고 있습니다.
먼저 식품진흥기금 조성현황에 대해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도 말 조성액은 61억 8756만 5000원이었으며 2022년도 말 조성액은 전년 대비 5억 5641만 2000원이 감소된 56억 3115만 3000원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182쪽입니다.
식품진흥기금 총 조성규모는 2022년 말 조성액 56억 3115만 3000원과 융자금 미회수채권 2억 8554만원을 포함한 총 59억 1669만 3000원이 되겠습니다.
183쪽의 식품진흥기금 자금운용계획은 유인물을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184쪽과 185쪽 수입계획입니다.
2022년 총 수입액은 29억 6305만 9000원으로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치된 식품진흥기금의 공공예금 이자수입 2440만원, 식품위생업소에 대한 영업정지에 갈음하여 부과하는 과징금 수입 10억원, 식품접객업소 등 시설개선자금 융자금 원금 및 이자 회수수입 1억 4118만원, 전년도 이월금액인 예치금 회수수입 17억 330만 3000원, 통합관리기금에 예탁한 예탁금 이자수입 941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86쪽 주요 지출계획입니다.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평가 지원으로 2459만 8000원, 인천 식품산업 진흥 등 유관단체 지원으로 5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음식문화 개선을 위한 사업비 7800만원, 188쪽 식품위생업소의 노후시설 개선 지원에 3억원, 식중독 예방사업비 3100만원을 지출할 계획입니다.
189쪽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활동 지원으로 2억 4140만원, 과징금 수입액의 군ㆍ구 과징금 귀속금은 6억원이 되겠습니다.
191쪽 예치금 11억 4689만 1000원은 다음연도로 이월할 예정이며 행정심판 재결 등에 따른 과징금 과오납 반환준비금 2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92쪽 연도별 기금 조성현황과 193쪽 예치금 및 예탁금 명세는 유인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기금운용계획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앞으로도 위원님들의 각별한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리며 끝까지 경청해 주신 위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