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맹순 의원입니다.
시간관계상 인사말씀은 서면으로 대신 올리는 것을 용서해 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부평미군기지 반환 이후의 토지이용 등에 대한 발언입니다.
반환을 놓고 마지막까지 문제가 되었던 부평미군기지가 지난 3월 29일 오후 1시 김동신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과 토머스 슈워츠 주한미군사령관 사이 한·미연합토지관리계획안에 서명하면서 반환이 확정되었습니다.
지난 7년 동안 끈질긴 반환운동에 동참하거나 성원을 보내주신 260만 인천시민과 시민단체의 노력에 감사드립니다.
또한 인천광역시의회에서도 부평미군기지 반환을 위해서 2000년 6월 9일 열린 제80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한·미행정협정개정 및 부평미군기지 반환촉구결의안」을 채택하고 이를 김대중 대통령과 국방부, 국회 등에 보내는 한편 영역을 한 뒤에 이를 미국 클린턴 정부에 보내기도 하였습니다.
당시 이 결의안을 제출한 의원으로서 그 결의안에 함께 발의하신 의원님들과 이를 채택해 주신 동료의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지난해 11월 13일부터 15일 사이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제33차 한·미안보연례회의에서 김동신 국방부장관과 럼즈펠드 미국방장관은 용산의 1만 4,000평 규모의 「캠프 킴」등 서울지역 4곳을 포함해서 전국 20개 미군기지 144만평과 경기도 3개 지역 미군훈련장 3,900만평 등 모두 4,044만 5,000평을 2011년까지 단계적으로 반환키로 합의하였으나 부평미군기지는 반환대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지난해 11월 15일 당시 양국은 2002년 3월 중순까지 이들 기지와 훈련장의 구체적 반환일정 등에 대한 합의각서를 체결하는 한편 부평의 캠프마켓 등 기지 3곳 36만 3,000평에 대해서 추가 반환협상을 계속하기로 합의했기에 시민단체 등은 2002년 3월에 있을 한·미연합토지관리계획의 의제에 부평미군기지를 포함하게 하기 위해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왔던 것입니다.
부평미군기지 정문 앞에서 농성을 시작하였으며 ‘인간띠잇기’ 와 서울에 있는 미국대사관 앞과 국방부 앞에서 1인 시위 그리고 국방부 담당관들과의 협의 등 다양한 노력을 해 왔습니다.
또한 부평구의회에서는 주민투표 조례안을 의결하여 부평미군기지 반환에 대한 부평구 주민들의 의견을 조사하려 했으나 인천시장의 재의 지시에 따라 부평구청장은 재의 요구를 하였으며 부평구의회는 이에 굴하지 않고 만장일치로 부평미군기지 반환에 대한 재의를 하는 등 부평미군기지 반환을 위한 시민의 뜻을 지켜 냈습니다.
이에 본 의원은 지난 3월 13일 국방부 관계관을 만나 부평미군기지 반환을 위한 협의를 했을 뿐 아니라 주한미대사관 앞과 국방부 앞에서 1인 시위와 집회 등 막바지 노력을 다해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3월 29일의 연합토지관리계획에서 부평미군기지 반환 여부를 놓고 끝까지 양국이 줄다리기 끝에 의제에 포함했으며 끝내 반환에 성공한 것입니다.
이번 한·미간 합의한 연합토지관리계획의 협정 체결의 문제점은 무엇인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이번 부평미군기지 이전과 반환에 필요한 모든 비용은 미국 정부가 부담해야 됩니다.
둘째, 부평미군기지가 타지역에 신설 확장되어서는 안 됩니다.
더구나 지난해 11월 제33차 한·미연례안보협의회 회의에서 75만평을 추가 공여하기로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다시 79만평을 추가로 더 공여하기로 합의하여 결국 추가 공여토지가 154만평에 이르고 있음은 우리 국민에 대한 철저한 배신임에 분명합니다.
셋째, 국방부와 미군 당국은 부평미군기지 반환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고 빠른 시일 안에 반환할 것을 촉구합니다.
넷째, 이번 미군기지 등의 이전·반환 과정에서 지난날 미군들의 환경오염에 대한 원상복구 의무를 묻지 않기로 한 굴욕적 합의를 한 국방부의 처사를 규탄하며 미군과 미국 정부에 대해 분노와 반미 감정을 노골적으로 표출하고자 합니다.
다섯째, 미군기지 등에서 근무하던 경비와 노무자 등 미군 군속들에 대한 취업대책을 마련해 주지 않은 국방부와 미군의 무책임을 항의합니다.
여섯째, 부평미군기지 이전 반환에 따른 의정부, 평택, 오산, 포항 등의 다른 지역 주민들에게 우리의 고통과 불이익을 전가시켜서는 안 됩니다.
이제는 부평미군기지 반환 이후의 토지이용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친환경적인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첫째, 미군이 철수하기 이전이라도 미군과 합의해서 대2-32호선 도로와 대1-30호선 두 개의 도로는 우선 조성해서 부평지역의 교통체증을 해소해야 됩니다.
둘째, 부평미군기지 반환을 받기 전이라도 네 개의 초등학교와 두 개의 중학교 그리고 두 개의 고등학교 터를 마련해서 초·중·고등학교의 교육환경을 대폭 개선토록 해야 됩니다.
셋째, 부평지역 여성노동자들을 위한 1,000여평의 전일 공공보육시설을 세 개 내지 네 개소를 마련해서 인천지역 어린이들을 성장발달 단계에 맞도록 지도해야 됩니다.
넷째, 두 개의 게이트볼장 등 노인 휴양시설을 마련할 것을 요구합니다.
다섯째, 2만평 이상의 평생교육시설 등을 마련할 것을 요구합니다.
여섯째, 넓고 훌륭한 공원을 조성해서 시민휴식공간으로 활용토록 해야 됩니다.
(발언제한시간 초과로 마이크 중단)
(마이크 중단 이후 발언한 부분)
다음은 문학산 터널 개통 이후 늦어지는 후속조치 등에 대한 발언입니다.
지난 3월 15일 문학터널이 개통되었음에도 이 터널과 연결되는 도로에 시내버스나 마을버스 등 대중교통 대책이 아직도 세워지지 않고 있습니다.
새로운 길이 조성되면 당연히 그 도로가 개통되는 날 새로운 시내버스 노선이나 마을버스 노선이 마련되든지 아니면 다른 시내버스노선이나 마을버스노선을 조정 연장해서 문학터널을 경유 운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인천시는 아직도 대중교통대책이 없습니다.
많은 시비 등을 투자했으면 그 비용이 바로 시민들의 교통 효용으로 연결될 때 시민들은 자기들의 납세에 대한 정당성을 절감하게 됩니다.
최기선 인천시장에게 260만 인천시민의 이름으로 연수구 지역에서 청학동을 거쳐 문학터널을 지나 학익동~주안역 사이 등을 왕복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이나 마을버스 노선을 신설하거나 연장·조정할 것을 강력히 촉구합니다.
이상으로 본 의원의 5분 자유발언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