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 김정은입니다.
2021회계연도 복지국 소관 일반 및 특별회계 기금 세입ㆍ세출 결산 검토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배부해 드린 검토보고서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서 1쪽부터 2쪽 총괄개요는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보고서 3쪽 일반회계 세입 결산입니다.
예산현액은 2조 1786억 7019만원으로 징수결정액은 2조 1657억 7027만원이고 실수납액은 2조 1657억 4999만원으로 전년 대비 50.61%인 7277억 4463만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불납결손액은 2028만원이며 미수납액은 없습니다.
세입 결산내역은 3쪽부터 6쪽까지 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7쪽입니다.
세입 결산 중 가장 비중이 높은 과목은 보조금으로 일반회계 전체 세입의 94.98%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 대비 6686억 5764만원이 증가하였고 보전수입등및내부거래는 전년 대비 750억 1548만원이 증가하여 전체 세입의 3.44%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외수입은 전년 대비 39억 3685만원 감소하였으며 전체 세입의 1.5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10쪽 재원별 세부사항으로 자체재원 중 2021회계연도 경상적 세외수입은 전년 대비 18억 1593만원이 증가된 246억 31만원으로 이 중 재산임대수입은 전년 대비 2억 5760만원이 감액된 3억 4469만원입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임대료 감액조치에 따른 임대수입 감소와 인천가족공원 내 카페의 임대기간 3년 중 2년치 임대료를 ’20년도에 기납부 완료하여 ’21년도에는 임대수입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사용료 수입은 전년 대비 20억 5731만원이 증액된 239억 3990만원이며 이자수입은 전년 대비 1622만원이 증액된 3억 1572만원으로 복지국 전체 172개 사업이 해당됩니다.
다음은 11쪽 하단 임시적 세외수입입니다.
임시적 세외수입은 전년 대비 27.17%인 25억 4257만원이 증가된 131억 2869만원이며 보조금 반환수입이 109억 9107만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기타수입은 전년 대비 78억 5844만원 감액된 21억 2781만원이며 지난연도 수입은 전년 대비 5억 9005만원이 감액된 981만원입니다.
임시적 세외수입이 전년도 대비 금액변동이 크게 보여지는 요인은 행정안전부의 2021년도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 운영기준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 지침 개정으로 전년도까지 주된 세입과목이었던 기타수입 등에서 임시적 세외수입의 보조금 반환수입, 기타수입, 지난연도 수입과 기타행정제재ㆍ부과금으로 분리되어 세입처리된 것입니다.
13쪽 보조금 반환수입입니다.
임시적 세외수입 중 시ㆍ도비 보조금 반환수입은 2020년도에 군ㆍ구로 교부된 보조금 중 시비 반환금을 2021회계연도에 수납한 예산입니다.
시ㆍ도비 보조금 반환금수입 중 20% 이상 주요 불용사업은 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14쪽입니다.
복지국 예산의 대부분은 군ㆍ구를 통해 집행되는 자치단체 보조예산과 민간단체 이전으로 교부되는 것으로 결산서상 집행잔액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다음연도 결산을 보면 2020년 탈시설 장애인 자립정착생계비 지원, 남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경로당 냉난방비 및 양곡비 지원, 가사간병서비스사업 등 일부 사업은 상당한 규모의 시ㆍ도비 반환금 및 그외수입 등으로 집행잔액이 반납되고 있습니다.
교부된 보조금은 효율적인 집행을 통해 집행잔액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조금 교부 전에 실제 집행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교부 후에는 집행상황을 지속적으로 관리ㆍ점검하는 등 보조금 집행과 관리에 대한 감독을 철저히 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18쪽 의존재원으로 2021년도 국고보조금 등은 전년 대비 46.16%인 6484억 1853만원이 증액된 2조 529억 9222만원이며 세부사항으로는 복지정책과의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5141억 1578만원 등 일곱 개 사업, 장애인복지과의 장애인연금 447억 7780만원, 장애인활동 지원 급여 지원 866억 4100만원 등 43개 사업, 노인정책과의 기초연금 7423억 2022만원,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783억 4210만원 등 열다섯 개 사업, 생활보장과의 코로나19 생활지원비사업 275억 6600만원 등 23개 사업이 주요 증액요인으로 보입니다.
19쪽 보전수입등및내부거래는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20쪽 세출 결산으로 예산현액 2조 8071억 1487만원 중 지출액은 2조 7776억 9580만원으로 예산현액 대비 98.95%가 지출되었고 다음연도 이월액은 106억 7289만원이며 보조금 반납금 5644만원을 제외하면 집행잔액은 186억 8974만원으로 불용률은 0.67%입니다.
세출 결산내역은 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2쪽입니다.
세출 결산 중 복지국 집행잔액 비율은 예산현액 대비 0.67%인 186억 8974만원으로 이는 복지국의 예산 특성상 대부분의 예산이 자치단체등이전비나 민간자본이전비로 국ㆍ시비를 매칭하여 군ㆍ구 등으로 배분되며 정산 이후에 정확한 집행잔액을 파악하여 익년도 보조금 반환수입 등으로 처리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24쪽 집행률 저조사업 현황은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5쪽 세출 예산의 집행잔액 특성을 살펴보면 2021회계연도는 코로나19 감염병이 지속되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공공시설의 장기간 휴관 및 축소운영과 함께 많이 모이는 다양한 축제성 행사 등이 비대면으로 전환되거나 폐지되는 등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많아 다양한 예산에서 집행잔액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러한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계획수립부터 집행까지 세밀한 검토를 통한 예산운용의 효율성이 제고되어야 할 것입니다.
주된 집행잔액 사유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피해를 입은 국민들을 위로하고 생활안전망 확보 등을 위해 지급한 복지정책과의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예산액이 5967억 4768만원으로 규모 자체가 크고 불용률은 3.03%이나 지출잔액이 180억 6123만원으로 커서 복지국 전체 집행잔액의 96.63%를 차지하는 데 그 원인이 있어 보입니다.
그밖에 집행잔액 발생 주요사업은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33쪽 다음연도 이월사업비 현황입니다.
이월사업을 보면 장애인복지과의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기능보강사업으로 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증축 설계비가 명시이월되었고 시각장애인복지관 리모델링공사 및 인천장애인복지관 환경개선공사가 사고이월되었으며 계속비사업 중 노인정책과의 시립노인요양시설 건립사업과 인천가족공원 조성사업이 이월되었습니다.
건축이나 시설 확충사업은 사업 추진과정에서 행정절차 이행에 장기간이 소요되고 다양한 외부요인에 의해 사업이 지연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계획단계부터 철저한 사업관리를 통해 예산운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은 39쪽 특별회계입니다.
2021회계연도 복지국 특별회계 세출 결산은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 4억 5366만원과 도시개발특별회계 7억 7509만원 중 2391만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다음은 42쪽 기금입니다.
복지국 소관 기금은 사회복지기금과 화장시설주변지역주민지원기금으로 당해연도 말 조성액은 전년도 조성액 대비 3억 7892만원이 증가한 131억 6561만원입니다.
그밖에 자세한 사항은 검토보고서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21회계연도 복지국 소관 결산 승인의 건 검토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