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복지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세입ㆍ세출 총괄사항입니다.
복지국 총 세입은 전년 대비 2371억 7527만 7000원이 늘어난 1조 8262억 7041만 1000원입니다.
총 세출은 전년도 대비 13.5%가 증가한 2조 5689억 5947만 7000원으로 인천광역시 세출예산의 18.4%입니다.
그러면 91쪽 세입예산 편성내역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국고보조금은 복지국 전체 세입 중 97.2%인 1조 7758억 9262만 1000원이며 사회복지회관 사용료, 인천가족공원 장사시설 등 사용료수입으로 171억 8070만 3000원, 사회복지회관 임대료, 인천가족공원 등의 재산임대수입으로 17억 1985만 7000원, 기타수입은 6억 5000만원입니다.
다음은 세출예산 편성내역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 순서는 예산서 편제에 따라서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과별 건제순으로 보고드리고 세출예산서 단위사업 위주로 최대한 간략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478쪽 복지정책과 소관입니다.
전년 대비 19.2% 증가한 5950억 6577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일반 복지서비스 지원사업은 1억 5299만 3000원이 증가한 35억 4741만 3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민간복지 협력사업으로는 6억 7622만 5000원이 증가한 15억 5880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0쪽 사회복지 인프라 확충으로 사회서비스원 운영을 위해 28억 6420만 5000원을 편성하였고 사회보장 특별지원구역사업은 1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1쪽 저소득층 생활안정을 위해 730억 830만 8000원이 증가한 4999억 7545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생계급여의 기준 중위소득 인상과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로 653억 5000만원을 증액하였고 긴급복지 지원인원 증가 등으로 64억 90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또한 경제상황 악화와 복지사각지대 지원을 강화하고 제도권 밖 비수급 위기가정을 보호하기 위해서 자체 SOS 긴급복지와 디딤돌 안정소득 지원을 위해 6억 80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482쪽 저소득층 자활지원사업은 113억 675만 8000원을 증액한 743억 7051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6쪽 복지서비스과 소관 사항입니다.
전년 대비 13.1% 감소한 522억 5612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복지안전망 강화는 취약계층 위기가정 관리시스템 운영비, 긴급틈새돌봄 지원사업 등 1억 4000만원,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선은 읍면동 맞춤형 통합서비스 지원 13억, 통합사례관리사 인건비 11억 1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8쪽 사회복지 인프라 확충입니다.
인천복지관과 만월복지관 등 사회복지관 기능보강사업비에 5억 6000만원을 반영하였고 계속사업인 영종사회복지관 건립비는 5억 8000만원을 증액한 8억 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일반복지 서비스 지원은 5억 3561만 5000원이 증가한 187억 2875만 7000원입니다.
민간복지 협력은 6억 2701만 9000원이 증가한 38억 2965만원입니다.
490쪽 생활지원비 지원사업은 소득기준의 신설 등으로 93억 9490만원이 감소한 44억 1000만원입니다.
저소득층 사회복귀 지원사업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45억 6232만 9000원입니다.
491쪽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지원입니다.
지역특성과 주민수요를 반영해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이용자 수 증가로 3억 2606만원을 증액한 166억 2050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94쪽 장애인복지과 소관 사항입니다.
전년 대비 13.3%가 증가한 3559억 3625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장애인 생활안정을 위해서 92억 6003만원이 증가한 806억 7793만 8000원입니다.
496쪽 장애인 재활지원을 위해서 78억 9614만 4000원을 증액한 451억 4151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내용은 장애인일자리 지원사업 13억 300만원,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18억 9000만원,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22억 7000만원 등입니다.
502쪽 장애인 복지시설 운영을 위해 838억 7074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09쪽 장애인 거주ㆍ재활시설 기능보강입니다.
전년 대비 21억 8774만 1000원이 감소한 25억 7707만 3000원입니다.
주요 감액사항으로는 장애인거주시설 기능보강비가 3억 1000만원, 보건복지부 선정결과를 반영한 직업재활시설 기능보강비 감액분 14억 7000만원 등입니다.
510쪽 장애인 사회참여 촉진을 위해서 216억 8230만 9000원이 증가한 1436억 3935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18쪽 노인정책과 소관 사항입니다.
전년 대비 12.7%가 증가한 1조 5377억 2377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항으로는 독거ㆍ고령부부 등에게 맞춤돌봄 지원을 위한 24억 3000만원, 기초연금 지원대상자 증가에 따른 사업비 1421억 66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520쪽 노인문화 활성화 정착을 위해서 1억 1821만 3000원이 증가한 88억 5070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2쪽 고령사회 대응과 노인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8억 2869만 2000원 증가한 1340억 2503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4쪽 노인복지시설 운영은 264억 4962만 2000원 증가한 2565억 3174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8쪽 노인복지시설 확충사업은 전년 대비 62억 2291만 5000원이 증가한 92억 7081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9쪽 장사문화 개선사업은 전년 대비 19억 2790만원이 감소한 11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33쪽 보훈과 소관 사항입니다.
전액 시비사업으로 37억 7178만 2000원이 증가한 276억 5396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예산서 1286쪽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 복지국 소관 세출예산 보고드리겠습니다.
장애인복지과 소관으로 장애인 복리 증진을 위해서 서구 구립장애인 직업재활시설과 서구장애인종합복지관 기능보강사업비에 3억 2358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3년 복지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고 다음은 2023년 복지국 소관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복지국 소관 기금은 사회복지사업, 노인복지사업, 기초생활보장사업 3개 계정으로 운영되는 사회복지기금과 화장시설 주변지역 주민지원 기금으로 제안설명은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중심으로 보고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199쪽 사회복지기금 사항은 ’22년 대비 2억 4684만 1000원이 감소한 113억 2610만 2000원입니다.
204쪽 수입계획입니다.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206쪽 각 계정별 지출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기초생활보장사업계정 지출계획은 자활사업 창업자금, 전세점포 임대보증금 1억원, 자활한마당 등 4개 민간보조사업에 3억 3900만원, 예치금 3억 200만원입니다.
다음은 사회복지사업계정 지출계획입니다.
복지시책 개발과 운영에 2000만원, 긴급위기가정 지원에 3000만원,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지원에 3000만원, 예치금 2억 9000만원입니다.
다음은 노인복지사업계정입니다.
지출계획은 대한노인회 육성을 위해서 2개 민간보조사업 5100만원 지원과 예치금 6500만원입니다.
이어서 213쪽 화장시설 주변지역 주민지원 기금운용계획안 보고드리겠습니다.
2023년도 말 기금 조성예정액은 18억 4143만 7000원입니다.
218쪽 수입계획입니다.
2023년 화장시설 사용료의 10%인 75억에 대한 일반회계 전입금수입과 이자수입과 예치금 회수금액을 포함해서 24억 6329만 7000원입니다.
219쪽 지출계획은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복지국 소관 2023년도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