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환경연구원장 권문주입니다.
시민의 대변자로서 항상 시민의 복지증진과 시정발전을 위해 애쓰시는 김종득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러면 위원님들께 기 배부된 2023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따라 보건환경연구원의 2023년도 예산안을 주요사업 중심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02쪽 세입예산입니다.
세입예산은 2022년도 당초예산 19억 5983만 5000원보다 27억 441만 9000원 증액된 46억 6425만 1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세외수입과 국고보조금 등으로 세외수입인 시험검사 증지 수수료 수입은 전년과 동일하게 5억 6000만원으로 편성하였고 기금을 포함한 전체 국고보조금은 27억 3441만 9000원 증액한 41억 425만 4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국고보조금의 주된 증액요인은 코로나19 진단검사비 지원사업비 27억원으로 전년도 추경예산에 반영했던 국비예산을 ’23년에는 본예산으로 편성하는 사항입니다.
기금은 1370만원 증액한 4억 7203만 6000원으로 편성했고 주된 증액요인은 지역거점진단센터 진단장비 지원과 IGRA검사 지원사업비의 증가입니다.
다음은 예산안 606쪽 세출예산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세출예산은 2022년 당초예산 260억 117만 3000원보다 27억 8063만 5000원이 증액된 287억 8180만 8000원입니다.
먼저 시민보건강화 예산입니다.
2022년 본예산에 비해 23억 764만원 증가한 74억 2390만 2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606쪽 중간 신종감염병 대응 및 감시사업은 3억 4030만 5000원 증액된 4억 4923만 5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요인은 신종감염병 신속대응과 하수기반 병원체감시를 위한 자산취득비의 증가입니다.
608쪽 지역거점진단센터 진단장비 등 지원사업은 국고보조금 증가에 따라 75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09쪽 하단 보건 분야 국제학술교류사업은 중국 톈진시 질병예방통제센터와 우리 연구원 간 감염병 분야 학술교류 예산입니다.
전 세계적인 코로나 유행으로 인해 ’20년부터 지금까지 잠정적인 중단 상태이지만 ’23년 다시 추진하고자 합니다.
학술자문교수 2명에 대한 항공비용 증가분을 증액하여 편성하였습니다.
610쪽 코로나19 진단검사비 지원사업은 질병청의 100% 국비보조사업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위한 시험연구비 27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새로운 역학감시체계 구축(하수감시)사업은 ’23년부터 새롭게 시작하는 질병관리청 국고보조사업으로 하수기반 병원체 검사를 위한 시험연구비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12쪽 매개체 감염병 진단 및 감시는 공공운영비 및 자산취득비 변동으로 4256만 3000원을 감액하여 3억 1998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615쪽 유통식품검사 강화로 안전한 먹거리 제공사업은 장비구입 변동에 따라 자산취득비 감소로 인하여 2억 3834만원이 감액한 2억 3616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617쪽 중간 남촌농수산물 안전성 검사는 3256만 7000원을 증액한 3억 2253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요인은 노후화된 장비의 유지비와 수산물 등 업무 확대에 따른 시험연구비 등의 증가입니다.
619쪽 연구원 운영입니다.
1239만 9000원을 증액한 15억 2374만 5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요인은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보건안전관리위탁 예산과 청사 시설관리 자재비와 사회복무요원 인건비 등의 증가입니다.
다음 620쪽 대기관리시스템 운영은 2539만 3000원을 증액하였는데 이는 대기환경측정망의 신규설치와 노후 환경전광판 교체를 위한 시설비의 증가입니다.
621쪽 지자체 대기오염측정망 설치 운영은 도로변 대기측정소 신규설치와 내용연수가 경과한 2개 측정소의 장비교체를 위하여 1억 9000만원을 증액한 5억 85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622쪽 생활환경 오염도 조사는 악취 분석을 위한 재료비와 라돈측정기 등 장비분석을 위한 자산취득비의 증가로 1억 6727만 4000원 증액한 6억 1047만 6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625쪽 해양하천 수질환경 관리사업입니다.
2억 6380만원 증액한 5억 5661만 2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 증액요인은 인천갯벌조사와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수질 연구조사를 위한 재료비와 자산취득비의 증가입니다.
627쪽 하단 가축전염병 방역관리사업은 1123만 6000원이 증액된 2억 1157만 4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가축질병 관련 폐기물 냉동창고 수리 등 시설비 증으로 인한 증액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 629쪽 하단 방역장비 등 지원사업은 가축전염병 정밀검사 장비구입을 위한 국비보조사업으로 8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0쪽 축산물검사 및 위생관리사업은 가금류 도축검사 계획량 증가에 따라서 시험연구비 등 310만원을 증액해 1억 41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2쪽 중간 유통축산물검사 추진은 축산물검사 장비 밸리데이션 및 수리비 등의 증가로 1147만원을 증액하여 1억 3249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32쪽 하단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운영은 국고보조금 내시액 변경에 따라서 3333만 3000원 감액한 2억 6666만 7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634쪽 행정운영경비입니다.
인력운영비는 2022년 본예산 대비 1755만 6000원 증액한 144억 9161만 5000원으로 일반직, 연구직 등 177명 인건비와 청원경찰 4명, 공무직근로자 23명, 공중방역수의사 1명 등의 인건비입니다.
다음은 641쪽 기본경비는 일ㆍ숙직비, 수용비 등 1958만원을 증액하여 8억 270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요인은 물가상승으로 인한 전기, 가스, 유류 등 각종 공과금 등 공공운영비 증가입니다.
이상으로 2023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렸습니다.
시민보건 증진과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 등 시민행복을 위해 꼭 필요한 예산만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만 미흡한 부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원님들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리며 아무쪼록 위원님들께서 많이 지원해 주시고 또 원안대로 승인하여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