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먼저 조성혜 위원님도 지적해 주시고 강원모 위원님도 말씀해 주셨는데 이 사업을 전면 하자는 건 아닙니다. 부담을 갖지 않았으면 좋겠고, 부서가. 어차피 이것 전면 사업할 수 있는 내용도 아니고 시범사업 정도인 건데 그리고 그 시범사업은 어쨌든 공무원 사회에 각성을 주기 위한 그렇다고 보는 건데 저희가 처음 와서 예산의 성과계획서를 보고 경악을 했어요.
왜냐하면 성과지표가 대부분 집행률 공무원들의 현재 일하는 방식은 사업계획을 하고 사업승인이 나서 예산편성을 받으면 그 다음에 집행을 하지요. 집행률이 낮으면 일을 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 받고 의회에 와서도 질책을 받습니다.
그 다음에 정산을 하게 되지요, 감사 받고 해야 되니까. 그래서 이 사업을 바라보는, 사업을 가지고 공무원들이 일하는 것들은 어떤 걸 하냐면 집행과 정산에 다 맞춰져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내가 이걸 집행하고 정산하는 것 가지고 성과를 내야 되다 보니까 성과지표가 집행률이 돼 버리는 거지요.
그래서 그걸 조성혜 위원님이나 저나 계속 지적을 해서 지금 어느 정도까지 왔냐면 만족도 정도까지 왔습니다. 지금 이제 그 성과지표들이 만족도 정도로 바뀌었어요.
그런데 성과목표가 설정하기가 너무 어렵지요. 이게 어려워요, 되게 진짜. 저희도 지적을 하지만 부서가 그 사업계획에 대해서 지표를 이렇게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이 SIB를 하게 되면 이 SIB 핵심은 성과지표를 설정하는 겁니다, 성과지표를 만드는 것. 그리고 공무원들은 집행과 정산에서 벗어나게 해 주는 거예요, 사실은. 그러면 집행과 정산을 벗어나면 할 일이 없어져요, 사실. 그러면 성과에 집중하자는 거예요, 공무원들이.
그래서 이것은 꼭 시범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이것 경험하는 사람이 있어야 된다. 그래서 공무원들이 이걸 안 하려고 하지요, 당연히. 해 보지도 않은 일이고 어렵고 그렇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드라이브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금 이제 어디가, 어떤 사업들을 물어보셨는데 단년도 정산방식에서 벗어나야 되기 때문에 다년도 사업이었으면 좋겠고 지금 각 시ㆍ도가 시범하고 있는 것은 한 3년 정도 시범하고 있는데 저는 이제 이게 30년 짜리 사업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단, 정산을 조금 주기를 짧게 해서 해 주면 된다. 예를 들어서 식생활개선국민네트워크라고 해서 식생활개선 교육지원에 관한 법이 있습니다. 그 법에 의해서 식생활개선 교육을 각 군ㆍ구까지 다 조직이 되어 있는데 예산이 군ㆍ구에 한 이삼백만원밖에 배정이 안 돼요. 사업 자체가 안 돼요.
그런데 아마도 그 법을 만든 국회의원이 재선이 안 되셨나봐. 조직은 만들어져 있는데 예산 배정이 안 돼. 그러다 보니까 사업이 제대로 되질 않아요. 그런데 그런 식생활개선 교육지원을 통해서 한 이삼십년 후에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이 교육이 계속돼서 성인병 유발률이 얼마나 낮아지는가 그렇게 했을 때 의료보험에서의 어마어마한 예산이 세이브 될 것인가 이런 것들을 고민한다면 우리가 이런 단기간 사업으로 볼 것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있는 사업들을 하는 데 식생활개선을 어떻게 그것을 지표로 만들 것인가 하는 것들을 용역과정이나 그런 것들을 하게 되는 거고 공무원들은 초ㆍ중ㆍ고를 아이들이 다니면서 그것이 어떻게 개선됐는지를 지표를 관리하는 이렇게 되고 그 성과에 대해서 2년이나 3년에 한 번씩 보상해 주는 이런 것들도 저는 충분히 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게 지금 현재 하는 사업을 어떻게 맞춰볼까 이런 것보다는 사회적으로 어떤 분야에 어떻게 성과를 낼 수 있는가 하는 것들 시민사회에 아이디어를 공모를 해 본다든지 하는 방식도 가져볼 수 있다. 그러니까 시민 공모를 통해서도 해 볼 수 있다.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을 제안하기보다는 그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