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보건복지국장 김석철입니다.
연일 지속되는 의정활동에도 불구하고 시민이 행복한 인천을 만들기 위해서 항상 애쓰시는 존경하는 김유곤 부위원장님을 비롯한 문화복지위원회 여러 위원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먼저 제안설명에 앞서서 보건복지국 소속 과장님들을 소개하겠습니다.
신병철 복지정책과장입니다.
강경희 보건의료정책과장입니다.
김명숙 복지서비스과장입니다.
전명금 장애인복지과장입니다.
조명희 감염병관리과장입니다.
정혜림 건강증진과장입니다.
김순심 위생정책과장입니다.
(간부 인사)
지금부터 배부해 드린 예산안을 중심으로 2023년도 보건복지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간략하게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세입입니다.
보건복지국 총세입은 기정액 대비 1.3%인 220억 8037만원이 증가한 1조 6701억 7577만원이며 국가보조사업 확정내시에 따른 국고보조금 등 의존재원 및 2022년 사업 집행잔액 및 이자 발생액에 따른 세외수입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출은 기정액 대비 0.7%인 146억 2351만원 증액된 2조 1123억 3508만원으로 인천광역시 세출예산의 12.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소관 부서별로 세출예산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298쪽 복지정책과입니다.
사회복지회관 이전건립 중앙 타당성조사 용역에 2억원을 신규편성하였고 보건복지부 대체인력지원센터 인건비 1067만원 증액에 따라 시비로 지원 중인 대체인력지원센터 생활임금보전비 1079만원을 감액하였으며 국고보조사업 확정내시에 따라 지역자활센터 운영 6355만원, 청년내일저축계좌 사업 6억 3700만원 등 일부 사업을 감액하였습니다.
다음 300쪽 보건의료정책과 소관입니다.
인천시 의료기관과 강화군, 옹진군 등 도서지역 무료진료 업무협약 체결로 민간의료 무료진료 사업량 증가에 따라 2300만원을 증액하였으며 302쪽 공중보건 장학제도 시범사업 2040만원 증액,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1억원 증액,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비 지원사업 1억 4000만원을 증액하였고 305쪽 취약지 응급실 의료인력 파견에 6608만원, 영종국제도시 당직의료기관 지원사업 1억 5000만원, 307쪽 의료기관 스프링클러 설치 지원사업 1억 629만원, 수술실 안전관리 지원사업에 2억 3670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 309쪽 복지서비스과입니다.
최근 고독사 관련 사업 필요성 증대에 따라 AI 안부확인 돌봄서비스 사업에 66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사회복지관 공공안전을 위해 10개소에 12억 8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 312쪽 장애인복지과입니다.
보건복지부 지역보조기기센터 특성화 및 기능보강 사업 선정으로 지역보조기기센터 운영사업비 8700만원 증액, 313쪽 발달재활 서비스 사업 19억 7789만원 증액하였으며 314쪽 보건복지부 학대피해 장애아동쉼터 공모사업 선정으로 13억 61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316쪽 해내기 보호작업장 보수공사로 10억 7097만원, 2023년 장애인일자리 박람회 개최로 1억 2000만원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18쪽 감염병관리과입니다.
격리치료 감염병 입원치료비 8960만원 증액하였으며 320쪽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조치에 따른 임시 재택격리시설 운영지원에 15억 12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국가 예방접종사업에 16억 7305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 323쪽 건강증진과입니다.
장애인구강진료센터 진료장비 교체수리비 1억 5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325쪽 보건복지부 확정내시에 의해 광역통합 정신건강증진사업 3억 662만원 증액, 326쪽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인력 지원사업 5억 7564만원 증액, 정신요양시설 운영지원 4억 9063만원, 327쪽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사업 1억 4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 329쪽 위생정책과입니다.
식중독 위험성 증가로 식중독 예방 오염도 분석키트 구입비 4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의료급여기금특별회계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세입ㆍ세출 예산 규모는 기정액 대비 0.1% 증액된 7843억 6969만원입니다.
548쪽 세입 분야 주요내용은 의료급여특별회계 전년도 잔액인 순세계잉여금 8억 2879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550쪽 세출 분야 주요내용은 의료급여 건강생활유지비 및 임신출산진료비 사업비 조정으로 인한 예탁비 1억 8309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2023년도 식품진흥기금 제1차 변경계획안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배부해 드린 기금운용계획 제1차 변경계획안 105쪽입니다.
105쪽부터 107쪽의 운용총칙 및 자금운용계획은 유인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수입변경계획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08쪽 식품진흥기금의 세외수입으로는 식품산업진흥 등 유관단체 지원보조금 이자수입 280만원, 시비보조금 집행잔액 7770만 5000원, 식품산업진흥 등 유관단체 지원보조금 집행잔액 88만 4000원을 반영하여 기정액 대비 8138만 9000원 증가된 총 8억 367만 7000원, 보전수입등에서는 ’22년 결산을 반영하여 1억 2859만 4000원 증가한 14억 6607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주요 지출변경계획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10쪽 일반회계에 올해 주민참여예산으로 신규편성된 주방문화 개선사업과 주방환기시설 개선사업 2200만원을 삭감하였으며 식품진흥기금의 효율적 운용관리 민간융자금은 4월 말 기준 2억 4000만원을 소진하였고 융자금 신청수요가 증가 예상됨에 따라서 50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소비자 식품위생감시원 활동지원에서는 식품안전감시에 대한 참여 확대로 인한 감시원 활동비 수요 증가에 따라서 20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또한 111쪽 73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기간 중 인천 음식문화박람회와 연계 추진하여 진행될 인천 요리왕 선발대회 개최에 5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연도로 이월될 예정인 예치금은 결산 및 지출계획 변경에 맞추어 5억 8468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12쪽 연도별 기금조성현황과 113쪽 예치금 및 예탁금 명세는 유인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보건복지국 2023년도 제1회 추가경정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식품진흥기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앞으로도 위원님들의 각별한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리면서 끝까지 경청해 주신 위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