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87회 임시회 제2차 문화복지위원회
2023-05-15
재생속도

발언자 정보 / 부의된 안건

발언자 정보가 없습니다.

회의내용

일시: 2023.05.15.(월) 10:00 1.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김유곤 의원) 2. 2023년도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회의록 보기

확대 축소 초기화
제287회 인천광역시의회(임시회)
문화복지위원회회의록
제2호
인천광역시의회사무처
일 시 2023년 5월 15일 (월)
장 소 문화복지위원회실
의사일정
1. 2023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2.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3. 2023년도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접기
(10시 06분 개의)
의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87회 인천광역시의회 임시회 제2차 문화복지위원회를 개의하겠습니다.
권문주 보건환경연구원장님을 비롯한 관계공무원 여러분 반갑습니다.
시민의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위해 연일 매진하고 계시는 원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금일 의사일정은 제1항 2023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제2항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제3항 2023년도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등 총 3건이 되겠습니다.

1. 2023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그러면 의사일정 제1항 2023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상정합니다.
권문주 보건환경연구원장님 나오셔서 제안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환경연구원장 권문주입니다.
인천지역의 발전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항상 애쓰시는 김종득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 연구원의 4급 간부공무원과 총무과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공용우 질병연구부장입니다.
허명제 식약연구부장입니다.
허점건 대기환경연구부장입니다.
최상인 물환경연구부장입니다.
이주호 동물위생시험소장입니다.
이준형 총무과장입니다.
(간부 인사)
그러면 위원님들께 기 배부된 2023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따라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추경예산안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125쪽, 126쪽 세입예산입니다.
세입은 당초예산 46억 6425만 4000원 대비 117만 3000원 증가한 46억 6542만 7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세외수입으로 공공예금이자, 법인카드 포인트 캐시백 등 2351만 2000원을 예산에 반영하였습니다.
국고보조금은 ’23년도 가축방역사업과 전기자동차 보급사업 국고보조금 감액분 2536만 3000원을 예산에 반영하였습니다.
재무활동은 국고보조금 반환금으로 지역거점진단센터 운영사업비 등 ’22년도 국비사업 집행잔액 반납을 위해 302만 4000원을 예산에 반영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세입예산에 대한 설명을 드렸고 다음은 361쪽부터 세출예산입니다.
세출은 당초예산 287억 8180만 8000원 대비 2768만 1000원을 증액한 288억 948만 9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먼저 신종감염병 대응 및 감시사업입니다.
현재 국내외 코로나19 유행 상황 및 엔데믹 전환 등을 고려하여 급량비, 폐기물처리비 등 사무관리비와 업무추진비 1892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다음 해외유입 모기 매개 감염병 관리사업은 올해 사업범위 변경에 따른 인건비, 사무관리비 및 여비 감액분 184만원을 시약ㆍ소모품 구입을 위해 시험연구비로 이동 편성하였습니다.
362쪽 먹거리 안전성 강화사업은 삼산농산물검사소의 공공요금 등 인상에 따른 공공운영비 3643만원을 증액하고 네트워크 설치 및 밀폐형 시약장 구입 집행잔액 30만 1000원을 감액하였습니다.
남촌농수산물 안전성 검사는 수산물현장검사실 임차료와 공공요금 등 운영비로 2719만 6000원을 증액하였고 설치 전 상ㆍ하수도 및 전기공사비 1600만원, 실험대, 방화벽 등 장비구입으로 1841만 4000원을 각각 증액하였습니다.
363쪽 상단에 환경안전성 조사사업은 환경 분야 시험검사의 국제적 적합성 기반 구축사업 국ㆍ시비 구성비를 맞추기 위해 일부 수정 반영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 가축방역사업은 올해 가축방역사업 국고보조금 변경에 따라 예방약품 등 지원 재료비는 6307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또한 방역약품 등 지원 자산취득비 집행잔액을 활용하여 컨벤셔널 PCR 등을 구입하고자 합니다.
다음 364쪽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운영사업은 사업비 총액 안에서 기간제근로자 보수는 ’23년 생활임금 등을 반영하여 220만 8000원을 증액하고 사무관리비와 여비는 이에 맞게 감액하였습니다.
365쪽 전기자동차 구매 및 충전 인프라구축사업은 전기화물트럭 구매 국고보조금 감액분 200만원을 시비로 이동 편성한 사항입니다.
다음 재무활동은 국고보조금 반환금으로 인플루엔자 등 진단재료비 지원사업 등 ’22년도 국고보조금 사업 집행잔액과 이자 1193만 2000원을 세출에 반영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3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세입ㆍ세출 제1회 추경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렸습니다.
아무쪼록 원안대로 승인하여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권문주 원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수석전문위원 검토보고가 있겠습니다.
문화복지위원회 수석전문위원 김정은입니다.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검토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보고서 1쪽 총괄개요입니다.
2023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세입은 46억 6542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117만원을 증액편성하였고 세출은 기정액 287억 8180만원 대비 2768만원이 증가한 288억 94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쪽 세입 주요내역은 2022년 하반기 공공예금 및 보통예금 이자수입, 종합감사 관련 환수금, 법인카드 포인트 캐시백, 전년도 국고보조금 사용잔액 등을 신규편성하고 예방약품 등 지원과 전기자동차 구매 및 충전인프라 구축 국고보조금 감액을 반영하여 46억 654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세입의 재원별 구성으로 경상적 세외수입 등 자체세입은 5억 8351만원으로 총 세입의 12.50%를 차지하고 국고보조금 등 의존수입은 40억 7889만원으로 전체 세입의 87.42%를 차지하며 보전수입등 및 내부거래는 302만원으로 0.0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재원별 세부내역은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5쪽 세출 주요내역으로 코로나19 환자 수 감소세 등에 따라 신종 감염병 대응 급량비 및 폐기물처리비를 감액하고 가축전염병 검진 및 기생충 구제와 가축 혈청검사 국고보조금 감액분을 반영하였으며 전기, 냉난방 및 기타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삼산농산물 안전성검사와 남촌농수산물 안전성검사 공공운영비를 증액하고 수산물현장검사실 운영에 따른 임차료 및 시설비 등을 신규편성하여 기정액 대비 2768만원이 증액된 288억 94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정책단위별 주요 증감내역으로 시민보건 강화는 신종 감염병 대응 급량비 및 폐기물처리비 등을 감액하고 공공요금 증액분과 수산물현장검사실 설치에 따른 임차료 및 시설비 등을 반영하여 기정액 74억 2390만원 대비 7881만원을 증액한 75억 27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도시환경 관리는 환경 분야 시험검사의 국제적 적합성 기반 구축사업의 2023년 본예산 편성 시 입력 착오로 인해 국비와 시비의 구성비가 일치하지 않았던 인건비와 일반운영비를 구성비에 맞게 조정ㆍ편성하는 사항으로 향후 동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산 입력에 유의해야 할 것입니다.
가축방역사업은 가축 전염병 검진 및 기생충 구제와 가축 혈청검사 국고보조금 감액 등을 반영하여 기정액 14억 240만원 대비 6307만원이 감액된 13억 3933만원을 편성하였고 재무활동은 코로나19 진단검사비 지원 이자 및 지역거점진단센터 운영비 지원 집행잔액 및 이자 등 국고보조금 반환금을 반영하여 1193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쪽 세부사업별 주요 증감내역은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23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검토보고서
수석전문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질의ㆍ답변에 앞서 자료요구를 하실 위원님 계시면 요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응답하는 위원 없음)
자료요구 없으시면 질의ㆍ답변 순서로 들어가겠습니다.
다음은 질의 및 답변 순서입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장성숙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원장님 안녕하세요?
여기 임시적 세외수입에서 2022년 종합감사 관련 환수금 이게 작년에도 일부 있었던 것 같은데 올해 또 발생한 것 같아요.
그래서 이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요? 근무지 외 출장 숙박비와 병가 사용 부적정에 따른 환수금이라고 돼 있거든요.
답변드리겠습니다.
이 사항은 지난해 저희가 시 자체감사에서 감사에 지적이 된 사항으로 관외출장 시 행정적으로 좀 오류가 있어서 그 부분에 대한 환수조치 사항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개별적으로 환수가 다 완료가 돼서 지금 그 부분에 대해서 세입처리가 된 사항이 되겠습니다.
그러면 행정 지원하시는 분이 있으신 거죠, 연구원에도?
네, 그렇습니다.
그러면 앞으로도 아무튼 행정 처리할 때, 그 내용이 인천시 전체 동일할 것 아니에요, 그 지침은?
네, 그렇습니다.
그걸 잘 적용해서 했으면 좋겠습니다.
네, 앞으로는 이런 동일한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더 철저하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랬으면 좋겠고요.
또 가축방역사업이 지금 감액됐잖아요. 그런데 구제역이 지금 발생해서 걱정하는 부분도 있잖아요. 괜찮으신가요, 운영하시는 데?
일단은 저희가 이번에 감액한 사항은 작년에 가내시 부분에 대해서 이번에 확정된 내시가 농림축산식품부 쪽에서 약간 감액이 돼서 내려온 사항이고 만약에, 저희가 구제역 발생이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지만 또 불가피하게 발생을 하거나 예산 지원이 필요할 경우에는 중앙에서나 이런 쪽으로 지원 같은 경우는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되고 그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저희 연구원에서도 최선을 다해서 업무에 임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국고 기준이 바뀌어 가지고 그렇게 된 거죠, 예산에서?
네, 예산에 따라서 내려오는 예산이 좀 차이가 나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차이가 나서, 알겠습니다.
아무튼 예방을 철저히 해야 되겠고 그다음에 그런 게 발생됐을 때 대비할 수 있는 예산은 좀 확보가 돼야 된다고 생각이 되거든요. 그렇게 해 주시면 좋겠고요.
차질 없이 하겠습니다.
또 마지막으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예산안 364쪽인데 여기 감액된 부분이 정원 대비 현원 부족으로 되어 있어요.
그래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지금 굉장히 많이 일을 하고 있는 걸로 제가 들었거든요. 그리고 운영하는 데도 좀 어려움이 있고 그런데 이게 정원이 왜 부족한 거죠? 어떤 정원이 부족한 거예요?
저희가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 전문 직원이…….
수의사인가요? 아니면…….
수의사나 수의연구직입니다.
3명이 정원인데 지금 정원이 채워지지 않고 그런데 야생동물뿐만 아니라, 저희 연구원뿐만 아니라 지금 시도 마찬가지로 전국적으로 수의 직렬에 대한 결원 사항이 전국 공통적인 사항이어 가지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처음에 저희가 올 본예산 할 때는, 예산 산정을 할 때는 정원 대비를 했는데 불가피하게 결원 부분이 채워지지가 않아서 그 부분을 약간 일부 감액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채용 노력을 해도 채워지지가 않는 거예요?
네, 그렇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뭐 근로 조건이라든지 처우나 이런 게 딴 데랑 좀 달라서 그런가요?
아니, 전국적으로…….
아무래도 공무원으로 뽑는 거죠?
네, 그러니까 수의나 수의 직렬 같은 경우는 수의사 면허를 가지고 있는 직렬인데 그러다 보니까 공무원이 아닌 다른 일반 민간이나 이런 쪽의 처우가 훨씬 좋기 때문에 제 생각에는 아마 공무원으로 입사를 안 하는 분위기가 좀 있는 것 같아서 그 부분에 대해서는 중앙에서도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부분도 아무튼 이런 민간에서 동물병원 하시는 수의사님들하고의 그걸 따라갈 수는 없겠지만 여기 업무 자체가 좀 다르긴 하지만 그래도 채용을 하려면 어느 정도 그런 게 있어야, 현실적인 게 좀 반영이 돼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
고민을 많이 하겠습니다.
네, 건의 좀 해 주시고요. 그렇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장성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박판순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원장님 저는 수산물현장검사소에 대해서 좀 여쭤보고 싶어요.
진행은 어떻게 지금 현재 되고 있습니까?
말씀드리면 이번 추경에 반영이 된 것처럼 일단은 조직이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되지는 않았는데 저희가 인원에 대한 노력은 계속하고 있고 지금 현재 수산물현장검사소가 시급하게 설치가 돼서 수산물 검사 강화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판단이 돼서 저희 연구원은 일단은 저희 직원을 재배치, 인원을 재배치해서 3명 정도가 현장에 나가서 검사를 지원할 수 있도록 이번 추경에 임대사무소를 반영해서 거기서 일단 먼저 팀 운영을 해서 확대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그러면 위치는 거기…….
연안부두 어시장 인근의 건물입니다. 그래서 사무실은 저희가 다…….
합당한 사무실로 했어요?
네, 저희가 미리 얘기를 다 해서 임대는 추경예산만 확정이 되면 바로 진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수온이 이제 또 올라가는 입장이니까 시험검사소 역할이 되게 중요한 시기인 것 같아요. 그러니까 그것은 차질 없도록 잘 진행을 해 주시고요.
저는 조금 개인적으로 하나 여쭙고 싶은 게 지난번에 우리 위원님들하고 다 같이 보건환경연구원 현장방문을 했잖아요.
그런데 되게 협소하고 여러 가지로 환경이 취약하고 그다음에 또 어떻게 보면 강당도 없이 직원들이 거기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그다음에 또 원내 감염이 될까 봐 저는 되게 좀 불안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장기적으로 보면 보건환경연구원이 조금 더 넓어진 장소로 이전을 요구하고 해야 되지 않느냐 이런 과제가 있을 터인데 원장님은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을 하고 계시나요?
말씀드리면 시장님이나 부시장님께도 다 저희 연구원 청사의 이전 필요성에 대해서 계속 말씀을 드렸고 지금 현재는 공공시설혁신담당관 쪽의 공공시설 재배치 관련해서 용역에도 저희 사항을 반영해 달라고 요청을 드린 상황이고 지금 또 그것과는 별개로, 그것은 그것대로 진행을 하고 저희가 이전할 수 있는 부지 등을 자체적으로 검토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해서 좀 신속하게 진행이 될 수 있도록 저희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 위원님들께서도 지금 관심 많이 가져주시고 계시지만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네, 입지 선정을 할 때 보건환경연구원은 대민관계도 물론 일부는 있지만, 민원 수행도 일부는 있지만 조금은 지금 현재 시내 중심에 있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조금 더 떨어진 곳에 한적한 곳에 충분한 면적을 확보를 해서 거기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에 대한 환경 조성이 우선 좀 보호돼야 되고 또 자유로워야 되고 그렇게 생각이 들어요.
그런데 지금은 되게 업무는 많고 그다음에 협소하고 이렇기 때문에 어떤 공공시설물보다 가장 제일 우선적으로 보건환경연구원이 이전을 해야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갖습니다.
물론 저뿐만이 아니라 다른 위원님들도 다 같이 그런 생각은 하실 텐데 아무튼 원장님 책임지고 시와 협의를 해서 조금 외곽진 곳에 면적을 좀 알아보신다거나 해서 빠른 시간 안에 이전이 됐으면, 새롭게 그 기능에 맞게 지어져야 되잖아요.
보건환경연구원은 연구원의 기능에 맞게끔 지어져야 되는데 지금은 되게 협소해서 좁히고 좁히고 이렇게 돼 있는 거니까 그렇게 해서 한번, 대략 몇 평 정도가 필요할까요, 만약에 짓는다면?
저희가 현재는 기존 청사가 지금 별관까지 해서 연면적으로 3000평이 약간 안 되는 걸로 되어 있는데 저희가 지금 인원이나 조직이나 이런 걸 감안해서 약 6000평 정도를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구안은 한 5900여 평 정도 되는데 한 연면적으로 6000평 구상을 해서 지금 추진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아까 아울러서 지금 보면 안타까운 부분이 저희가 이렇게 업무가 늘어나면서 오히려 예산 폭이 좀 줄어든 경우가 있어요. 출장여비라든지 급량비라든지 이런 것들이 줄어들고 또 아까 장성숙 위원님 말씀하신 대로 인원에 대한 부분을 보니까 조금 인원이 사실은 적지 않습니까.
수산물현장검사소도 인원 배치가 안 돼 있으니까 조직 내부에서 다시 또 인원을 충원시켜야 되는 그런 애로사항이 있잖아요.
이 조직관리에 대한 부분은 건의를 해 보셨습니까?
저희가 매년 연간계획에서도 건의를 하고 신규 발생이나 아니면 필요성이 있을 때는 조직팀과 지금 긴밀하게 협의는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위원님 아시는 것처럼 시에서도 조직을 구성할 때 또 연구원만 배려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은 있겠지만 저희도 적극적으로 저희 필요성 같은 것을 좀 다각도로 더 건의하도록 하겠습니다.
원장님 고생이 많은데 인원하고 이런 환경적 부분에서도 조금 더 고생을 해 주시고요.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박판순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이강구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저는 최근에 3월 달인가, 우리 수질조사 좀 했었죠? 그때 수질조사한다는 얘기를 제가 들었었는데 워터프런트 호수뿐만 아니라 그 공원 내에 각 수질을 조사한다고 했는데 혹시 진행 결과 간단하게 들을 수 있어요?
말씀드리면 아직까지는 구체적으로…….
시작을 못 했어요?
아니, 시작을 못 한 건 아니고요. 아직 결과를 말씀드릴 만한 데이터는 나오지는 않았는데 저희가 그 부분에 대해서는 경제청이랑도 협의를 계속해 왔고 워터프런트에 대해서는…….
(관계관을 향해)
“분기별로 하는 거죠?”
분기별로 지금 8개 지점에 대해서 계속…….
하고 있어요?
워터프런트 1-2단계 구간 내려와 가지고 호수 부분이 제가 알기로는 뭐라고 그러나, 흙 걷어내는 작업들을 지금 하고 있더라고요. 그래서 물이 거의, 물을 빼는 작업도 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질조사는 진행이 되는 거예요?
저희가 그런 경우는 그러니까 이 워터프런트가 지금부터 약간 장기적으로 계획을 조성을 해서 하고 있는데 완전히 완료돼서 수질하고 아니면 지금은 초기단계거든요.
그래서 저희가 그런 조사 자료 같은 것을 계속 확보를 모니터링으로 해 놔야지 나중에 수질관리나 이런 것도 운영을 하면서 좀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저희가 기획을 해서 지금 운영을 하는 것이라서 그 부분이 만약에 공사가 진행 중이라면 저희가 공사에 대한 부분을 코멘트를 해 가지고 그 부분을 반영해서 수질조사를 나중에 평가할 계획입니다.
저번에 한번 자료에 보니까 13개 지점하고 뭐 이렇게, 해수 13개 지점 뭐 미추홀공원 해서 쭉 한다고 했는데 다른 데 같은 경우는 그냥 정상적으로 뭐라 그러나, 조사할 수 있는 그런 것은 갖춰져 있다고 보여지는데 아까 말한 워터프런트 1단계 같은 경우에는 또 수문 통해 가지고 물이 현재는 있고 제가 말씀드린 것은 그 호수 부분만 유일하게 지금 우리 수질조사하는 중에서 빠져 있는 것 같아요.
하기가 좀 애매한 상황인 것 같아서 그렇게 되면 제가 알기로는, 거의 한 3년 동안 공사하지 않아요?
네, 그렇습니다.
그러면 기존에 공사하는 것을 조사를 해서 다른 것하고 비교하기에는 조금 문제가 있다. 어차피 그 구간 동안은 일단 거기는 좀 제외시킬 필요도 있다 이렇게 생각이 들어서…….
저희가 그 부분은 사전에 몇 번 방문을 해서 지점을 선정한 사항이 되겠고요.
그 부분을 진행하면서 만약에 공사를 계속 지속적으로 해서 수질 채수가 어려운 상황이 되거나 하면 지점을 좀 변경해서 그 인근으로 해서 조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요. 알겠고요.
이것 수질조사 송도지역 관련해서 정리가 되면 결과와 관련해 가지고 자료 좀 나중에 한번 같이 공유하는 걸로 부탁드리겠습니다.
네, 드리겠습니다.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이강구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그러면 질의 및 답변을 종결합니다.
원활한 회의진행과 계수조정을 위하여 잠시 정회코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잠시 정회를 선포합니다.
(10시 32분 회의중지)
(10시 40분 계속개의)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1항 2023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서 위원님들 간에 충분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그러면 의사일정 제1항 2023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원안대로 가결코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원활한 회의진행과 다음 안건준비를 위하여 잠시 정회코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잠시 정회를 선포합니다.
(10시 41분 회의중지)
(10시 45분 계속개의)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김충진 문화체육관광국장님을 비롯한 관계공무원 여러분 반갑습니다.
인천시민의 문화향유 증진과 체육 발전, 관광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계시는 국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2.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김유곤 의원 대표발의)(김유곤ㆍ김종득ㆍ유경희ㆍ신영희ㆍ석정규ㆍ김용희ㆍ임관만ㆍ김종배ㆍ이인교ㆍ김명주ㆍ김대영ㆍ신충식ㆍ장성숙ㆍ이강구ㆍ이선옥 의원 발의)

다음 의사일정은 제2항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상정합니다.
김유곤 의원님 제안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십니까?
문화복지위원회 김유곤 의원입니다.
존경하는 김종득 위원장님을 비롯한 문화복지위원회 위원님들께 본 의원이 발의한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제안설명을 드리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의석에 배부해 드린 유인물과 같이 금번 개정안의 제안배경 및 주요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제안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본 조례안은 상위법 전부개정에 따른 조례를 정비하고 상호 연관성이 높은 두 조례를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규정의 실익이 없는 조문을 정비하고자 본 조례를 발의하게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본 조례안의 주요내용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조례의 제명을 인천광역시 도서관 및 독서문화진흥 조례로 변경하여 규정하였고 안 제5조 및 제6조는 인천광역시 대표도서관의 지정 업무 등에 관하여 사항을 규정하였습니다.
안 제7조에서 제12조까지는 인천광역시 도서관위원회 설치ㆍ구성, 임기, 회의 등을 운영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였고 안 제12조에서 제15조까지는 도서관운영위원회의 설치ㆍ구성 및 기능, 회의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였습니다.
안 제16조에서 제24조까지는 도서관발전진흥원 설립, 임원, 이사장, 사무기구, 재정지원 등에 관한 근거를 마련하였고 안 제25조에서 안 제27조까지는 독서문화진흥 시책의 추진, 독서의 달 행사, 민간단체 등의 활동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였습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라며 아무쪼록 본 조례안을 개정하고자 하는 취지를 감안하시어 원안과 같이 의결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유곤 의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수석전문위원 검토보고가 있겠습니다.
수석전문위원 김정은입니다.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에 대한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제안배경을 말씀드리겠습니다.
3쪽입니다.
도서관법의 연혁을 보면 당초 독서진흥에 관한 사항은 독서자료의 제공 등 도서관이 독서진흥에서 차지하고 있는 역할과 상호 연관성을 감안하여 1994년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으로 제정되었으나 독서문화 환경을 조성하고 진흥하기 위한 별도의 법률 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독서진흥에 관한 사항을 분리 규정하는 독서문화진흥법이 2006년에 제정되었습니다.
우리 시도 2019년에 독서문화진흥법을 근거로 인천광역시 독서문화진흥 조례를 제정하여 독서문화진흥 시책 마련, 독서의 달 행사 개최, 독서문화진흥위원회 설치, 민간단체 등의 활동 지원 등의 규정을 마련하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현행 도서관법에서 도서관이 수행하는 역할 수행에 독서문화진흥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법 위임사항과 공공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현행 조례에 따라 시 도서관 담당 부서에서 도서관 서비스를 통한 지속적인 독서진흥 활동 지원과 협력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4쪽입니다.
또한 독서진흥 관련 상위 법령인 독서문화진흥법 제3조에는 독서문화진흥에 필요한 시책을 수립하도록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조례에 직접 위임하는 사항이 없으며 도서관이 독서진흥에 차지하고 있는 역할과 상호 연관성을 감안하고 타시ㆍ도의 조례 현황을 종합 검토해 볼 때 독서진흥 관련 정책의 통일성을 기하고 시민들이 쉽게 관련 조례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본 개정안을 통해 두 조례를 통합하는 것은 타당한 것으로 사료됩니다.
다음은 보고서 5쪽 주요내용에 대한 검토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제명부터 안 제29조까지는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16쪽 안 제30조 포상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안 제30조의 시장은 도서관 발전 및 독서문화진흥에 공적이 있는 자에게 인천광역시 포상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라 포상할 수 있다고 규정하였습니다.
다만 인천광역시 지역서점 활성화에 지원에 관한 조례와 인천광역시 작은도서관 진흥에 관한 조례에서도 유사한 내용의 포상규정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조례와의 관계를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음은 별표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개정안 별표의 개정사항은 현행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에서 별지로 규정하고 있는 별표의 제목을 도서관 명칭 및 위치에서 공공도서관 명칭 및 소재지로 하는 등 일부 내용만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별표의 전부개정 방식에 맞지 않아 2022년 자치법규 입안 길라잡이 및 법제처 법령 입안 심사기준 등 입법례에 따라 “별표1과 별표2를 별지와 같이한다.”로 하여 안 제4조 공공도서관 관련 별표1과 안 제28조 사용료 관련 별표1을 부칙 다음에 개별 별지로 두어 공공도서관의 명칭 및 소재지, 공공도서관 사용료 등에 대한 사항을 실제와 맞게 정비하고 전체 상세내용을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다음 18쪽 부칙은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검토보고서
수석전문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본 조례안에 대하여 시 소관 부서의 의견을 청취하도록 하겠습니다.
김충진 국장님께서는 본 조례안에 대하여 의견 있으시면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당 조례는 2개의 조례를 통합해서 진행하는 사항이고 특히 도서관법에서 변경을 통해 한 사항이기 때문에 별다른 의견이 없습니다.
이상입니다.
김충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질의 및 답변 순서입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장성숙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개정안 4조 관련 별표1과 제28조 관련 별표2를 개별 별지로 두어 가지고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내셨는데 그것 동의하시는지 묻고 싶습니다. 우리 의원님께 묻고 싶습니다.
그게 규정이 바뀔 때마다 본 조에서 바꾸는 어떤 개정안 절차가 필요해서 별표로 정리를 했습니다. 그래서 별표에서 그 부분만 변경을 하면 되어서 그렇게 했고요.
그다음에 그 부분은 아마 행정안전부의 안이, 그 규정이 돼 있을 겁니다. 앞으로는 그런 규정을 할 때 그렇게 정리를 하라고…….
그러니까 동의하시는지요?
네, 동의합니다.
이상입니다.
장성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계시지 않으므로 그러면 질의 및 답변을 종결합니다.
원활한 회의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코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잠시 정회를 선포합니다.
(10시 53분 회의중지)
(10시 55분 계속개의)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2항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에 대해 위원님들 간에 충분히 논의한 결과 수정안을 발의하기로 하였습니다.
유경희 위원님 수정동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경희 위원입니다.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에 대하여는 조례의 적용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기 위하여 별표1 및 별표2를 각각 별지와 같이 수정하는 등 수정한 부분은 수정안대로 여타 부분은 원안대로 가결할 것을 동의합니다.
유경희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수정동의가 있으셨습니다.
본 수정동의에 대하여 재청 있으십니까?
(「재청합니다」하는 위원 있음)
재청하시는 위원님이 계시므로 유경희 위원님의 수정동의는 정식의제로 성립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수정안에 대하여 질의 및 토론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그러면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은 수정한 부분은 수정안대로 여타 부분은 원안대로 가결코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ㆍ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육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원활한 회의진행을 위하여 14시까지 정회코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정회를 선포합니다.
(10시 57분 회의중지)
(14시 01분 계속개의)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3. 2023년도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의사일정 제3항 2023년도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상정합니다.
김충진 국장님 나오셔서 제안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십니까?
문화체육관광국장 김충진입니다.
제안설명에 앞서 우리 국 간부공무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박정남 문화정책과장입니다.
유숙임 예술정책과장입니다.
이동우 문화유산과장입니다.
고은화 문화기반과장입니다.
박세환 체육진흥과장입니다.
김두현 관광마이스과장입니다.
문진 문화예술회관장입니다.
신순호 미추홀도서관장입니다.
마지막으로 지금 시립박물관장은 공석으로 이창석 관리부장이 대리 참석하였음을 말씀드립니다.
(간부 인사)
그러면 금번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2023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주요내용 위주로 위원님께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세입ㆍ세출 예산 총괄사항입니다.
문화체육관광국 세입예산은 747억 1017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9.06%인 62억 527만원을 증액하였고 세출예산은 4683억 3749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18억 227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그러면 일반회계 세입예산부터 주요사업 위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예산안 81쪽입니다.
문화정책과 세입예산은 기정액 대비 19억 6709만원을 증액한 234억 6273만원입니다.
주요내용으로는 지난해 ’22년 아트플랫폼 위탁사업 집행잔액 4억 80만원 등 보조사업 집행잔액 및 발생이자 8억 547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국고보조금은 문체부 종교문화시설 건립사업 확정 통보에 따른 강화 전등사 삼랑성 전통문화교육관 건립사업 10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예산안 84쪽입니다.
예술정책과 세입예산은 기정액 대비 8504만원을 증액한 6억 8038만원입니다.
주요내용으로는 ’21년도 인천 펜타포트 음악축제 등 7개 사업 집행잔액 및 이자발생액입니다.
예산안 84쪽입니다.
문화유산과 세입예산은 기정액 대비 1억 8039만원을 증액한 67억 433만원입니다.
주요내용으로는 각종 보조사업 집행잔액 및 발생이자 1515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국고보조금은 국가지정문화재 및 등록문화재 보수정비 사업 1050만원을 증액편성, 전통재료 생산기반시설 지원사업 1억 5435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86쪽 체육진흥과 세입예산은 기정액 대비 8억 1485만원을 증액한 372억 705만원입니다.
주요내용으로는 국고보조금으로 영종국제도시 국민체육센터 건립 지원사업 3억원을 증액편성하였고 인천광역시 반다비체육센터 건립 2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87쪽 관광마이스과 세입예산은 기정액 대비 29억 4983만원을 증액한 37억 5733만원입니다.
주요내용으로는 마이스산업 육성 지원사업 등 집행잔액 6억 5003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야간관광 활성화사업 7억원, 웰니스 의료관광 융복합 클러스터 사업 5억원 등 국비 기금 17억 752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예산안 127쪽입니다.
문화예술회관 세입예산은 총 8억 4846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22.9%인 1억 5847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회관 시설물 및 미화관리 대행사업비 이자수입과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예산안 128쪽 미추홀도서관 세입예산은 기정액 대비 372만원을 증액한 2억 990만원으로 국고보조사업 도서관 다문화 서비스 지원으로 35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예산안 128쪽 시립박물관 세입예산은 기정액 대비 305.3%인 4584만원을 증액한 6086만원으로 청소관리 대행사업비 집행잔액 및 발생이자분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안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예산안 279쪽 문화정책과 세출예산은 총 814억 5279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2.3%인 18억 6226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국고보조사업 강화 전등사 삼랑성 전통문화교육관 건립 16억 4000만원과 U-도서관 서비스 확대 보급 1억 2400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고 문화회관 등 위탁비 54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83쪽 예술정책과 세출예산입니다.
기정액 대비 1억 2445만원을 증액한 154억 7320만원으로 생활문화축제 5000만원과 문학산음악회 50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84쪽 문화유산과 세출예산입니다.
총 233억 8803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4927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과거 인천우체국 보존ㆍ활용 방안 수립 및 타당성검토 용역 72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23년 2월 6일 자 조직개편에 따른 업무 이관으로 인천상륙작전기념관 관리를 위한 인건비 및 청사관리비용 등 4억 1333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문화기반과 세출예산이고 조직개편에 따른 문화기반과 시책추진업무추진비를 편성한 사항입니다.
288쪽 체육진흥과 세출예산은 총 2284억 5478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3.7%인 89억 5855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동춘 인라인 롤러경기장 개보수 15억 4500만원, 계산국민체육센터 기계설비 교체공사 11억 9400만원 등 노후화된 체육시설 개보수 공사비를 신규편성하였으며 인천유나이티드 FC 운영 지원 및 시정홍보 15억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사업비, 지방채 상환 원금 중 지방채상환기금 부담분이 증가함에 따라 체육진흥과 예산 165억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94쪽입니다.
관광마이스과 세출예산은 총 381억 4505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13%인 44억 1206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국고보조사업 공모 선정으로 야간관광 활성화 14억원, 국제회의 복합지구 활성화 운영 지원사업 10억 6000만원을 신규편성했으며 웰니스 의료관광 융복합 클러스터 사업 5억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예산안 375쪽입니다.
문화예술회관 세출예산은 총 292억 9960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1.3%인 3억 8049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시립예술단의 찾아가는 공연사업 6000만원과 문화예술회관 직원 인건비를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예산안 377쪽 미추홀도서관 세출예산은 기정액 대비 3억 2207만원을 증액편성했으며 주요내용으로는 도서관 시설ㆍ환경개선 사업비 1억 7969만원과 자가대출반납기 구입비 50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예산안 380쪽 시립박물관 세출예산은 총 114억 97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0.9%인 1억 24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한국이민사박물관 및 인천도시역사관 청사관리를 위한 시설장비유지비와 공공요금 825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일반회계에 이어 특별회계 ’23년도 제1회 추경예산안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예산안 684쪽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입니다.
관광마이스과 세입예산은 2022년 인천시티투어 운영 이자수입과 집행잔액 356만원을 신규편성했으며 세출예산은 변동사항이 없습니다.
이상으로 문화체육관광국의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2023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충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수석전문위원 검토보고가 있겠습니다.
수석전문위원 김정은입니다.
2023년도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검토보고를 드리겠습니다.
1쪽 총괄 개요는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2쪽 일반회계 세입으로 예산액은 729억 3105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9.3%인 62억 527만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세입 총괄내역은 2쪽부터 6쪽까지 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6쪽입니다.
인천광역시 2023년도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규모는 10조 5302억 5637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4877억 4552만원이 증액되었으며 우리 시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 중 문화체육관광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세입 0.69%, 세출 4.32%에 해당합니다.
세입의 재원별 구성비율을 보면 경상적 세외수입 등 자체재원은 기정액 대비 19억 1709만원이 증액된 315억 3823만원으로 문화체육관광국 세입 전체의 43.24%를 차지하고 국고보조금 등 의존재원은 기정액 대비 42억 6230만원이 증액된 413억 6695만원을 편성하여 문화체육관광국 세입의 56.7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보전수입등내부거래는 전년도에 사용한 국고보조금 사용잔액과 반환금으로 2587만원이 신규편성되어 0.04%를 차지합니다.
다음 7쪽 세외수입으로 경상적 세외수입의 증감내역은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8쪽 임시적 세외수입 주요 증감내역으로 시ㆍ도비보조금등반환수입은 군ㆍ구에서 사용하고 남은 시비 보조금을 반환한 금액으로 2022년 어르신 생활체육지도자 활동 지원 집행잔액 등 3개 사업에 대한 반환금 7346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자체보조금등반환수입은 군ㆍ구외 공공ㆍ민간단체 등에서 사용하고 남은 시비 보조금을 반환받은 금액으로 2022년 영상산업 육성 1981만원, 2022년 e스포츠 등 게임 콘텐츠 육성사업 2794만원, 2021년 인천 펜타포트 음악축제 3541만원 등 집행잔액 1억 4563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위탁비반환수입으로는 2022년도 위탁사업 등에서 사용하고 남은 시비 보조금을 반환받은 금액으로 인천아트플랫폼 위탁사업 4억 80만원, 국제회의 복합지구 활성화 사업 1억 1091만원, 지역생태 육성을 위한 유치기반 강화사업 4766만원, 마이스산업 육성 지원사업 2억 4585만원, 문화예술회관 시설물 및 미화관리 대행사업비 1억 4863만원, 시립박물관 청소관리 대행사업비 4325만원 등의 집행잔액 12억 696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그외수입의 주요내역으로는 출자ㆍ출연금 반납 등 기타 타 과목에 속하지 않은 수입으로 2022년 인천 콘텐츠기업 지원센터 육성 4058만원, 2022년 XR 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 활용 확산 지원 7826만원 등 기정액 대비 2억 6521만원을 증액한 4억 381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쪽 국고보조금 등과 12쪽 보전수입등및내부거래 주요 증감내역은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13쪽 세출예산으로 예산액은 4546억 4737만원으로 기정액 4564억 4964만원 대비 18억 227만원이 감액편성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국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국비사업 확정내시에 따른 증감분, 성립전경비 및 사업계획 변경 등에 따른 예산 변동이 반영되었고 그 밖에 경기장 건설, 지방채 원금 상환, 다수의 국ㆍ시비 보조사업의 집행잔액과 정산이자 반납사항 등이 편성되었습니다.
다음 15쪽 부서별 증감내역은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 16쪽 신규사업 내역은 표를 참고해 주시고, 17쪽입니다.
문화체육관광국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주요 신규사업은 23개 사업으로 공모사업 선정 등 국비 확정내시 통보에 따른 편성사업과 각종 사업 추진에 따른 용역비 및 안전점검비, 시의 문화체육 기반시설의 확충과 노후시설 개보수 비용 등으로 99억 7391만원이 신규편성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국 전액 시비사업의 주요 편성 사유는 체육진흥과 소관 중 코로나19로 급증하는 생활체육활동 수요에 대한 충족 방안으로 시민생활체육대회 개최에 따른 지원비로 1억 9990만원을 편성하였고 시설 노후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 등을 위해 1999년 준공된 동춘 인라인 롤러경기장 개보수비 15억 4500만원, 계산국민체육센터 기계설비 교체공사 11억 94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십정체육공원 야외 배드민턴장 조성비로 3억 300만원, 선학체육관 연수구 사용ㆍ수익 허가 협약기간 만료에 따른 위탁운영비로 6억 80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신규사업은 본예산에 편성되지 않았다가 새로이 편성되어 최초로 시행되는 사업으로 본예산 편성사업에 비해 사업기간이 부족하므로 사업에 대한 검토가 미흡하여 실집행률이 저조하거나 당해연도에 집행되지 못하고 다음연도로 이월될 우려가 있으므로 예산편성의 타당성 제고를 위해 철저한 사업계획 수립이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24쪽 주요 증감사업 내역입니다.
문화체육관광국 제1회 1억원 이상, 30% 이상 증감사업은 그동안 코로나19 장기화로 위축되었던 시민축제 활성화와 문화향유권 증진을 위해 인천생활문화축제 및 문학산음악회 등의 사업비 증액과 국비 변경에 따른 예산을 반영하였으며 ’23년 2월 3일 조직개편으로 인해 인천상륙작전기념관 소관 사무가 보훈정책과로 이관되면서 관련 예산을 감액편성한 사항입니다.
다음 27쪽 전액 삭감사업, 국비보조금 반환금 주요내역은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29쪽 계속비사업입니다.
계속비사업은 지방재정법 제42조에 따라 “공사나 제조, 그 밖의 사업으로서 그 완성의 수년을 요하는 것은 필요한 경비의 총액과 연도별 금액에 대하여 지방의회의 의결을 얻어 계속비로서 여러 해에 걸쳐 지출할 수 있다.”는 규정에 따라 5년 이내로 하여 사업을 추진하게 되는 제도로 문화체육관광국 계속비사업은 총 11건으로 2023년 본예산 등 예산편성에 따라 다목적훈련장 신축 등 4건의 다년간 사업을 계속비사업 조서에 새로 반영하였고 동춘 인라인 롤러경기장 개보수 사업은 금번 추가경정예산안의 트랙 등 포장공사 범위의 확장과 소방 관련 법 등 법적사항 이행 필요 등으로 증액편성하여 연도별 투자계획, 총사업비 등 변경사항을 수정하였으며 또한 88올림픽 기념 국민생활관 개보수는 당초 사업계획에서 제외되었던 소강당 내부 리모델링 및 주차장 증축공사 등 남동구의 추가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총 공사비, 연도별 투자계획 및 사업기간에 대한 변경사항을 수정하였습니다.
다음은 36쪽 특별회계는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23년도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검토보고서
수석전문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질의ㆍ답변에 앞서 자료를 요구하실 위원님 계시면 요구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유곤 위원님.
인천FC 예산 중에 15억을 이번에 증액편성 요청을 하셨는데 여기에 대한 내역 부탁합니다, 15억이 어디에 필요한가.
15억에 대한 상세자료를 요청하신다고요?
네, 알겠습니다.
이강구 위원님.
우리 종합문화예술회관 찾아가는 공연 관련해서 최근 실적하고 올해 계획서 자료요구 좀 하겠습니다.
장성숙 위원님.
시민생활체육대회 관련해서 군ㆍ구 이렇게 지원하는 사업인 것 같아요. 그 내역을 좀 알고 싶습니다.
그건 구조가 단순합니다. 10개 군ㆍ구에 1000만원씩 배분하는 겁니다.
그냥 금액으로요?
어떤 종목이나 이런 것 없고요?
네, 그런 것 없이 그 앞에 약 1억 9000만원에 대해서는 저희가 여러 가지 기능별 예산이 준비되어 있고요.
나머지 지원 1억원에 대해서는 1000만원씩…….
1000만원씩 10개 구에?
네, 10개 군ㆍ구에 다 일률적으로 배분하는 겁니다.
일률적으로 배분해서 사용하는 처나 그런 것은 그쪽에서 알아서, 종목이나 이런 것은요?
네, 그렇습니다.
알겠습니다.
장성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자료요구 더 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그러시면 김유곤 위원님, 이강구 위원님께서 요구한 자료에 대하여 12부를 작성해서 빠른 시간 내에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질의 및 답변 순서입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박판순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국장님 이번에 필수 요청 사업을 쭉 훑어봤어요.
그런데 거기에 이동식 문화 인프라 조성 및 운영사업에 대한 내용이 있더라고요.
이것 어떻게 해 보실 계획이신가요?
이 예산은 명목상으로는 신규예산이지만 작년 본예산에 저희가 동구청에 경상사업보조로 5억원을 보낸 게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한 한 달 전에 동구청에서 동인천역 북광장에 있는 당 사업에 대해서 너무나 많은 인건비, 운영비를 요구해서 저희가 그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라고 협의를 했고요.
그것에 따라서 이건 신규사업이 아니라 동구청이 기존에 있던 5억원을 반납하기로 하고 저희가 당 사업을 저희 자체적으로 그러니까 3억 5000은 시설비, 1억 5000은 인건비, 기타운영비로 해서 설치ㆍ운영하고자 하는 사업이고 사업내용에 대해서는 크게 변동된 건 없습니다.
그러니까 일시적으로 증액 같아 보이지만 증액은 아니고…….
네, 5억원을 반납하기로 공문서상으로도 저희한테 얘기를 했고요.
저희가 5억원을 받게 되면 당 사업에 대해서, 다만 그쪽에서 요구하는 운영비나 인건비가 너무 불합리하고 이게 제물포르네상스 활성화를 위해서 필수불가결한 사업인데 그런 걸 감안했을 때 저희가 관광공사 위탁사업으로 하는 것이 인건비나 운영비 측면에서 훨씬 더 효율적이다 그렇게 판단을 했습니다.
그러면 이제 그건 충분히 이해를 했고요.
그다음에 신규로 이번에 추가경정에서 올라온 인천광역시장배 골프선수권 대회 있죠. 이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하실 계획이신가요?
모든 체육경기나 아니면 복지도 마찬가지겠지만 저희가 공직선거법이랑 연관된 부분들이 있습니다.
그런 부분들이 제거가 된다면 특히 포상금 같은 경우에는 공직선거법에 저촉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을 갖다가 축소한다면 행사를 하는 데는 크게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아, 그렇습니까?
그러면 예산이 편성된다 하더라도 운영의 그런 문제점이 있는 걸 잘 개선을 한다면 충분히 대회 개최는 별 문제가 없는 거네요?
그렇죠.
그런데 만약에 포상금이 적다고 하면 참여하는 선수들이나 단체들이 적어질 수 있는 이유는 되겠지만 그것 없이 저희가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여건은 됩니다.
이게 성인용은 아니죠?
네, 그렇습니다.
골프의 유소년들을 길러내기 위한 그런 어떤 대회인 거죠?
네, 그렇습니다.
알겠고요.
그다음에 가구 제작 및 구입이 올라와 있어요, 자산 및 취득비로. 이것에 대해서는 갑자기 6000만원이 올라와 있는데 이건 어떻게 활용하실 계획이신가요?
기본적으로 6000만원을 긴급하게 말씀드린 것은 지금 저희가 추경에 그것 말고도 미추홀도서관의 환경개선 사업을 1억 5000만원 요청한 게 있는데 이 6000만원을 별도로 요구한 것은 1층에 자료실 두 곳이랑 2층에 휴게실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휴게실을 잘 아시겠지만 코로나가 근 40개월 동안 저희 국민, 시민들을 괴롭혔고 그래서 거의 모든 시설들이 상당히 낡고 방치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1층 두 곳과 2층에 있는 휴게센터를 전면적으로 개보수해야 될 필요성이 있다라고 해서 6000만원을 긴급하게 요청한 사항입니다.
추가적으로 보완해서 더 챙기시겠다는 거죠?
네, 그렇습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여쭤볼게요.
예산안 84쪽을 보게 되면 2021년도 펜타포트 음악축제 했잖아요. 그렇게 하고 집행잔액이 이번 추경에 3500만원이 반환 세입처리됐잖아요.
조금 늦어진 이유가 뭔가요?
보통 당해연도 사업에 대해서는 정산시기가 당해연도 말이 되겠습니다.
다만 이 펜타포트의 특성상 보통 8월 초에 진행을 하게 되고요. 외국인 사업자도 들어가 있고 그렇게 해서 커뮤니케이션상에 문제가 있었다고 말씀을 드리고요.
그래서 그런 것들이 누적되고 또 왔는데 서류상 미비한 것들이 많이 발견이 되어서 저희가 보완조치를 요구하다 보니까 불가피하게 이렇게 늦어졌다는 양해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러면 하나만 더, 우리 펜타포트 음악축제가 2020년도 하고 ’21년도에 비대면으로 그래도 추진을 했잖아요.
네, 그렇습니다.
국장님 어떻습니까? 대면하고 비대면이 예산상에는 크게 차이가 없어요. 비대면을 했어도 예산은 많이 썼거든요.
비대면과 차이점을 둔다면 올해는 어떻게 하실 계획이신가요?
올해 저희가 편성한 게 14억 3000만원을 편성했고요.
그다음에 민간경상보조사업을 하면 한 32억 5000만원쯤 되는데 이게 왜 그러냐 하면 구조적으로 참여하시는 가수분들의 개런티가 일정해서 그렇습니다.
그렇죠, 개인별 네임밸류가 다르니까.
네, 구조적으로.
그래도 어차피 이 펜타포트 음악에 대해서 1차로 저희가 공개를 했거든요. 토요일 날 공개를 해서 6000매가 5분 만에 다 완판됐습니다.
왜냐하면 젊은 층 록(Rock) 매니아들은 많이 아는데 스트록스라고 굉장히 유명한 그룹이 참여를 하는데 이게 이런 자리에서 대외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좀 어렵지만 굉장히 많은 돈을 들이고 저희가 이번에 섭외를 했기 때문에 섭외비 이런 걸 감안했을 때 실제적으로 운영경비 그게 대면이든 비대면이든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하여튼 지금 인천의 대표 축제 중에 하나잖아요. 국내외 뮤지션들이 많이 참여하고 또 우리도 참여를 하고 하니까 차이가 없도록 진행을 잘해 주시고 사업비 정산에도 철저한 평가를 통해서 철저하게 잘해 주시기를 그렇게 부탁드리겠습니다.
네, 유념해서 진행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박판순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장성숙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국장님 저도 보조금 관리를 질의를 하려고 했었는데 펜타포트는 아까 외국인 사업자가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라고 그러셨고요.
그다음에 다른 부분도 조금 늦어진 게 3개 정도 있잖아요. ’21년도 건데 어르신 생활체육지도자 활동 지원 집행잔액, 관광안내표지판 정비사업이나 인천아트플랫폼 미술관 구축사업 이런 것도 좀 늦어진 거잖아요.
이런 것은 왜 그럴까요?
제가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기본적으로 2021년도 아트플랫폼 사업 같은 경우에는 저희가 1억원, 국비 2억원으로 진행했던 사업이고요.
그 2억원 중에 748만원이라고 하는 것은 크지 않은 금액입니다. 상당히 미미한 금액이고 이게 늦어진 것은 기본적으로 전산장비를 이용하다 보니까 사업자 쪽에서 좀 정산서류가 늦게 들어와서 늦어졌다고 말씀을 드리고요.
그러니까 2억원짜리 사업 중에서 748만원이 집행잔액으로 남은 사업이기 때문에 저희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보는데 이게 정산이 늦어진 것에 대해서는 위원님 지적에 대해서 겸허히 수용하고 차후에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그다음에 체육진흥과의 생활체육지도자 사업의 집행잔액이 이렇게 된 것은 지금 저희 생활체육지도자가 인천시에 182명이 있습니다.
그다음에 어르신 부분이 있고 일반이 있고 장애인 이렇게 나눠지는데요.
이 생활체육지도자분들의 인건비가 연간 한 3200만원, 3300만원쯤 되는데 이분들이 이게 한두 명으로 제가 지금 기억하는데 이 한두 명분들이 중간에 일을 그만두시는 바람에 이렇게 정산이 조금 늦어졌고 이분들이 또 그만두고 난 다음에 사직원 처리나 이런 것들이 빨리빨리 처리가 안 돼서 이런 문제가 발생했는데요. 그것은 저희가 별도로 한번 챙겨보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21년도 건데 그렇게 1년 이상 진행이 안 되는 거예요? 그게 좀 이해가 안 가거든요.
적어도 늦어도 작년도 말에는 저희가 본예산에 정리를 했어야 하는데 이것은 뭐 다른 사유가 있었는지 별도로 한번 체크해 보겠습니다.
네, 아무튼 그런 것을 깔끔하게 좀, 2월 안에 하는 거잖아요, 2월 안에. 그렇게 좀 해 주셨으면 좋겠고요.
그리고 국고보조금 반환도 2개가 굉장히 늦어진 게 있어요.
2016년도에 계양 유소년 축구전용구장 조성사업 발생이자 그런데 이자도 같이 정산되는 것 아닌가요, 그 사업비나? 사업비는 다 완납이 되고? ’16년, ’19년도 있고.
네, 이자도 집행잔액으로 다 정산이 돼야 되는데 그건 아마 감사를 하다가, 저희 자체감사가 아니라 외부감사를 하다가 지적이 된 것 같습니다.
그러면 그쪽에서 신고를 안 해서 그런 거예요, 시에다가?
그것은 제가 별도로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16년, ’19년 이게 2개가 이렇게 늦어진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것 같아요.
그것 지금 국비 정산에 대해서는 저희가 하는 게 아니라 문체부에서 하게 되는데요.
이것은 저희보다는 문체부를 문책해야 되는 게 국비 정산 확정통보를 작년 12월 달에 저희가 받았습니다.
이 2개년도 것을요?
네, 그래서 아마 문화체육관광부에서도 자체적인 점검이나 감사원 감사를 하다가 지적이 돼서 늦어진 걸로 제가 추정을 하고요.
이것에 대해서는 제가 별도로 한번 알아보고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그러면 시에서는 이 금액이 다, 전액이 국고보조금이기 때문에 관여하지 않는 거예요?
국비 문제에 대해서는 저희가 점검하거나 관리하지 않습니다.
전혀 관여 안 하고 관리하지 않고 이렇게 세입ㆍ세출만 관여를 해 주는 거예요?
네, 특히 세입 문제도 그렇고 세출도 집행잔액이 있으면 저희가 의무적으로 할당된 비율이 있습니다. 70대15대15, 보통 50대25대25인데 그런 것 감안해서 의무적으로 반납을 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런 것만 저희가 처리하지 국비 나머지에 대해서는 가타부타 의견을 내지 않습니다.
아무튼 문화체육부 거기에다가도 강력하게 얘기를 하셔야 될 것 같아요.
이게 너무 이렇게 보면 우리가 봤을 때는 너무 허술하게 관리가 되는 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들거든요.
네, 알겠습니다.
그리고 우리 마이스 업체 청년인턴십 있잖아요.
거기서 ’22년에는 48명 그래서 2년간 할 수 있는 건가 봐요, 그래서 올해까지 하는 거고?
네, 그렇습니다.
그다음에 ’23년도에는 30명이 예상인가요? 예정인가요, 채용이?
30명 그렇습니다.
예정인데 8명 지금 채용이 된 거고요?
네, 그렇습니다.
그러면 나머지는 언제 채용이 되는 건가요?
그것 어차피 저희가 행정안전부로부터 금번에 4억 4000만원 예산을 다 받았기 때문에 작년에 채용하던 분들 고용승계도 다 해서 진행을 하고 있고요.
나머지 분들에 대해서도 지금 하반기에 여러 가지 행사가 많기 때문에 그분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행사에 활용하고 그다음에 인건비 부분의 인센티브 또 교육비까지 다 집행할 수 있도록 그렇게 진행할 예정입니다.
그러니까 앞으로 22명은 더 추가로 채용을 하시는 거죠?
네, 행정안전부에서 이번에 4억 4000 그다음에 저희가 또 별도로 편성하는 4억 6000 다 합쳐서 문제없이 집행할 겁니다.
잘해 주셨으면 좋겠어요, 계획되는 대로.
그리고 2023년 국제하프마라톤이 선정이 취소돼서 감액이 됐잖아요, 전액.
2억원 감액됐습니다.
취소된 이유는 어떤 걸까요?
저희가 공모를 했는데 공모 선정된 사업자가 저희가 정한 요건에 부합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불가피하게 취소를 했고 이번에 그 2억원을 반납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 ’23년도에는 이 행사가 이제 없는 건가요? 다른 행사로 하시는 건지?
똑같은 행사라고 얘기를 할 수 없고요. 저희가 필수요청 예산사업에다가 국제경기대회 공모사업 6억원을 갖다가 지금 요청을 드린 바 있습니다.
아마 그것 중에 하나가 되지 않을까 예상을 하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지금 저희가 7개 사업에 대해서 한 56억원이 공모가 신청되어 있지만 어떤 사업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내부적인 검토가 필요하고 특히 위원님들의 의견을 받들어서 수렴해서 진행하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알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서구 아시아드경기장하고 계양구에 파크골프장 조성계획이 있으시잖아요.
그래서 보니까 올해 착공, 지금 어떻게 되나요, 진행사항이? 올해하고 내년까지로 아마 사업이 마무리되는 것 같은데 지금 파크골프장 수요는 굉장히 많은데 할 수 있는 장소가 부족해 가지고 계속 민원이 들어오거든요.
제가 그 내용은 좀 알고…….
연수구 쪽도 계속 늘려달라고, 그 홀 수를 늘리고 장소를 늘려달라고 계속하는데 여기가 제대로 빨리 정착이 돼야지 그게 수요가 분산이 돼서 좀 나아질 것 같아요.
저희 노인 인구가 인천시가 벌써 46만 명을 넘어가고 있고 지금은 17%밖에 안 되지만 한 3년, 4년 안에 20%를 넘을 것 같은데요.
파크골프장 수요도 상당히 많습니다. 저희가 지금 5개를 운영하고 있고 3개를 조성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3개 조성 중인 곳에 대해서는 좀 속도를 내서 하겠다는 말씀을 드리고.
파크골프장 수요에 대해서는 제가 복지국장 할 때부터 워낙 얘기를 많이 들어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여기 문화체육관광국장으로 왔지만 별도로 더 많은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네, 그것 차질 없이 진행을 잘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네, 유념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장성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유경희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유경희 위원입니다.
세부사업설명서 77쪽에 보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걷기대회 예산이 신규사업으로 편성이 됐어요.
그런데 이게 원래 작년에도 개최됐었고 코로나 때문에만 잠깐 멈췄지 그전에도 개최됐고 작년에도 개최됐는데 왜 본예산 편성이 아니고 추경 편성이 됐나요?
민간관리 심의를 득하지 못해서 절차상으로 늦어진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그 심의위원회에 들어갔었는데요. 그 4000만원, 2년 동안 열지 않다가 그러니까 민간관리보조심의위원회를 통해서 민간인들이 참여하는 그 위원회에서 절차를 거쳐야 되는데 그 절차를 거치지 않아서 본예산에 반영 안 하고 이번에 절차를 마치게 돼서 이번 추경에 세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그러면 지난해에도 개최한 걸로 알고 있는데?
그때는 그 절차를 잘 거쳐 가지고 본예산에 세우고?
당연히 거쳤을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그 절차를 좀 늦게 신청해 가지고?
네, 타이밍을 놓쳤던 것 같습니다.
타이밍을 놓치면 안 되는 것 아니에요?
글쎄 그게 보조금관리심의위원회 일정에 대해서 보조금관리위원회가 일찍 시작했다든가…….
(문화체육관광국장, 관계관과 검토 중)
보조금 사업을 2년 동안 하지 않았다가 다시 하는 바람에 이번에 받았다고 합니다.
보조금 사업을 2년 동안 하지 않았다가, 작년에는 그러면 사업은 했지만 보조금 사업은 아니었다는 말씀이신가요?
그러니까 계속사업은 안 했는데 쉬었다가 다시 했기 때문에 이번에 다시 받았습니다.
그리고 국제경기대회도 지금 3억 신규편성이 됐는데 제가 작년에도 국제경기가 어떤 어떤 게 있는지를 자료를 받아봤었거든요. 보니까 해마다 이렇게 국제경기대회가 쭉 있더라고요, 종목별로 있고 테니스가 좀 예산이 많고.
그런 국제경기 말고 지금 신규로 따로 편성된 건지 아니면 작년까지 그런 게 운영이 됐던 걸 예산을 못 받았다가 이번에 받은 건지 이것도 궁금합니다.
받은 건 아니고 아까도 제가 말씀을 드렸지만 지금 국제경기대회를 하겠다고 신청 들어온 종목이 7개가 있고 사업비를 다 합했더니 한 56억원이 됩니다.
그래서 코로나 때문에 본예산에 세우지 않았던 거고요. 지금 코로나가 끝났기 때문에 저희가 이번에 반드시 세워야겠다라고 해서 요청을 드린 사안입니다.
아, 코로나 때문에 안 세웠었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그러면 작년에 제가 국제경기대회를 그 부서에다가 종류별로 해서 좀 다 달라고 그래서 검토를 해 봤거든요. 그거랑 다른 내용인가요?
그 종목에 대해서는 저희가 들어온 종목을 어떤 걸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테니스를 할 건지 아니면 트라이애슬론, 마라톤 여러 가지 사업들이 들어와 있는데요.
그것은 종목별 수요 특히 거기 보면 국제경기대회라고 하는 게 외국인이 20% 이상 들어가야 되고 그다음에 국제연맹으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되고 이런 여러 가지 요건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 요건들에 부합하는지 먼저 한번 타당성검토를 한 후에 종목을 선택하고 공모사업을 6월 중에 실시할 예정입니다.
알겠습니다.
제 질문은 ‘그것 본예산에 왜 편성이 안 되고 추경에 편성이 됐냐, 계속 진행했던 것 같은데.’ 그게 질문이었는데요.
또 금액이, 그것 제가 죄송합니다.
답변을 드리면 금액이 너무 미미하게 잡혀 있어서 그다음에 아까 국제하프마라톤 대회도 2억원 잡혀 있었는데 공모사업자가 선정됐지만 요건에 맞지 않아서 취소도 됐고 그래서 그런 걸 다 포함해서 저희가 신청한 내용이 되겠습니다.
제가 마지막으로 한 가지만 더 여쭤볼게요.
인천 힙합존을 지금 준공 예정 중에 있어요. 인천 힙합존을 짓고 있잖아요. 이제 6월이면 준공을 한다고 하는데 너무 좋은 것 같아요, 힙합존이 생긴다는 것은. 홍보를 좀 해야 될 것 같은데 지금 6월에 준공이 되면 준공에 맞춰서 준공 공연 같은 것 하셔야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힙합존에 대해서는 부평구 사업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부평구에서 어떻게 할지 저희에 대해서 특별히 요청한 사안이 아직 없었거든요. 제가 아직 그것에 대한 보고와 검토를 받지 못했습니다.
그런가요, 힙합존이?
제가 듣기로는 이것 같이 시하고 해서 전액, 시랑 같이해서 조성을 했고 그래서 준공을 앞두고 준공식이라든가 준공 공연을 통해서 좀 홍보를 해야 되겠다라는 의견이 부서에도 있고 부평구에도 있고 한 것으로 저는 알고 지금 여쭤본 건데요.
이게 지금 저도 부평구에서 하는 사업만으로 알고 있었는데요.
이게 준공식 얘기는 들은 기억이 납니다. 들은 기억이 납니다. 준공식 얘기는 들은 기억이 나는데 저희가 이것에 대해서 지금 직접적으로 아직 검토를 한 건 없는데 홍보 문제에 대해서는 저희가 다양한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홍보를 할 수 있도록 그렇게 준비를 하겠습니다.
그런데 구체적으로 지금 어떤 예산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협의한 바는 없습니다.
이게 힙합존 같은 것 이렇게 준공은 해 놓고 홍보가 안 되고 그러다 보면 거의 이용을 안 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잖아요.
그래서 준공 시점에 문화공연 한번 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 그게 큰 홍보가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런 문화공연 겸 준공식을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여쭤봤습니다.
검토해 보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유경희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이강구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국장님 예산표에 보니까 지난번 본예산 때 삭감됐던 예산들을 다시 증액 요청을 해 온 게 있어요.
보니까 문학산음악회하고 생활체육대회인가요, 그렇죠? 이 2개가 본예산 때 일부 삭감됐었던 거죠?
기존에 본예산 때 생활문화축제 같은 경우 지금 현재 8000만원으로 돼 있는데 그때 1억이었는데 8000만원으로 삭감됐었나요?
문학산음악회 같은 경우는 연 2회로 해서 2억원 예산 잡혀 있었던 거였죠. 그래서 1회만 하자 하고 상징적으로 했던 것 같은데 이번에 보니까 5000만원씩 증액한다고 왔는데.
문학산 정상 음악회에 대해서는 이런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지금 모든 물가가 다 상승을 했는데 문학산 정상 음악회에 참여하는 분들에 대한 인건비적인 요소들도 많이 늘었고요.
그다음에 저희가 별도로 또 이번에 편성하고 준비한 것들이 안전관리비용들이 추가로 좀 많이 들었습니다. 여러 가지 안전관리 사고가 많이 나다 보니까 저희가 이번에 동춘동에 있는 롤러스케이트장도 안전관리예산을 갖다가 별도로 편성해서 이번에 추경 금액이 늘어나게 됐지만 그와 유사한 구조로 좀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문학상 정상 음악회에 대해서는요.
그다음에 생활체육대회 건 예산이 증액한 것은 지금 제가 확대간부회의 때도 발표를 한 적이 있어서 기억을 하는데요.
시민들이 코로나로 묶여 있었던 한 40개월 동안 생활체육에 대한 수요가 엄청나게 지금 증가가 된 상태입니다.
지금 WHO에서는 코로나 종식선언 비슷하게도 나왔지만 이번 생활체육대회의 예산은 코로나 이전의 예산을 갖다가 복원한 것이다. 그래서 저희가 기능별 예산도 다 준비를 했지만 그런 점에서 좀 양해와 이해를 바란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국장님 이 2개 관련해서 기존에 전년도 행사한 사업계획서하고요. 올해 새롭게 이 5000만원 증가해서 세운 계획서하고 자료 좀 제출해 주세요.
네, 알겠습니다.
그리고 아까 제가 자료요청한 것 지금 우리 문화예술회관 자료 갖다 주셨나요? 아직 안 왔죠?
문화예술회관 찾아가는 공연 관련해서 지금 57회에서 78회로 확대하면서 예산을 증액하는 내용이잖아요.
네, 그렇습니다.
기존에 이게, 잠시만요.
기존에 1억 2500만원에서 지금 4000만원을 증액하는 건데 기존에도 1억 2500만원이 순수하게 그냥 찾아가는 공연 수당 이런 개념이었어요?
네, 기본적으로 코로나 시절에도 연간 50회는 진행을 했었습니다. 작년에도 50회 진행했었습니다.
작년에 50회, 올해는 이제 좀 확대해서 한 80회 정도 하겠다는 거죠?
네, 코로나도 끝나서 지금 이런 음악회에 대한 여러 가지 수요가 있어서…….
좋아요, 좋은 것 같아요. 좋은데 지금 이 찾아가는 음악회가 현재 일명 섬, 오지 이런 데로 많이 찾아가요?
주로 문화적으로 소외가 된 곳을 집중적으로 동구나 중구 섬 이쪽으로 해서 저희가 중점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보통 이 비용이 지출되는 것은 찾아가는 공연 연주회라고 해서 세워져 있는 것 지금 우리 시립 교향악단이든 시립 합창단이든 이렇게 다양하게 있잖아요.
이분들에게 거의 수당 개념으로 해서 비용이 지출되는 거예요?
수당, 그렇습니다. 기본적으로 인건비적인 게 있고요.
그다음에 어떤 곳은 불가피하게 시설 설치비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령 시장에서 한다든가 그런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런 시설비를 다 감안해서 예산을 책정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그래요. 일단 알겠고요.
끝으로 마이스팀 관련해서 지금 마이스산업과인가요?
관광마이스과로 명칭이 변경됐습니다.
관광마이스과?
관광업무하고 마이스를 같이하는 거예요?
네, 그렇습니다.
잘됐네요.
지금 궁금한 게 원래 송도 컨벤시아 3단계 건립 추진계획이 어떻게 진행하고 있어요, 혹시?
그것은 제가 경제청 기조본부장 할 때 진행했던 사업인데요. 지금 용역 타당성을 올해 안에 완료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발주 시작도 안 했는데. 아, 계획이?
올해 안에…….
제가 2020년도에 그렇게 계획을 잡고 왔는데 요즘 추진되는 건 잘 모르겠습니다.
그것은 그러면 마이스 그러니까 시설이다 보니까 경제청에서 주최는 준비하는 거고 우리 관광마이스과에서는 의견 개진 이런 개념이에요?
네, 그렇습니다.
관광공사를 통해서 저희가 의견 제출을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관광공사 통해서?
시설 설치할 때 대행사업자가 지금 관광공사가…….
아니, 보통 시하고 경제청 어차피 산하기관이니까 이런 사업 진행하고 할 때는 어디 의견이 주도적으로 돼요?
어디를 가나 돈 내는 사람 의견이 가장 중요합니다.
정책 수립하고 할 때는 여기 의견을 반영해야 되는 것 아니에요?
그럴 여지가 있겠지만 그런 컨벤션 수요 이런 것에 대해서는 아마…….
거기는 그냥 시설만 만들어주는 거고 실제로 운영하고 이런 것은 또…….
그렇습니다.
그런데 3년 동안 워낙…….
어려워서?
실적이 안 좋았기 때문에 코로나 때문에.
그러니까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는 것에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거죠, 우리 본청도 그렇고 경제청도 그렇고?
네, 그렇습니다.
알겠습니다.
이것에 대해서는 제가 자료를 좀 더 받아봐서 하는 걸로 하고요.
이상입니다.
이강구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이선옥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국장님 안녕하세요?
도원체육관 수영장 노후시설 개보수 공사하실 거잖아요.
이게 이제 저한테 민원이 들어오기로는 타일 같은 게 떨어져 가지고 굉장히 힘들다는 민원이 많이 들어왔었는데 이번에 그것 다 공사하신다는 거죠?
네, 그렇습니다.
그러면 여기 또 뭐냐 하면 공사를 하실 때 안내판 같은 것 있잖아요. 안내판 시설도 좀 노후화된 걸로 알고 있거든요.
부대시설도 같이 종합해서 새 단장을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안내판까지 다 같이 하신다는 거죠?
그래서 제가 한번 여쭤보는 겁니다.
이상입니다.
이선옥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제가 질의 좀 하겠습니다.
우리 관련 부서 새로 바뀌신 과장님들도 계시고 계속 이어지는 과장님들 계시는데 작년에 예산이 편성 확정돼서 지금 사업들이 전반적으로 초기 단계에 있는 상태도 있고 아직 사업이 시작도 안 된 그런 게 있겠죠. 이런 부분들 우리 과장님들 잘 챙겨서 올 사업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내년으로 넘어가는 명시이월이 되는 사업이 없도록 잘 챙겨주시고요.
우리 국장님께 제가 여쭤볼 사항들이 좀 있는데요.
사실상 이 부분은 또 경인아라뱃길 관광 인프라 확충 문제인데요. 또 지역구 의원이다 보니까 관심이 더 많습니다. 그래서 질의 좀 하겠습니다.
경인아라뱃길 보면 자전거 라이딩 성지처럼 아주 멋지게 잘돼 있습니다, 그렇죠? 캠핑장이나 피크닉 등 인천시민들의 사랑을 많이 받고 있는 명소가 되고 있어요.
그런데 아라뱃길 수변 중간중간에 보면 관광자원이 매우 부족해요. 사실상 2조 몇천 억을 들여서 아라뱃길을 깊게 파서 홍수도 물론 방지되고 또 서울 한강까지 이어지는 이명박 대통령 때 했던 그러한 사업인데요. 실질적으로 수조 원을 들여서 해 놓은 상황에 사실상 주변에는 관광 활성화 인프라가 확충이 안 되고 있어요.
그래서 국장님께서도 이런 필요성을 인식하고 계시는가요?
그 점에 대해서는 저희가 4월 달에 검토한 내용이 있습니다. 말씀드리겠습니다.
4월 초순경에 서울시에서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그래서 서울시에 서울항을 만들어서 덕적도까지 가겠다라고 오세훈 시장께서 특별히 발표를 하셨는데요. 저희는 그것과 맞추어서 이 사업이 어떤 사업인지 먼저 알아봤고요.
기본적으로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가 65개 사업으로 구성돼 있고 저희 인천시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사업이 대략 한 10개쯤 됩니다. 그래서 10개 중에 가장 저희가 중요하다고 보는 것들이 경인아라뱃길을 어떻게 관광자원화할 수 있느냐라는 문제고요.
그것에 대해서 저희가 내부 검토를 한 적이 있고 다행히 때맞춰서 위원장님과는 무관하게 계양구청에서 요구한 사항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내부적으로 그 부분들에 대해서는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힌 적이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특히 지금 경인아라뱃길 관련해서 거기 황어장터 그다음에 수향원 이런 인프라를 갖다가 야간경관 도시에 걸맞춰서 새롭게 단장한다에 대해서는 제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찬성한다라고 실무자한테 의견을 개진한 적도 있고 제가 알기에 대략 사업비가 4억 7000만원 그다음에 부대시설비, 기타 행사비가 한 1억원 되는 것으로 기억합니다.
서울 그다음에 우리 인천 간에 이런 관광협력을 활성화하는 부분에 대해서 저희 담당 과장도 4월 달에 서울시 관광정책과장을 만나서 당 사안에 대해서 협의를 한 적이 있고 하반기에는 저희가 국내관광 산업이 한 12위로 상당히 저조합니다. 그래서 국내관광 산업을 갖다가 전환시킬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로 경인아라뱃길 관광 산업을 정책적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라는 말씀을 드립니다.
국장님께서 참 깊게 이해를 하고 또 많이 알고 계셔서 감사드리고요.
또 계속 이어서 질의 좀 하겠습니다.
체육회 운동경기부 지원에서 직장운동경기부 궁도팀 창단 이 문제는 작년부터 계속 이어왔던 건데 실질적으로 잘 안 되고 있는데 사실상 이 궁도팀이 각종 대회에 참가해서 상위 입상을 하고 있는 만큼 그 노하우를 바탕으로 육성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이 부분도 국장님께서 동의를 하고 계시는 건지 인지를 하고 계시는 건지 재차 질의 좀 하겠습니다.
궁도팀에 대해서는 제가 작년에 이 자리에 없었지만 예결위에서 뜨거운 감자라고 제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와서도 이 부분에 대해서 검토를 한 적이 있고요.
문제는 이제 예산상황인데 지금 저희 인천시가 34개 종목에 대해서 운동경기부를 가지고 있고 전체적으로 192억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궁도부를 창단하게 되면 연간 예산이 3억 5000쯤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크지 않은 예산이지만 이 예산상황을 매년 감당해야 되는데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제가 대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 쪽 예산만 받아서 매년 운영을 하면 상당히 부담이 될 수 있겠지만 저도 노력을 하고 우리 의회에서도 노력을 하게 된다면 국민체육기금이 연간 대한체육회에서 1400억 정도 지금 나오고 있습니다. 거기서 지원받아서 운영할 수 있는 여지도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을 갖다가 더 적극적으로 저희가 검토해 나가고 노력해 나간다면 궁도 경기부도 운영하는 데 크게 무리가 없을 거라고 예상합니다.
이상입니다.
잘 살펴봐주시기 바라고요.
그다음에 예산서 295쪽 보면 관광마이스과인데요.
해외관광 마케팅 활성화 이 부분인데 최근 국제관광시장이 회복되고 있는 상태고 또 여러 국가에서도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 많은 노력하고 있는 건 사실이잖아요. 또 국장님께서 더 잘 아시죠?
그래서 K-POP이나 드라마 등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많이 있고 그다음에 코로나 팬데믹이 끝나면서 이러한 부분 관광객을 유치해 경쟁력을 높여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우리 국장님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지금 대한민국의 관광 수요를 보면 일단 항공적인 측면 저희가 인천국제공항을 가지고 있으니까 지금 코로나 이전 대비 약 70%를 회복했습니다. 그다음에 최근에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9월까지 90%를 회복할 것이다라고 예측을 하고 있는데요.
이에 발맞춰서 저희가 외국 관광객이 들어오는 인센티브 비용예산에 대해서 조금 더 적극적으로 전향적으로 해 주십사라는 건의의 말씀을 드립니다.
인천관광공사하고 잘 협업을 해서 이런 부분 확충이 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나만 더 질의하겠습니다. 질의가 좀 길어지고 있는데 인천 풋살 연맹 회장배 대회가 있는데요. 현재 축구는 많이 열리고 있으나 생활체육인들이 사용하는 풋살 종목은 사실상 인기가 좀 부족한 실정이죠.
그래서 축구는 별도 축구팀들이 들어가야 하나 예비 선수들이 경기를 뛰지 못하는 경우도 많이 있지만 우리 여성 및 유소년들이 실력을 마음껏 뽐내지 못하고 있는 게 바로 이런 생활체육 중 하나인 풋살 활성화거든요.
이 부분은 또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운동경기 특히 생활체육을 활성화한다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고요.
다만 그 부분도 예산이 얼마나 들어갈지는 제가 잘 모르겠는데 지금 그 관련해서 저희가 생활체육회장기 대회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회장기 대회 명칭을 쓰는 조건으로 한다면 그쪽의 예산을 갖다가 활용한다든지 아니면 그것들이 부족하면 더 저희가 추가적으로 의회 측과 협의해서 요청해서 확보할 수 있으면 확보해서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겠습니다.
이런 부분 잘 살펴서 또 우리 국장님께서 잘 이끌어주시기 바랍니다.
박판순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한 가지만 더 여쭤볼게요.
구)인천우체국 있지 않습니까. 5월 말에 인천으로 넘어오잖아요. 여기에 대한 대체방안은 어떻게 갖고 계신가요, 국장님?
저희가 이번 추경에도 인천우체국 활성화를 위한 타당성 연구용역 7200만원을 했는데요. 금년까지 연구용역이 끝나면 ’25년도 상반기에는 새롭게 다 정비해서 제물포르네상스 사업의 중심축이 될 수 있도록 문화산업벨트의 핵심 앵커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저희가 준비 중에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그러면 용역을 통해서 어떻게 활용할 건지 활용방안에 대한 것도 용역결과가 나오면 좀 자세히 알겠네요.
네, 그렇습니다.
기본적으로 저희 위원장님이나 유경희 위원님께서도 이 부분에 대해서 토론회도 열어서 의견을 개진해 주셨지만 실질적으로 노후화된 시설을 어떻게 개보수하고 공간 구조를 만들 것인가에 대해서는 용역이 필요합니다.
잘 알았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님들께서 요구했던 요구자료는 아직 도착이 전혀 안 됐죠?
계수조정하면서 보죠.
그러면 계수조정할 때 보는 것으로 하고요.
또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그러면 질의 및 답변을 종결합니다.
원활한 회의진행과 계수조정을 위하여 잠시 정회코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잠시 정회를 선포합니다.
(15시 05분 회의중지)
(15시 23분 계속개의)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3항 2023년도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신중하게 검토한 결과 수정안을 발의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유경희 위원님 수정동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경희 위원입니다.
2023년도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세입예산안 중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600만원을 감액하고 세출예산안 중 경인아라뱃길 관광인프라 확충사업 등 10개 사업 20억 1500만원을 증액하고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1200만원을 감액하는 등 수정한 부분은 수정안대로 여타 부분은 원안대로 가결할 것을 동의합니다.
유경희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2023년도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수정동의가 있으셨습니다.
본 수정동의에 대하여 재청 있으십니까?
(「재청합니다」하는 위원 있음)
재청하시는 위원님이 계시므로 유경희 위원님의 수정동의는 정식으로 성립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수정안에 대하여 질의 및 토론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그러면 2023년도 문화체육관광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수정한 부분은 수정안대로 여타 부분은 원안대로 가결코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장시간 심도 있게 질의를 해 주신 여러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그리고 질의에 충실한 답변을 해 주신 김충진 국장님을 비롯한 관계공무원 여러분 수고 많으셨습니다.
이상으로 금일 의사일정을 모두 마치고 다음 의사일정은 5월 16일 화요일 오전 10시부터 여성가족국 소관 조례안 등을 심사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5시 25분 산회)
접기
○ 출석전문위원
문화복지수석전문위원 김정은
○ 출석공무원
(문화체육관광국)
국장 김충진
문화정책과장 박정남
예술정책과장 유숙임
문화유산과장 이동우
문화기반과장 고은화
체육진흥과장 박세환
관광마이스과장 김두현
문화예술회관장 문 진
미추홀도서관장 신순호
시립박물관관리부장 이창 석
(보건환경연구원)
원장 권문주
질병연구부장 공용우
식약연구부장 허명제
대기환경연구부장 허점건
물환경연구부장 최상인
동물위생시험소장 이주호
총무과장 이준형
○ 속기공무원
김남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