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보건복지국장 김석철입니다.
연일 계속되는 의정활동에도 불구하고 시민이 행복한 인천을 만들기 위해서 노고를 아끼지 않으시는 존경하는 김종득 위원장님을 비롯한 문화복지위원회 여러 위원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서 보건복지국 소속 과장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신병철 복지정책과장입니다.
강경희 보건의료정책과장입니다.
김명숙 복지서비스과장입니다.
전명금 장애인복지과장입니다.
조명희 감염병관리과장입니다.
정혜림 건강증진과장입니다.
김순심 위생정책과장입니다.
(간부 인사)
다음은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중심으로 일반현황과 2023년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일반현황 4쪽 예산규모입니다.
2023년 보건복지국 예산은 일반회계 1조 3143억원과 특별회계 7836억원을 합쳐 총 2조 980억원입니다.
기타 일반현황은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11쪽 주요예산사업 현황입니다.
총예산은 32개 사업 1조 9326억 8500만원이며 4월 30일 기준 9134억 6400만원을 집행하여 집행률은 47.3%입니다.
다음은 부서별 주요예산사업 추진사항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복지정책과 소관입니다.
19쪽 인프라 구축을 통한 지역복지 기반 확립입니다.
사회복지회관 입주 복지단체 중 22개 단체의 사무실 임대료를 무상 지원하고 있으며 인천사회서비스원 운영 및 남동구 영구임대주택 밀집지역에 주민 참여형 복지서비스 지원 등 33억 47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21쪽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입니다.
시설 종사자의 휴가, 교육, 병가 등으로 단기간 결원 시 대체인력을 통해 돌봄서비스 공백을 방지하는 사업으로 240개소에 518명의 대체인력 지원에 4억 23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23쪽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시민 안심복지 실현입니다.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취약계층 생계급여 등 12만 6727명 지원과 갑작스런 생계 곤란 등의 위기상황에 처한 1만 37가구 발굴ㆍ지원 등에 2311억 96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25쪽 저소득층 맞춤형 자활ㆍ자립 기반 조성입니다.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3131명에게 근로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저소득층 6083명의 자산형성 지원 등에 583억 5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건의료정책과 소관입니다.
29쪽 농어촌 보건기관 및 건강생활지원센터 기능 강화 운영입니다.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 병원선 대체건조, 건강생활지원센터 장비 확충 등 보건의료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자 추진하는 사업으로 23억 58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31쪽 공공보건의료 확충을 통한 보편적 의료이용 보장입니다.
공공보건의료기관 기능 강화로 의료서비스 격차를 해소하고자 인천의료원 운영 지원 등에 47억 40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33쪽 의료급여특별회계 운영입니다.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 10만 1944명에게 의료급여 및 요양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3262억 23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35쪽 책임의료기관 중심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 강화입니다.
지역보건의료기관 간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사업으로 책임의료기관 3개소 운영 지원에 8억 2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37쪽 안전한 보건의료환경 조성입니다.
공공심야약국 27개소 운영, 외국인근로자 의료지원 및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사업 추진에 3억 7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하반기에는 의료기관 스프링클러 설치 지원과 수술실 안전관리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39쪽 해외환자 유치 증대를 위한 의료관광 활성화입니다.
외국인 환자 유치기반 조성과 외국인 환자 유치를 증대하기 위한 사업으로 5억 67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41쪽 시민안심 응급의료체계 구축ㆍ운영입니다.
지역 내 응급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재난의료 대응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중증 외상전문 진료체계 구축, 응급의료 전용헬기 및 응급의료기관 운영비 지원 등에 58억 58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복지서비스과 소관입니다.
47쪽 맞춤 복지서비스로 복지안전망 강화입니다.
읍ㆍ면ㆍ동 통합 복지서비스를 지원하고 통합사례 관리를 통한 주민의 다양한 욕구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15억 24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49쪽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 인프라 확충입니다.
종합사회복지관 22개소 운영 지원과 종합사회복지관 15개소 기능 보강, 영종 종합사회복지관 건립비 지원에 105억 81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51쪽 민ㆍ관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복지서비스 제공입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협의회를 지원하였으며 1만 2080명에게 기부식품을 제공하는 등 23억 30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53쪽 노숙인ㆍ쪽방 지원 및 지역사회 서비스 활성화입니다.
노숙인 시설 6개소 운영을 지원하고 장애인 보조기기 렌털 등 23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을 지원하는 등 130억 53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55쪽 코로나19 생활지원비 지원입니다.
코로나19 확진으로 입원ㆍ격리된 자의 생활안정 지원을 위해서 40억 76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복지과 소관입니다.
59쪽 장애인 일자리 지원 확대를 통한 자립기반 강화입니다.
장애인의 사회 동참과 자립생활 기반 강화를 위해 장애인 1035명에게 공공 일자리를 제공하였으며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39개소 지원 등에 149억 46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61쪽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운영 내실화입니다.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55개소와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2개소 운영 및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기능 보강사업 등에 193억 17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64쪽 장애인 생활안정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강화입니다.
저소득 장애인 6만 1894명에게 장애인 연금 지급 등 생활안정 지원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장애인의 지역사회 안정적 자립생활 지원을 위해서 거주시설과 자립시설 99개소 운영에 706억 80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66쪽 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돌봄서비스 확대ㆍ강화입니다.
장애유형ㆍ가구 특성을 반영한 장애인 돌봄서비스를 지원하고 발달장애인 맞춤형 돌봄서비스 지원 등 705억 44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감염병관리과 소관입니다.
71쪽 안전한 방역 관리로 온전한 일상회복 지원입니다.
코로나19 격리입원 치료비를 7347명에게 지원하였으며 감염병관리지원단 및 임시재택격리시설 운영 등 33억 61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73쪽 감염병 위기관리로 선제적 의료대응체계 구축입니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운영과 역학조사관 업무활동 지원 등에 1억 78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75쪽 유행병 조기 발견 및 치료를 통한 삶의 질 향상입니다.
감염병의 조기 발견과 철저한 예방관리로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결핵관리 사업, 의료 관련 감염병 표본감시체계 운영 등에 17억 4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77쪽 시민과 함께하는 감염병 예방관리체계 구축입니다.
감염병의 조기 발견과 철저한 예방관리로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 국가예방접종 사업, 말라리아 퇴치사업, 에이즈 및 성병 예방사업 등을 추진 중에 있으며 311억 47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증진과 소관입니다.
83쪽 시민이 다 함께 행복한 건강도시 인천 조성입니다.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및 흡연율 감소를 위한 금연사업에 35억 45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87쪽 함께 소통하는 정신건강도시 인천 구현입니다.
정신질환자 관리 및 사회복귀를 위한 정신건강증진시설 32개소 운영과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자살예방사업 추진,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지원 등에 139억 14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91쪽 가치함께 누리는 치매공존도시 구축입니다.
치매 예방 및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한 통합서비스 실행을 통해 치매친화적 환경을 조성코자 하는 사업으로 치매안심센터 등 30여 개소 시설 운영과 치매전담형 요양시설 건립 등 65억 25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96쪽 맞춤형 건강관리로 시민 건강수준 향상입니다.
만성질환 유병률을 감소시키고 사각지대 없는 건강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저소득층에 대한 건강검진 및 의료비 지원, 방문 건강관리 사업 등에 77억 10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위생정책과 소관입니다.
103쪽 시민이 안심하는 외식환경 조성 활성화입니다.
선진화된 식문화 보급 조성을 위해 음식점 위생환경 개선 지원과 음식점 안심식당 지정에 5억 33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105쪽 어린이ㆍ어르신ㆍ장애인 식생활 안전관리 사업입니다.
영양사가 없는 급식소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11개소와 사회복지시설 급식관리지원센터 5개소의 운영ㆍ관리에 34억 50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107쪽 인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입니다.
식품산업 환경 변화에 능동적 대응을 위한 식품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한 사업으로 현재 인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위탁기관을 선정하여 7월 개소를 앞두고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현안사항입니다.
111쪽 의료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보건의료 인프라 확충입니다.
공공의료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제2인천의료원 설립과 영종지역 국립대병원 분원 유치를 위해서 정부 기관 및 관련 부서들과 꾸준히 협의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상으로 2023년도 보건복지국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ㆍ2023년도 보건복지국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