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경하는 신동섭 위원장님과 위원님 여러분 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 이병록입니다.
평소 우리 위원회에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으시는 신동섭 위원장님을 비롯한 행정안전위원회 위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를 비롯한 7명의 자치경찰위원들과 사무국 직원들은 ‘안전한 인천, 행복한 시민, 함께하는 자치경찰’을 슬로건으로 시민들에게 공감받고 신뢰받고 사랑받는 자치경찰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저희 자치경찰위원회에 애정 어린 지원과 협조를 부탁드리면서 간부공무원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반병욱 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장입니다.
다음은 정상구 자치경찰운영과장입니다.
김봉운 자치경찰정책과장입니다.
(간부 인사)
이상으로 간부소개를 마치고 2022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제2회 추경 예산안은 기정액 대비 4억 1873만 9000원을 감액한 100억 2232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출예산에 대한 세부내용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안 292쪽 자치경찰운영과 세출예산입니다.
기정액 101억 4226만원 대비 4억 724만 9000원을 감액하여 97억 3401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감액내용은 전용차량 임차료 1020만 5000원과 차량유류비 194만원을 감액하였고 코로나로 인한 대면회의 축소에 따라 중앙부처 업무협의 여비 300만원과 현안업무 수행여비 53만원을 각각 감액하였습니다.
그리고 공정한 인사관리 업무의 고충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참석수당 80만원을 전액 감액하고 자치경찰 후생복지 지원예산은 집행잔액 1억 2205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사업 2억 422만 4000원 감액은 계약 후 낙찰차액 발생에 따른 것입니다.
다음 293쪽 자치경찰운영과 행정운영경비입니다.
인력운영비 5500만원을 감액하고 부서운영비의 국내여비 608만원과 직무수행경비 342만원을 감액하는 사항입니다.
다음은 예산안 294쪽 자치경찰정책과 세출예산입니다.
기정액 대비 1149만원을 감액하여 2억 8831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감액내용은 코로나로 인한 기관 간 대면회의 및 실무협의회 운영 감소로 회의운영비 355만원을 감액하였으며 차량임차 기간이 줄어들어 차량임차료 340만원을 감액하고 타 기관 출장 감소 등에 따른 유류비 90만원, 국내여비 364만원을 각각 감액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2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이어서 2023년도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세입예산은 8억 780만 7000원, 세출예산 121억 6072만 7000원입니다.
예산안 79쪽 세입예산입니다.
세입예산은 위원회 및 사무기구 운영지원 예산 8억 780만 7000원으로 전액 국비 재원입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입니다.
362쪽 자치경찰운영과 세출예산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자치경찰운영과 세출예산은 총 43억 7686만 1000원으로 국비 8억 780만 7000원, 시비 35억 6905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역은 위원회 사무국 운영예산으로 시비 1020만원, 국비 5974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위원회와 사무국 운영을 위한 일반적인 경비입니다.
다음은 363쪽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른 홍보예산은 1억원입니다.
또한 자치경찰제도 발전 논의를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예산 2000만원을 편성하였고 자치경찰제 시민참여 협의체 운영 등을 위한 예산으로 159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공정한 인사관리 예산으로 자치경찰 인사관리 운영을 위한 1320만원과 자치경찰 후생복지 지원예산으로 22억 2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다음부터 예산안 366쪽까지는 행정운영경비 예산으로 위원회 인력운영비 17억 9481만 1000원과 기본경비 1억 2210만원입니다.
다음은 367쪽 자치경찰정책과 세출예산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자치경찰정책과 세출예산은 총 77억 8386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역은 먼저 시민체감 공감형 치안행정 추진 예산으로 자치경찰제도 관련 회의 운영비와 홍보물 제작 등에 2480만원, 실무협의회 운영을 위한 예산 400만원, 투명한 자치경찰사무 감사 진행을 위한 청렴교육자료 제작 등 1700만원입니다.
여기까지 자치경찰정책과에서 직접 집행하는 예산은 8344만 8000원입니다.
다음 367쪽 하단부터 374쪽까지 안전한 도시 조성을 위한 자치경찰활동 지원예산으로 모두 인천경찰청과 경찰서에 재배정하여 추진하는 예산이며 총 77억 41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먼저 협업치안 인프라 강화사업으로 시민경찰학교 운영비 1017만원, 방범협력단체 운영비 6000만원, 방범협력단체 안전장비 4642만원 등을 포함하여 총 1억 4640만 5000원입니다.
다음은 368쪽 지하철경찰대 등 특수지역 경찰활동입니다.
지하철경찰대 운영경비와 자산취득비 등에 3466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사회 안전진단 및 범죄예방을 위해 313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여성범죄 예방을 위한 여성안심거리 조성에 1억 5720만원을 편성하였고 생활질서 위반 단속ㆍ수사역량 강화를 위한 풍속업소 단속장비 구입비로 1200만원, 유실물 업무 종합관리 운영비 2200만원입니다.
369쪽 관광경찰대는 관광경찰대 외국어교육비 2160만원, 일반운영비 1462만원, 사무실임차료 1억 1200만원 등 총 1억 861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주취자응급의료센터 운영예산으로 1662만 8000원, 노후 범죄예방시설물 유지보수를 위해 시설비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또한 민생범죄 예방을 위한 물품구입 예산 150만원과 경찰 미배치 도서지역에 찾아가는 이동파출소 운영을 위해 18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370쪽 가정폭력 등 통합솔루션팀 운영, 맞춤형 보호ㆍ지원사업 예산에 3200만원, 가정폭력ㆍ학대 다기관 협업회의 운영비 240만원입니다.
계속해서 여성ㆍ청소년 범죄예방활동 예산 2770만원과 성폭력 범죄예방활동 5270만원, 무선 IP카메라 탐지기 구입비 420만원, 실종예방을 위한 지문사전등록 사업에 4696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같은 쪽 하단의 아동ㆍ노인ㆍ장애인 학대 예방활동 예산은 6000만원입니다.
다음 371쪽 아동안전지킴이 사업예산으로는 28억 9198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계속해서 아동안전지킴이집 운영예산 8747만 5000원과 위기청소년 선도ㆍ범죄예방활동을 위한 예산으로 소년범 조사 시 전문가 참여제 운영 9394만원, 선도심사위원회 운영 3485만원, 선도프로그램 운영 8470만원, 위기청소년 발굴ㆍ연계 1186만원 등 총 2억 253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범죄예방교육, 명예경찰, 경찰학교 운영예산은 범죄예방교실에 9602만원, 명예경찰소년단 운영에 1443만원, 청소년경찰학교 운영에 180만원 등 총 1억 1475만원입니다.
다음은 찾아가는 청소년안전버스 운영비 5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계속해서 예산안 372쪽입니다.
청소년 공동정책자문단 활동 지원을 위한 예산으로 1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교통안전 활동 예산으로 총 34억 3026만원입니다.
교육홍보 활동 예산 1억 4350만원과 가시적 교통안전 홍보시설물 설치는 5377만 9000원입니다.
다음 교통협력단체 지원 예산으로 피복 및 안전용품 1억 1161만 6000원과 활동지원비 1000만원입니다.
음주단속장비 구매 예산으로는 1676만원을 편성하였고 다음 373쪽 음주단속장비 운영 예산은 음주측정 소모품 구입비 2504만 2000원과 측정장비 검정ㆍ교정 및 수리비 9800만원으로 총 1억 2304만 2000원입니다.
계속해서 교통장비, 운영비 예산 4310만원과 교통활동 지원 물품구입 등을 위한 교통안전활동비 584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경찰서의 국제운전면허증 발급 관련 장비 구매 및 운영비 2014만 5000원입니다.
무인단속장비 예산은 장비운영비 18억 4661만 8000원, 장비 구매 10억 122만 6000원 등 총 28억 4981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끝으로 자치경찰정책과의 행정운영경비 예산은 3764만 8000원입니다.
이상으로 자치경찰위원회 2023년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금번 예산안은 자치경찰사무 수행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들 위주로 편성하였습니다.
예산편성된 사업들은 모두 적극적으로 원활하게 추진하여 시민안전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아무쪼록 원안대로 가결해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제안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