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안전본부장 박병근입니다.
제안설명에 앞서서 인천연구원 안전도시연구 출연 동의안을 가결해 주신 것에 대해서 진심으로 위원 여러분께 경의를 표하면서 감사를 드리겠습니다. 꼭 필요한 사업이었습니다.
시정발전과 시민의 안전을 위해 노고가 많으신 지금 임시 위원장님인 김대영 위원님과 여러 위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 시민안전본부 소속 간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김성훈 안전정책과장입니다.
백창열 자연재난과장입니다.
윤재선 재난상황과장입니다.
안채명 특별사법경찰과장입니다.
김도경 비상대책과장입니다.
(간부 인사)
지금부터 2022년도 시민안전본부 소관 일반회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시민안전본부 세입예산 규모는 493억 7459만 2000원으로 기정액 대비 200억 3553만 3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75쪽 안전정책과 세입예산은 287억 7264만 9000원으로 재난극복 및 일상회복지원금 시비보조금 집행잔액 231억 2824만 4000원 및 발생이자 9419만 7000원 등 기정액 대비 232억 2736만 3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76쪽 사회재난과 세입예산은 1억 3429만 9000원으로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위반 과태료 440만원 감액 등 기정액 대비 439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자연재난과 세입예산은 176억 1418만 2000원으로 성립전경비인 한파대책비를 포함한 특별교부세 6억 4000만원 등을 증액하고 우수저류시설 설치 국고보조금 50억원을 감액하여 기정액 대비 42억 2289만 4000원을 감액하였습니다.
77쪽 특별사법경찰과 세입예산은 126만 4000원으로 불법어업 단속기관 보조금 900만원을 증액하여 기정액 대비 900만원 증액하였습니다.
마지막 비상대책과 세입예산은 22억 5102만 5000원으로 접경지역 대피시설 평시활용 강화 편의시설 설치비 지원 특별교부세 9억원, 시비보조금 반환금 1억 3231만 7000원 등 기정액 대비 10억 3455만 4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입니다.
시민안전본부 세출예산 규모는 2157억 6697만 2000원으로 기정액 대비 86억 3585만 6000원을 감액하였습니다.
263쪽 안전정책과 세출예산은 973억 6062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4071만 3000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주요내역으로 안전도시 기본계획 수립 연구에서 3224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264쪽 사회재난과 세출예산은 3억 7693만 6000원으로 기정액 대비 913만 2000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주요내역으로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재난 및 안전관리 등에서 550만원을 감액하였고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 지원에서 263만 2000원을 감액하였으며 안전신고포상제 운영에서 2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265쪽 자연재난과 세출예산은 1104억 6977만 1000원으로 기정액 대비 93억 6563만 8000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주요내역으로 가좌2지구 우수저류시설 설치 100억원을 전액삭감하였으며 성립전경비 한파대책비 2억 8000만원, 호우대책비 응급복구비 3억 60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267쪽 재난상황과 세출예산은 12억 5364만 6000원으로 기정액 대비 7357만 2000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주요내역으로는 재난안전상황시스템 등 통합유지보수에서 6933만 2000원을 감액하였습니다.
268쪽 특별사법경찰과 세출예산은 9784만 2000원으로 기정액 대비 1597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주요내역으로는 단속ㆍ수사차량 임차 405만 5000원을 감액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269쪽 비상대책과 세출예산은 51억 1515만 7000원으로 기정액 대비 8억 6916만 9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주요내역으로는 사회복무요원 보상금 등 1192만 4000원을 감액하였고 민방위 교육훈련통지서 전자고지시스템 도입사업 1890만 7000원을 감액하였으며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 평시활용 강화 편의시설 설치비 지원 9억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2년도 시민안전본부 소관 일반회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고 이어서 2023년도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시민안전본부 세입예산은 금년 대비 86억 3466만 1000원이 감액된 178억 229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안 74쪽 안전정책과입니다.
금년 대비 7억 8620만원이 증액된 55억 562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으로 국제기구 관련 부담금 수입 10억 4620만원, 소방안전교부세 41억 5400만원, 세월호 일반인희생자 추모관 운영비 지원 국고보조금 3억 5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5쪽 사회재난과입니다.
금년 대비 552만 6000원이 증액된 1억 3547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으로 재난피해자 심리회복 지원사업 및 승강기 사고대응 합동훈련 등 5개 사업에 국고보조금 1억 2207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자연재난과입니다.
금년 대비 87억 8706만 1000원이 감액된 115억 6467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으로 공유재산임대료 세외수입 5237만 8000원, 우수저류시설 설치 등 국고보조금 115억 123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비상대책과 금년 대비 6억 3932만 6000원이 감액된 5억 6655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으로 민방위 교육훈련 및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 확충 등 7개 사업에 국고보조금 5억 6655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시민안전본부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금년 대비 141억 5288만 4000원이 감액된 864억 7422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먼저 예산안 290쪽 안전정책과입니다.
금년 대비 38억 507만 2000원을 증액한 404억 8647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편성사업으로는 시민 생활보호 및 불안감 해소를 위한 시민안전보험 가입 4억 4000만원, 세월호 침몰사고 일반인희생자 추모를 위한 세월호추모관 운영비 지원 3억 5600만원, UNDRR 복원력 허브도시로서 국제사회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국제안전포럼 1억 4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신규사업으로는 주요 공중이용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중대시민재해 예방ㆍ대응활동 지원 1673만원을 편성하였고 재난관리기금 전출금으로 377억 8869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94쪽 사회재난과 금년 대비 715만 7000원을 증액한 3억 7702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편성사업으로는 재난경험자들의 일상생활 조기복귀를 지원하는 재난피해자 심리회복지원 사업 7982만 4000원, 재난 초기대응능력 강화 및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국가재난대응종합훈련 등 9810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98쪽 자연재난과 금년 대비 154억 6168만 4000원이 감액된 422억 3167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편성사업으로는 갯골유수지 친수공간 관리비 4000만원, 상습 침수피해지역 예방을 위한 우수저류시설 설치 227억 4400만원, 민간건축물 내진보강 활성화를 위한 지진안전시설물 인증지원사업 1억 5050만원이며 신규사업으로 동신지구 옹벽 정비사업 7500만원, 공공시설물 내진성능평가 1억 39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재해구호기금 법정적립금으로 188억 9434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02쪽 재난상황과 금년 대비 6억 8889만 8000원이 감액된 352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감액사유는 기존 일반회계 사업을 재난관리기금으로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03쪽 특별사법경찰과 금년 대비 564만 8000원을 증액한 1억 194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편성사업으로 수사활동의 기동성 확보 및 신분노출 최소화를 위한 단속ㆍ수사차량 임차료 4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비상대책과 금년 대비 7억 2717만 9000원이 감액된 32억 2431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편성사업으로 국가위기관리와 비상대비태세 사전구축을 위한 예비군동대 육성 및 운영 지원 4억 2936만원, 주민안전 및 생존권 보장을 위한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 확충 4억 1600만원, 화생방 상황 발생 시 민방위대원의 수습활동을 위한 민방위대원 화생방 방독면 보급 1억 4351만 4000원, 안정적인 민방위 경보상황 전달을 위한 노후 경보시설 교체 10억 2500만원이며 신규사업으로 CCTV 영상정보 공유시스템 유지보수비용 975만원, 민방위 교육훈련통지서 전자고지시스템 유지보수비용 998만 1000원, 재난안전통신망 단말기 구입 821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고 이어서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시민안전본부에서는 재난관리기금과 재해구호기금 2개 기금을 운용ㆍ관리 중에 있으며 수입계획과 지출계획을 중심으로 두 가지를 순서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69쪽 재난관리기금입니다.
2023년도 말 조성액은 2022년도 801억 571만 1000원 대비해서 111억 6458만 2000원이 감액된 689억 4112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1쪽 자금수지 총괄내역으로 전년도 966억 7088만 4000원 대비 218억 8352만 2000원이 증액된 1185억 5440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2쪽, 73쪽 수입계획은 공공예금 이자수입 6억원, 군ㆍ구반환금 이자수입 1000만원, 군ㆍ구반환금 수입 5000만원, 예치금 회수 801억 571만 1000원, 일반회계 전입금 377억 8869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4쪽 지출계획은 재무활동을 제외한 사업지출액은 496억 1327만 7000원으로 시민안전본부 4개 부서에 150억 1420만원, 감염병관리과 등 5개 부서에 345억 9907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5쪽 주요 세부사업은 재난안전 전시회 개최 1억 500만원, 국가안전대진단 추진에 필요한 홍보물 제작비 및 시설물 보수ㆍ보강 1억 5000만원, 로고젝터ㆍ솔라표지병ㆍ반사경 등 범죄예방시설물 설치비로 2억원, 76쪽과 77쪽 신종감염병 대응 및 감시사업 시약 및 소모품 구입비로 9억 2500만원, 안전문화 홍보사업비 3억 4600만원, 군ㆍ구 재난발생 시 지원하기 위한 예비비성 사업비로 자치단체 경상보조 5억원 및 자치단체 자본보조 5억원, 종합건설본부의 교량ㆍ도로 유지보수 및 설해 예방사업으로 286억 4920만원을 편성하였고 78쪽 금융기관 예치금 및 의무예치금 689억 4112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9쪽 겨울철 제설작업용 장비 지원 7억 3750만원, 빗물펌프장 관리비 40억 9097만 5000원, 81쪽 폭염 예방활동 지원 및 폭염저감시설 설치 등 폭염 대책사업 8억 5700만원, 인천교 유수지 환경정비사업 등 유수지 유지관리비 23억 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2쪽 지능형 수위감시시스템 구축 3억 5000만원, 재난 및 안전영상 CCTV 설치 지원 40억 7200만원, 재난안전 상황시스템 통합유지보수 등 재난안전상황실 구축 및 운영 7억 8869만 2000원, 83쪽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 설치 운영 13억 6800만원, 코로나19 감염병 방역 지원사업 등 4억 8400만원을 편성하였고 84쪽 코로나19 역학조사관 활동 지원사업 2억 160만원, 코로나19 격리입원 재택치료비지원 1억 1639만 4000원, 85쪽 자동염수 분사장치 설치사업 17억 7000만원, 열선시스템 설치사업 7억 5000만원, 가로수 위험성평가 진단사업 2억 8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91쪽 재해구호기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2023년도 말 기금조성액은 전년도 조성액 422억 255만 9000원 대비 154억 1054만 8000원이 증액된 576억 131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93쪽 자금수지 총괄내역으로는 전년도 480억 3900만 7000원 대비 133억 7410만원이 증액된 614억 131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94쪽 수입계획은 공공예금 이자수입 3억 1620만원, 예치금 회수액 422억 255만 9000원, 일반회계 전입금 188억 9434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95쪽 지출계획은 재해발생 시 신속한 이재민 지원을 위한 예비비 성격의 사업비로 재해구호물품 구입비 2억원, 응급구호비 및 소상공인 지원 등 32억원, 96쪽 구호물자 창고 정비 등 3억 5000만원, 금융기관 예치금 576억 131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시민안전본부 소관 2023년도 계획안에 대해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시민안전본부에서 편성한 2023년도 예산은 300만 인천시민의 안전을 위해 편성한 사업인 만큼 내년에도 계획한 사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의 많은 이해와 관심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