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 전상배입니다.
2022년도 기획조정실 소관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주요내용 위주로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검토보고서 6쪽입니다.
일반회계 제2회 추경 세입예산은 108억 2463만 6000원으로 기정예산 대비 2억 1989만 3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주요 세입 내용으로는 교육협력담당관 소관 남동경찰서 임시청사 사용료 수입 8971만 7000원은 도림고등학교를 남동경찰서 임시청사로 사용 예정에 따라 2022년 1차년도 사용료를 세입조치하는 사항으로 도림고등학교 사용료를 인천시가 부과하는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7쪽입니다.
정보화담당관 소관 그외수입 982만 3000원은 2016년 농어촌 통신망 사업에 따라 2016년도에 기 지출된 부가세 반환금을 세입조치하는 것으로 2022년도에 반환금을 세입조치하는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8쪽입니다.
일반회계 제2회 추경 세출예산은 9077억 5634만 5000원으로 기정예산액 대비 184억 397만원이 증가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9쪽입니다.
주요 세출 내용으로는 정책기획관 소관 사무관리비는 기정액 2억 1240만원 중 1억 500만원을 감액하는 사항으로 집행잔액이 과도하게 발생한 사유와 2023년도 예산안에 2022년 본예산 대비 2억 9240만 4000원을 증액하여 요구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아울러 예산편성 시 연내 집행 가능성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보다 세밀한 사업계획 수립과 효과적인 예산편성과 집행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평생교육담당관 소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설치 지원 5억원 감액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신규 설치를 위해 편성하였으나 공모에 신청한 계양구에서 설계용역 중 암반 발견에 따라 연내 사업이 불가하여 전액을 삭감하는 사항으로 2023년 본예산에 편성되지 않은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0쪽입니다.
공립대학 운영비 200억원은 인천대 발전기금 2023년도 지원분을 신규편성하는 사항으로 2023년 본예산에 편성하지 아니하고 추가경정예산에 요구하는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국제평화협력담당관 소관 사업 중 국제기구 참여사업 증대 등 4개 사업에서 50% 이상 감액과 자매도시공무원 상호파견 등 3개 사업은 사업비 전액을 삭감하고 있습니다. 사업의 집행잔액 과다 및 미집행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1쪽입니다.
데이터혁신담당관 소관 연구용역비 4461만 9000원은 인천시 주요 현안이슈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구용역비로 당초예산을 주민참여예산으로 편성하고 낙찰차액을 감액하는 사안인데 빅데이터 분석 연구용역을 주민참여예산으로 편성한 사유와 그간 분석현황 및 활용방안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2쪽입니다.
스마트도시담당관 소관 시민참여로 만들어가는 인천형 디지털트윈행정 3400만원은 시정협치형 참여예산사업으로 편성하여 디지털트윈 크리에이터 양성교육 및 일자리 매칭, 데이터 구축사업으로 낙찰차액을 감액하는 사항입니다.
다만 이 사업은 2023년 본예산에 요구하지 아니하고 단년도 사업으로 종료되었는데 사업의 효과 및 성과물에 대한 활용방안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3쪽입니다.
다음은 명시이월사업으로 정책기획관 소관 2022년도 민간위탁 성과평가 용역 1억 원은 민간위탁 기간이 만료된 25개 사무의 성과평가 분석을 위한 용역비로 준공시기 미도래에 따라 집행잔액 4800만원을 명시이월하는 사항입니다.
스마트도시담당관 소관 인천형 XR메타버스 구축 9억 5600만원은 3차원 XR 공간데이터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비로 본예산에 신규 반영하는 사항이나 전액 명시이월하는 사항으로 사업 지연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4쪽입니다.
2022년도 학교용지부담금특별회계 제2회 추경 세입예산액은 기정예산 대비 15억 5626만 2000원이 증가한 163억 9344만 7000원입니다.
세입 내용으로는 학교용지부담금 14억 8000만원 증액은 100가구 이상의 주택건설용 토지를 조성ㆍ개발하거나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개발사업자에게 세대수 및 분양가격을 추계하여 징수하는 부담금으로 군ㆍ구 및 경제청의 세입추계 변동에 따른 징수액 증가분을 세입에 반영하고자 하는 사항입니다.
검토보고서 15쪽입니다.
2022년도 학교용지부담금특별회계 제2회 추경 세출예산은 기정예산액 대비 15억 5626만 2000원이 증가한 163억 9344만 7000원입니다.
세출 내용으로는 학교용지부담금 군ㆍ구 징수교부금 3505만원은 군ㆍ구에서 부과ㆍ징수한 징수금의 3%를 군ㆍ구에 교부하는 것으로 징수금 증가에 따른 기정예산액 대비 31.3%를 증액편성하는 것입니다.
검토보고서 17쪽입니다.
다음은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입니다.
세입 내용으로는 교육협력담당관 소관 그외수입 2169만 9000원 증액은 원도심 지역 초ㆍ중ㆍ고등학교의 노후시설물에 대한 환경개선사업 정산 결과에 따른 집행잔액을 세입에 반영하는 사항입니다.
기타회계전입금 5174만 6000원은 2020년과 2021년도에 학교 노후시설 개선 집행잔액 반납과 2022년도 집행잔액 삭감내역을 반영하고자 일반회계 전입금을 감액하는 사항입니다.
세출 내용으로는 교육협력담당관 소관 비법정전출금 3012만 7000원은 2022년 원도심 지역 초ㆍ중ㆍ고등학교의 노후시설물에 대한 환경개선사업 집행잔액을 감액 반영한 사항입니다.
다음은 2023년도 기획조정실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주요내용 위주로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검토보고서 6쪽입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219억 7371만원으로 전년도 예산액 대비 120억 6290만 5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주요 세입내용으로는 스마트도시담당관 소관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사업 166억 8200만원은 2023년 과기부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세입에 편성하는 사항으로 사업 전반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8쪽입니다.
다음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8336억 9775만 8000원으로 전년도 예산액 대비 561억 9948만 9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12쪽입니다.
인천평생교육 온라인플랫폼 구축 6억원, 퇴근길 인문학 교실, 집앞 배움터 1억 3800만원, 인천시민대학 운영 과정 확대 4억원은 주민참여예산사업으로 신규편성하는 것으로 지난 제282회 임시회 시 출연 동의안 의결 시 포함되지 않은 사업을 신규로 반영하는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법무담당관 소관 주민e직접 플랫폼 운영 5722만 6000원은 주민의 조례 청구 서비스를 위한 전산시스템 운영 비용으로 한국지역정보개발원과 플랫폼 운영 위ㆍ수탁 협약에 따른 지방비 분담금을 전년 대비 68.3% 증액 반영하는 사항으로 2022년 플랫폼 운영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3쪽입니다.
국제평화협력담당관 소관 외빈초청여비 2200만원은 자매ㆍ우호도시 17개국 37개 도시의 주요 외빈 초청에 필요한 항공료, 숙박료 등을 반영한 사항으로 2023년 초청계획과 다른 사업에 별도로 편성된 외빈초청여비와의 차별점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5쪽입니다.
북한이탈주민 주민정착 문화 및 현장체험 행사운영비 900만원과 행사실비지원금 300만원은 북한이탈주민 우수정착자를 대상으로 국내 유명 관광지 견학을 통해 우수정착자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편성한 사항으로 2022년보다 850만원 감액 요구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정보화담당관실 소관 제6차 지능정보화 기본계획 수립 3억 4600만원은 디지털플랫폼 정부, 지능형 행정서비스 등 국가 정보화 정책기조 변화에 맞춘 인천시의 정보화 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비를 신규편성한 것으로 사업계획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7쪽입니다.
인천데이터허브 구축 13억 8254만 1000원은 민ㆍ관ㆍ학 데이터 공동활용 체계 구축을 위한 사업비를 신규로 편성한 것으로 연구목적 및 결과물 활용계획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8쪽입니다.
인천디지털시정 유지관리 1억 4901만 7000원은 인천디지털시정의 안정적 운영과 새로운 기능 요구 등 신속한 반영을 위한 유지관리 비용을 편성한 사항으로 인천디지털시정 모니터 설치장소와 구성 콘텐츠 및 월 평균 이용방문자 수 등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스마트도시담당관 소관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사업(직접) 106억 250만원,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사업(지원) 92억 2500만원은 원도심의 스마트도시 활성화 추진 사업으로 광역 차원의 서비스 고도화 및 구축된 솔루션 보급과 확산을 위해 신규편성한 사항으로 사업 전반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디지털 마을플랫폼 유지관리비 5448만원은 주민자치회, 마을공동체 디지털관리 시스템 인천온마을의 유지관리비를 신규편성한 것으로 마을공동체 유지관리 비용을 스마트도시담당관실에서 편성한 사유에 대해 설명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계속비사업 내역으로 일반회계 계속비 스마트도시 기반시설 조성 총사업비 29억 2987만 2000원은 스마트서비스의 지속적 확대에 따라 고비용 임대회선을 자가통신망으로 전환하여 통신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자 추진하는 것으로 사업기간이 2023년 3월부터 2024년 4월까지입니다.
검토보고서 18쪽입니다.
2023년도 학교용지부담금특별회계 세입예산은 228억 1465만 2000원으로 전년도 예산액 대비 100억 1088만 2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특별회계 주요 세입 내용으로는 학교용지부담금 217억 4700만원은 지역 내 100가구 이상의 주택건설용 토지를 조성ㆍ개발하거나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개발사업자에게 세대수 및 분양가격을 추계하여 징수하는 부담금으로 2023년도 세입예상액을 계상하여 전년 대비 574%가 증가하였습니다.
다만 현재 고환율, 고금리 등으로 건설경기 침체가 2023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전년 대비 574%를 증액 요구한바 세입추계 근거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21쪽입니다.
특별회계 세출예산은 228억 1465만 2000원으로 전년 예산액 대비 10억 1088만 2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주요 세출 내용으로는 학교용지매입비 시ㆍ도분담금 46억 9625만원은 개발사업 지역 내 원활한 학교 신설을 위해 교육비특별회계로 학교용지 확보를 위한 비용을 전출하고자 전년 대비 63억 418만 1000원을 감액하는 사항으로 대상 학교가 4개교에서 1개 학교로 감소하였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2023년도 기획조정실 소관 기금운용계획에 대하여 주요내용 위주로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검토보고서 1쪽입니다.
남북교류협력기금은 인천광역시 평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 제20조에 따라 남북교류 및 통일정책 사업 지원을 위하여 2004년부터 설치ㆍ운용되고 있는 기금입니다.
기금조성 규모는 2022년도 말 조성액 78억 3640만원이며 2023년도 말 조성액은 62억 8825만 5000원입니다.
검토보고서 2쪽입니다.
수입ㆍ지출 규모는 35억 1225만 5000원으로 전년도 대비 4억 6579만 5000원이 감소하였습니다.
주요 수입내역으로는 예치금 회수 33억 3640만원은 2022년도 말 기준 금융기관에 예치되어 있는 자금을 예치금 회수로 계상하는 사항입니다.
예탁금 이자수입 9450만원은 여유자금 45억원을 통합관리기금에 2021년 3월부터 예탁하고 2023년도에 발생하는 이자를 반영하는 사항입니다.
검토보고서 3쪽입니다.
주요 지출 내용으로는 남북교류 협력사업 및 평화도시 조성 공모사업 12억원은 인도적 지원 분야, 사회문화교류 분야, 경제협력 분야 등 인천 주도의 남북교류 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비로 2022년도 사업추진 성과와 2023년도 사업계획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맞춤형 평화ㆍ통일교육 지원사업 및 평화음악회 2억 3000만원은 세대별 맞춤형 평화ㆍ통일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시민이 참여하는 평화음악회 개최비용으로 전년 대비 389.4% 증액하는 것으로 2022년 실적과 2023년도 사업계획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 조>
ㆍ2022년도 기획조정실 소관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검토보고서
ㆍ2023년도 기획조정실 소관 예산안 검토보고서
ㆍ2023년도 기획조정실 소관 기금운용계획안 검토보고서
(이상 3건 부록으로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