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시민소통담당관 유지원입니다.
올 한 해 저희 부서 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도와주신 신동섭 위원장님을 비롯한 행정안전위원회의 모든 위원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 소관 사업소 간부공무원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권세경 중앙협력본부장이십니다.
(간부 인사)
그러면 지금부터 시민소통담당관 소관 2022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 제안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세입예산은 총 1억 2714만 2000으로 기정액 59만원 대비 약 2만%인 1억 2655만 2000원을 증액편성하였으며 세출예산 총액은 24억 460만 5000원으로 기정액 대비 약 10.3%인 2억 7518만원을 감액편성했습니다.
먼저 세입예산안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예산안 70쪽입니다.
시민소통 분야 총 8건 중 이자수입 2건, 민간경상보조 및 민간위탁사업비 집행잔액 6건입니다.
2021년도 국민운동 활성화 지원사업 및 인천사랑운동사업 정산에 따른 집행잔액과 이자수입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안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예산안 234쪽입니다.
세부사업별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소통협력 분야 시민만족도조사 용역 낙찰차액 750만원을 감액하였고 인천시민시장 대토론회 운영 용역 낙찰차액 195만 6000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국민운동단체 및 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 지원입니다.
새마을운동 활성화 지원사업과 인천사랑운동센터 위탁사업 중 일부 사업이 코로나 상황으로 사업추진이 어려워 집행잔액 7225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새마을지도자 자녀 학자금 지원은 장학금 수혜 제외자가 발생됨에 따라 집행잔액 5250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민관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시민정책네트워크 운영계획을 대선 및 코로나 금지 제한사항에 따라 변경되었습니다.
해당 예산은 행사운영비 200만원, 행사실비지원금 100만원을 감액하고 시민사회단체 업무협의를 위한 국내여비 200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다음은 온라인 시민참여 지원사항입니다.
온라인 열린시장실 공식답변 형식이 현장답변으로 변경됨에 따라 영상편집 비용 1602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다음 예산안 235쪽입니다.
토론 TalkTalk 사업 종료에 따라 시민참여 활성화 이벤트 보상금 155만 4000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이어서 인권보호관 활동 보상은 코로나19로 인한 상반기 활동 미추진으로 인권침해 구제 서면조사로 실시하였으며 기타보상금 150만원을 감액하였으며 민주화운동 관련자 지원사업은 2022년도 지원 추이를 고려하여 1억 1190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다음은 291쪽 중앙협력본부 세출예산안입니다.
세출예산 총액은 8억 7708만 4000원으로 기정액 대비 약 5.9%인 5575만 7000원을 감액편성했습니다.
약 6개월간의 중앙협력본부장 공석에 따라 인건비 중 기타직보수 4645만 7000원과 직급보조비 480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또한 연초에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회의 진행 등으로 출장횟수가 줄어 국내여비 450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시민소통담당관 소관 2022년도 일반회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고 이어서 2023년도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에 대해 제안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시민소통담당관실 예산안에 대하여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예산안 228쪽입니다.
세입예산은 없으며 세출예산은 총 26억 3674만 8000원으로 전년도 대비 약 2%인 5484만 8000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그러면 세부사업별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시민참여 행정지원 사항입니다.
시정 주요정책에 대한 자문을 위한 시민행복정책자문단 행정지원 및 운영 등으로 4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소통 분야 정책 기반 마련을 위한 시정 주요 추진사업에 대해 시민소통을 위한 시민만족도조사로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시민토론회 개최로 행사운영비 9742만 6000원과 행사 실비지원금 192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시민토론회는 시민과의 소통을 통한 시정 공감대 형성과 시민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시정에 반영하기 위해 추진하는 범시민 소통플랫폼입니다.
다음은 국민운동 및 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 지원에 관한 사항입니다.
인천광역시 새마을회 등 국민운동단체 육성사업 지원과 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 사업 등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으로 전년 대비 1억 7782만 9000원을 증액하고 13억 8026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내년에도 국민운동단체와 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시민운동을 지원하여 인천시민의 자발적 시정참여 기회를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229쪽 새마을지도자 자녀 중 대학생 자녀에 대한 장학금 지원으로 1억 9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민관거버넌스 활성화 사항입니다.
시민정책 네트워크 운영비, 국내여비 및 업무추진비로 19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온라인 시민참여 지원입니다.
주요시책이나 현안이슈에 대한 시민참여 기회 확대를 위해 온라인 열린시장실 답변영상 제작 및 사무용품 구입 등 1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숙의기반 시민참여제도 운영입니다.
공론화ㆍ갈등관리위원회 참석수당 및 그 밖의 위원회 운영비로 1500만원, 공론화 조사와 토론회를 개최하기 위한 행사운영비 5000만원으로 총 6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체계적인 갈등관리입니다.
갈등조정전문가 활동지원을 위한 자문활동 수당, 인천시 갈등관리 매뉴얼 기획ㆍ제작, 실무자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비 등 총 2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각 부서별 정책사업을 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공갈등에 대한 사전예방과 효율적 대응을 통해 시민이 신뢰하는 인천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230쪽입니다.
시민소통실 사무관리비로 4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시민소통실은 시장실을 찾는 민원의 고충사항을 직접 상담하고 처리하는 중요한 소통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음 인권행정 및 인권교육입니다.
공직자 등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교육사업으로 234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인권위원회 및 인권보호관 운영은 우리 시 인권역량 강화와 인권증진을 위한 인권기구 운영 등으로 2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인권가치 시민공감 확산은 인권토론회 개최, 시민인권교육 등으로 1억 25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자치단체경상보조금 1억원을 참여예산으로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인천민주화운동 기반조성은 민주화운동 관련자 지원을 위해 1억 418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231쪽 인천민주화운동센터 운영은 인천지역 민주화운동 관련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민간위탁사업으로 3억 7625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중앙협력본부 소관 예산안입니다.
예산안 359쪽입니다.
세출예산은 총 9억 6886만 2000원으로 전년도 대비 약 3.86%인 3602만 1000원을 증액편성했습니다.
세부사업별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주요시정 대외협력입니다.
민선8기 시정홍보를 위한 기념품 및 홍보물 제작을 위해서 28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서울 및 세종사무소 사무실 임차료, 세종사무소 직원숙소 임차료 등으로 1억 179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또한 국회 및 중앙부처 관계자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위하여 업무추진비 353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행정운영경비입니다.
중앙협력본부 직원 인건비 및 사무실 운영을 위한 기본경비로 7억 8760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시민소통담당관 소관 2023년도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