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 전상배입니다.
2023년도 재정기획관 소관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주요내용 위주로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검토보고서 6쪽입니다.
일반회계 제2회 추경 세입예산은 5조 9816억 6950만 6000원으로 기정예산액 6조 2972억 247만 9000원 대비 3155억 3297만 3000원이 감소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7쪽입니다.
주요세입내역으로는 예산담당관 소관 지역상생발전기금 31억 4269만 9000원 증액은 지역상생발전기금 배분기준 개선에 따라 차액을 세입에 반영하는 사항입니다.
검토보고서 11쪽입니다.
납세협력담당관 소관 지난연도 수입 216억 2400만원은 연부취득 취소 및 조세심판원 심판청구 결정 등에 따른 지방세 환급으로 전액 삭감하는 사항입니다.
검토보고서 13쪽입니다.
공공시설혁신담당관 소관 차량 매각수입 550만원 감액은 내구연한이 경과하여 불용처리한 공용차량 13대의 매각대금을 세입에 반영하는 사항으로 다마스(73구5226) 낙찰포기에 따른 입찰보증금을 포함한 실제 매각금액이 2691만 3689원으로 예산안을 2691만 3000원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검토보고서 14쪽입니다.
2023년 재정기획관 소관 일반회계 제2회 추경 세출예산은 1조 2075억 4614만5000원으로 기정예산 1조 2194억 1948만 6000원 대비 118억 7334만 1000원이 감소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16쪽입니다.
주요세출내역으로는 예산담당관 소관 예산성과금 지급 1200만원 감액은 예산절약과 수입증대에 기여한 자에게 예산성과금을 지급하고 집행잔액 40%를 감액하는 사항으로 예산성과금 신청 16건 중 4건 1800만원을 선정하였는바 심의 결과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20쪽입니다.
지방세정책담당관 소관 차세대 지방세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4억 9013만 8000원 감액은 전자신고ㆍ납부ㆍ송달 등 지역 간 차별 없는 대국민 납세편의 제공 및 효율적인 세무업무 처리를 위한 지방세 정보시스템의 위탁운영을 위한 지방자치단체별 유지보수 분담금 조정에 따라 88.1%를 감액하는 사항으로 분담금 조정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2024년도 지방채 발행계획안에 대하여 주요내용 위주로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제안경위, 제안이유, 주요내용에 대하여는 배부해 드린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검토보고서 2쪽입니다.
2024년도 지방채 발행계획안은 발행 한도액 범위 내에서 별도 한도액 2226억 5800만원을 포함한 인천뮤지엄파크 조성 348억원, 도로개설 및 확장 공사 등 4건에 529억 9000만원, 통합보훈회관 건립 83억원, 수해상습지 개선사업 142억 2600만원, 인천대로 일반화 도로 개량 공사 278억 9100만원, 루원복합청사 건립 258억 5300만원 등 12건으로 총 3867억 1800만원을 발행하고자 하는 사항입니다.
검토보고서 3쪽입니다.
지역개발채권 발행 1261억 9800만원은 시민들이 자동차 등록, 각종 면허ㆍ허가ㆍ인가 및 계약체결 시 의무적으로 매입하는 공채로서 지역개발채권 매입기준 변경에 따라 전년 대비 20.8% 감액 발행하는 사항으로 인천시 현안사업의 투자수요 부족재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사항입니다.
2024년 지방채 발행사업은 도로개설, 수해상습지 하천 개선, 청사 건립 등 투자 사업의 부족재원을 지방재정법 제11조제1항에 따라 지방채로 조달하고자 하는 사항으로 6개 부서 총 10건 1640억 6000만원을 발행할 계획입니다.
검토보고서 4쪽입니다.
일반회계의 지방채 발행사업은 인천뮤지엄파크 조성, 금곡동~대곡동 도로개설 등 8개 사업에 1103억 1600만원이며 특별회계(원도심활성화)의 지방채 발행사업은 인천대로 일반화 도로 개량 공사 및 루원복합청사 건립 등 2개 사업 537억 4400만원입니다.
2024년 지방채 발행 10개 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면 인천뮤지엄파크 조성은 시립박물관 이전 건립, 시립미술관 신설, 구도심 내 문화시설 조성 등 인천에서 개별적으로 기획하였던 사업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단지에 조성하는 사업으로 2024년 지방채 발행액은 348억원으로 전체 발행액은 816억원입니다.
금곡동~대곡동 간 도로사업은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로 2022년 1월 착공하였으나 보상비 부족으로 2022년 3월부터 공사가 정지된 상황으로 주민 재산권 장기침해 우려로 2024년 지방채 200억원을 발행하여 추진할 계획입니다.
검토보고서 6쪽입니다.
신흥동 삼익아파트~동국제강 간 도로개설은 2023년까지 543억원의 지방채를 발행하여 추진한 사업입니다.
도심 내에 장기간 공사현장 존치로 주민불편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2024년 지방채 180억원을 발행하여 추진할 계획입니다.
검토보고서 7쪽입니다.
소암마을~대건고등학교 간 도로개설은 동춘1ㆍ2지구 주변 개발사업 구역 우회로 인한 주민 교통불편 해소를 위해서 2024년 지방채 102억원을 발행 추진할 사항입니다.
봉수대로 확장 공사는 기존 도로의 극심한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서 지방채 47억 9000만원을 발행하여 추진할 계획입니다.
인천통합보훈회관 건립은 노후되고 협소하고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보훈단체를 통합 입주하고자 83억원을 발행할 것입니다.
검토보고서 8쪽입니다.
교산천 수해상습지 개선지구는 강화군 양사면 교산리에 농경지 및 인가 등 침수피해가 우려되어 97억원을 발행 추진할 계획입니다.
다음 동락천 수해상습지 개선사업은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의 하도정비를 위해서 45억 2600만원을 발행하여 추진할 계획입니다.
검토보고서 9쪽입니다.
인천대로 일반화 도로 개량 공사는 용현동 기점~서인천IC 구간 경인고속도로의 옹벽, 방음벽을 철거하고 도로개량 및 공원화 등을 위해서 278억 9100만원을 발행하여 추진할 계획입니다.
루원복합청사는 258억 5300만원을 발행 추진할 계획입니다.
검토보고서 10쪽입니다.
2024년 지방채 발행 10개 사업에 대해 자금 종류는 현재 미정되어 있으나 다양한 차입선 중 합리적인 대안을 강구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음에 따라 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1쪽입니다.
종합검토의견으로는 인천시 현안사업 등 주요투자 부족재원을 지방채로 조달하고자 제안하는 2024년도 지방채 발행계획안에 대하여 특별한 이견은 없습니다.
다만 2024년도 지방채 발행이 계획안대로 승인되면 2024년도 말 우리 시 채무 비율이 12.9%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천뮤지엄파크 조성 등 지방채 발행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방채 발행에 따른 채무관리계획상 안게 되는 부담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채무 규모, 상환일정, 금리 등에 대해 보다 면밀한 관리는 물론 고금리로 차입한 지방채를 조기 상환하는 등 적정 수준의 채무를 유지하여 재정운용의 건전성을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2024년도 재정기획관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주요내용 위주로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검토보고서 5쪽입니다.
2024년도 재정기획관 소관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5조 9408억 2807만 9000원으로 전년도 예산액 5조 9814억 5186만 1000원 대비 406억 2378만 2000원이 감소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6쪽입니다.
주요세입내역으로는 예산담당관 소관 지역상생발전기금 151억 4652만 3000원은 수도권에서 출연한 지역상생발전기금 중 우리 시 재정지원분 배분액을 편성한 것으로 2022년도 지역상생발전기금 배분기준이 개선됨에 따라 전년 대비 75.6% 증액편성한 사항입니다.
검토보고서 7쪽입니다.
재정관리담당관 소관 2023년 인천도시공사 이익배당금 520억원은 2023년도 인천도시공사 당기순이익 예상에 따른 인천시 이익배당금을 신규편성한 사항입니다.
검토보고서 8쪽입니다.
보통교부세 8600억원은 기준재정수입액이 기준재정수요액에 미달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부족분을 교부하는 것으로 전년 본예산 대비 1.18% 증액편성하는 사항으로 2024년 정부예산안 보통교부세 감소에 따라 2023년 최종 예산액 대비 2.4% 감액편성한 사항입니다.
다만 정부예산안 보통교부세 감소 폭은 10.2%에 반해 우리 시는 2.4%로 소폭 감소한 예산안을 편성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9쪽입니다.
지방세정책담당관 소관 지방세 수입 4조 7697억 6100만원은 2023년 본예산 대비 2.15%인 1048억 6900만원이 감소하였습니다.
다음은 검토보고서 13쪽입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1조 1956억 2612만 9000원으로 전년도 예산액 1조 1612억 7360만 6000원 대비 343억 5252만 3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17쪽입니다.
주요세출내역으로는 재정관리담당관 소관 자치구 조정교부금 제도개선 용역 4000만원은 지방재정법 제29조의2 및 인천광역시 조정교부금 배분 조례 제17조에 따라 행정체제 개편에 따른 자치구 조정교부금의 합리적 배분방안 마련을 위하여 신규편성하는 사항입니다.
검토보고서 19쪽입니다.
군 조정교부금 207억 9711만 6000원은 강화군 및 옹진군에서 징수한 보통세 일부를 산정기준에 따라 배분함으로써 재원을 보전하고 자치단체 상호 간 재원조정과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고자 반영한 것으로 전년도 대비 11.8% 감액편성한 사항입니다.
조정교부금 교부액 산정기초가 되는 시세 4종 보통세의 2024년 세입예산은 770억 2635만 6000원으로 군 조정교부금은 2023년 제2회 추경 대비 1.56% 증액, 2023년 본예산 대비 11.79% 감액편성하는 것으로 조정교부금 군별 교부내역 및 산정기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22쪽입니다.
2024년 지방세정보화사업 9188만 5000원은 전자신고ㆍ납부ㆍ송달 등 지역 간 차별 없는 대국민 납세편의 제공 및 효율적인 세무업무 처리를 위해 지방세정보시스템 운영에 대한 지방자치단체별 유지보수 분담금을 반영한 사항으로 전년 대비 83.5% 감액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27쪽입니다.
공공시설혁신담당관 소관 지방재정 공제회비 16억 232만 3000원은 전반적인 부동산 거래가격 급락에도 불구하고 건물ㆍ시설물 재산가액 현행화 및 연평균 성장률을 반영하여 1년 사이에 공제회비가 33.9% 급증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경제청 회계 간 재산이관 토지대금 800억원은 회계 간 재산이관에 따른 토지대금을 경제자유구역청에 전출하기 위해 신규편성한 사항입니다.
경제자유구역사업특별회계에서는 시 일반회계로 이관된 송도6ㆍ8공구 및 11공구 등 재산의 반환에 대한 후속 조치사항을 반영한 것으로 송도11공구 등 토지 이관금액의 재산반환에 대하여 연도별 상환계획에 따라 2020년부터 1년에 500억원 이상 상환하고 있으며 2024년도에는 800억원을 상환하기 위해 신규편성한 사항으로 현재까지 이관토지 중 미상환 토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2024년 재정기획관 소관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하여 주요내용 위주로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검토보고서 1쪽입니다.
2024년도 재정기획관 소관 기금운용계획안 중 재정기획관 소관 기금운용계획안은 통합관리기금, 지방채상환기금, 지역개발기금 등 3개 기금이 해당됩니다.
검토보고서 2쪽입니다.
먼저 통합관리기금은 인천시에서 관리하고 있는 각종 기금의 여유자금을 활용하여 지역개발사업 등 현안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융자하기 위해 2000년 9월 25일 설치한 기금입니다.
기금 조성 규모는 2023년도 말 조성액 9776억 2246만 2000원입니다.
수입ㆍ지출 규모로는 6365억 3097만 3000원으로 전년도 7872억 4863만 1000원 대비 1507억 1765만 8000원이 감소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3쪽입니다.
주요수입내역으로는 공공예금 이자수입 193억 4128만 1000원은 예치되어 있는 통합관리기금의 이자수입을 반영한 사항으로 예치금 증가로 전년 대비 243.6%인 137억 1361만 3000원을 증액편성하는 사항입니다.
예치금 회수 4569억 1663만 2000원은 전년도 말 이월금인 금융기관 예치금 회수금액을 반영한 사항으로 전년 대비 18.4%인 1030억 2625만 6000원이 감액편성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4쪽입니다.
예탁금 원금회수수입 789억 7383만 6000원은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의 공공목적사업에 예탁한 원금을 회수한 것으로 수입에 반영하는 사항입니다.
검토보고서 6쪽입니다.
주요지출내역으로는 준공영제 재정지원 예탁금 2000억원은 버스준공영제 재정지원 융자를 위해 세출에 반영한 사항입니다.
예수금 원금 상환 3329억 3800만원은 지하도상가특별회계 등 예수금 원금 상환 요청에 따라 상환하고 세출에 반영한 사항입니다.
다음은 지방채상환기금입니다.
검토보고서 9쪽입니다.
지방채 원리금의 안정적인 상환재원 확보를 위해 1999년에 설치한 기금입니다.
기금의 조성 규모로는 2023년도 말 조성액 16억 1162만 7000원입니다.
수입ㆍ지출 규모로는 281억 2724만 2000원으로 전년도 533억 5343만 5000원 대비 252억 2619만 3000원이 감소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10쪽입니다.
주요수입내역으로는 일반회계 전입금 264억 10만원은 시장은 매년 일반회계 순세계잉여금의 100분의30 이상을 기금으로 적립해야 하므로 수입에 반영한 사항으로 전년 대비 42.8%인 197억 9990만원 감액편성하는 사항입니다.
검토보고서 11쪽입니다.
주요지출내역으로는 지방채증권 이자 상환 118억 1454만 6000원은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의 지방채에 대한 이자를 상환하고자 편성하는 것입니다.
지방채증권 원금 상환 162억 7210만원은 경제청 채무교환 등 5개 사업 지방채 발행 원금을 상환하고자 반영하는 사항입니다.
다음은 지역개발기금입니다.
주민의 복리증진을 위해 지역개발사업과 지방공기업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조달ㆍ공급하기 위해 설치한 기금입니다.
13쪽입니다.
기금 조성 규모는 2023년도 말 조성액 1조 1047억 5886만 6000원입니다.
수입ㆍ지출 규모로는 4031억 9136만 3000원으로 전년도 2658억 1808만 2000원 대비 51.6%인 1373억 7328만 1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14쪽입니다.
주요수입내역으로는 지역개발채권 매출수입 1261억 9800만원은 자동차 신규등록, 자동차 이전등록, 계약체결, 인ㆍ허가 시 지역개발채권을 최근 3년 동안 매출수입 평균을 추계하여 편성하는 사항으로 지역개발채권 매입기준 변경에 따라 전년 대비 20.8%를 감액편성하는 사항입니다.
최근 3년 매출수입 평균 추계를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하지 않고 2019년부터 ’21년으로 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7쪽입니다.
주요지출내역으로는 인천시 소속기관 융자를 위한 예탁금 2163억원은 소상공인정책과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등 3개 사업을 지원하고자 전년 대비 161.2%인 1334억 8792만 8000원을 증액편성한 사항입니다.
검토보고서 18쪽입니다.
지역개발채권 원금 상환 1368억 4341만 4000원은 2024년도 상환만기가 신규도래하는 2019년 발행분 채권의 원금 등 중도 상환 원금을 반영한 사항입니다.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 조>
ㆍ2023년도 재정기획관 소관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검토보고서
ㆍ2024년도 지방채 발행계획안 검토보고서
ㆍ2024년도 재정기획관 소관 예산안 검토보고서
ㆍ2024년도 재정기획관 소관 기금운용계획안 검토보고서
(이상 4건 부록으로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