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동아시아국제교육원장 김수로입니다.
늘 격려와 지원으로 동아시아국제교육원 발전에 도움을 주시는 존경하는 조현영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께 진심으로 감사 말씀드립니다.
지금부터 동아시아국제교육원 2025년도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일반현황은 보고서 247쪽부터 250쪽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고서 255쪽 주요예산사업 현황입니다.
금년 동아시아국제교육원의 예산 규모는 총 42억원입니다. 이 중 주요예산사업의 예산액은 36억 2600만원으로 4월 30일 기준 11억 15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이어서 사업별 세부 추진상황을 주요사업 중심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서 261쪽, 289쪽 1인 1외국어 교육 상설프로그램 사업입니다.
예산액은 일반 1억 7800만원, 용역 1억 3000만원 총 3억 800만원으로 이 중 일반사업 1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인천-뉴질랜드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으며 실시간 온라인 맞춤형 다국어 교육 프로그램으로 초등학생 171명, 중학생 133명 총 304명을 대상으로 1기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으며 향후 2기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보고서 264쪽, 292쪽 다국어 학습 플랫폼 운영 사업입니다.
예산액은 일반 6800만원, 용역 2000만원 총 8800만원으로 이 중 일반사업 3000만 원, 용역사업 10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국어 학습 플랫폼 다:락(악)방을 통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태국어를 학생 맞춤형 실시간 온라인 강의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268쪽 다국어 기반 세계시민 체험프로그램 사업입니다.
총예산액 7800만원입니다. 본 사업은 학교급별 체험형 외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인천형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사업으로 현재 인천 관내 중학생 대상 다국어 기반 세계시민 한마당 1기를 운영 중에 있으며 향후 초등학생 대상 2기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집행액은 아직 없습니다.
다음은 270쪽, 294쪽 진로진학 연계 다국어 프로그램 사업입니다.
예산액은 일반 1억 1900만원, 용역 1억 3100만원 총 2억 5000만원으로 이 중 일반 800만원, 용역 59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직업계고 학생 대상 기본 과정, 심화 과정, 해외 과정으로 연간 6가지 다국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중 해외 과정은 인천세계로배움학교, 글로벌 잡스쿨 해외 학교 연계 진로 직업 캠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274쪽 AI 외국어교육시스템 운영 사업입니다.
AI 기반 개별 맞춤형 외국어 학습 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사업으로 예산액은 8억 800만원이며 7억 62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AI 기반 영어, 중국어, 일본어 다독 프로그램과 AI 기반 영어 영상 더빙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시간과 장소 제약 없이 자신의 수준과 흥미에 맞는 맞춤형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281쪽, 299쪽 국제교류 프로그램 운영입니다.
언어 문화 기반 맞춤형 국제교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학생과 교원의 국제교류를 활성화하고 국제교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총예산액은 7억 600만원이며 일반 1억 3100만원, 용역 5억 7500만원입니다. 이 중 일반사업 900만원, 용역사업 72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286쪽 인천형 세계시민교육 운영 지원 사업입니다.
예산액은 8300만원으로 인천을 품고 세계로 나가는 주체적인 글로컬 인재 양성을 위한 사업입니다.
UN의 지속가능 발전 목표와 연계한 주제 중심 프로젝트 학습을 실천하는 프로그램으로 세계시민 프로젝트형 국제교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집행액은 아직 없습니다.
주요 현안 사항은 보고서 305쪽부터 315쪽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2025년 동아시아국제교육원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을 보고드렸습니다.
동아시아국제교육원은 인천 속 세계, 세계 속 인천의 다양한 교육 자원을 개발 및 활용하여 다국어 교육과 국제교류 사업을 내실 있게 추진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위원님들의 많은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참 조>
ㆍ동아시아국제교육원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서
(부록으로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