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입니다.
2025년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검토 결과를 보고드리겠습니다.
검토보고서 4쪽입니다.
2025년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총액은 5조 2915억 2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6%, 1844억 7200만원이 증액되었습니다.
검토보고서 5쪽과 6쪽입니다.
’25년도 세입예산안의 재원 구조는 특별교부금, 국고보조금 등 목적 지정 재원은 4797억 9600만원으로 전체 세입 예산액의 9%를 차지하고 있고, 자체 재량 사업을 편성할 수 있는 일반 재원인 보통교부금 등은 4조 8117억 3300만원으로 전체 세입 예산액의 91%를 차지하고 있지만 교직원 인건비인 2조 7621억 4385만원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자체사업 재원은 2조 495억 8915만원으로 전체 세입예산의 38.7%에 해당됩니다.
검토보고서 7쪽부터 34쪽까지 세입 검토 의견입니다.
’25년도 인천교육청 중앙정부 이전수입은 4조 886억 41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2.5%, 4549억 1400만원이 증가하여 총세입 예산액에서 77.3%를 차지합니다.
중앙정부 이전수입 중 보통교부금은 3조 7838억 18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4.9%, 4896억 4900만원이 증가하여 17개 시ㆍ도교육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6%로 전년 대비 0.6p% 증가하였습니다.
특별교부금은 교육활동보호지원 등 205개 사업에 782억 5800만원을 편성하여 전년 대비 51.4%, 265억 6300만원 증액되었으며 증액교부금은 고등학교 등의 무상교육 경비 부담에 관한 특례가 신설되며 신설된 항목으로 특례 조항이 ’24년 12월 31일까지 유효함에 따라 ’25년 본예산에는 미반영하였고 ’24년도 교과용 도서 정산분 10억원만 반영되었습니다.
’25년도 인천교육청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은 법정 이전수입 8488억 2900만원과 비법정 이전수입 1461억 6000만원이 전입되어 총 9949억 8900만원을 편성하여 전년 대비 1.7%, 169억 9900만원이 증가하였습니다.
’25년도 법정 이전수입은 전년 대비 0.9%, 74억 6200만원이 증가하였으며 비법정 이전수입은 전년 대비 7%, 95억 3700만원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물가 인상 등을 반영한 급식비 단가 인상으로 인천시, 군ㆍ구 부담분 80억 9100만원, 지방이양사무 지원사업 보전금 예산과목 신설에 따른 목 변경으로 28억 8900만원이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
’25년도 자체수입은 전년 대비 43.8%, 98억 8600만원이 증가한 324억 67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이는 기타 수입 중 이전연도 학교회계 전출금 반납금 수입 79억 5900만원과 ’23년 재정위기 경험을 바탕으로 보통교부금 및 법정 전입금 축소에 대비하여 자금 운용 방식을 변경하는 등 세입 증대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으로 이자수입 20억 8400만원이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
내부거래는 인천교육청에서 운영 중인 기금회계에서 전입되는 세입 재원으로 전년 대비 64.2%, 2693억 7300만원이 감소한 1500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34쪽부터 58쪽까지 세출 검토 의견입니다.
’25년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출 예산안은 5조 2915억 2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6%, 1844억 7200만원이 증액 편성되었습니다.
부문별-정책사업별 세출 예산안은 전년 대비 총 세출예산 예비비 증가율이 30%로 가장 증가율이 높았으며 교육복지 14.5%, 교수학습 활동 지원 13.2%, 인적자원 운용이 9.3%, 교육행정일반 6.5%, 평생교육 6.4%, 인건비 4.8%입니다.
예비비는 전년 대비 30%, 22억 1700만원이 증가한 95억 98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이 중 재해재난 목적 예비비는 20억원, 일반예비비는 75억 9800만원으로 일반예비비는 지방재정법 제43조에 따라 예산총액의 100분의 1 이내의 금액을 예산에 계상할 수 있으며 ’25년도 인천교육청 일반예비비 편성 비율은 총세출 예산액의 0.2% 편성되었습니다.
교육복지 정책사업은 늘봄학교 지원, 유아 누리과정, 저소득층, 다문화 및 북한이탈주민 등 자녀 지원과 무상교복, 학생성공버스 등 인천형 교육복지 제공을 위한 사업으로 전년 대비 14.5%, 486억 7900만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주요 증액 사업으로는 국정과제 국가교육책임제 강화로 교육격차 해소추진에 따른 방과후학교 및 늘봄학교사업, 교과용 도서 단가 인상 및 ’25년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따른 교과용 도서 무상 지원사업 등이 편성되었습니다.
교수학습활동 지원 정책사업은 초ㆍ중등교육의 실질적 교수학습 예산으로 교육과정 운영 등 14개의 단위사업에 전년 대비 13.2%, 494억 9400만원이 증가하였으며 주요 증액 사업으로는 교과교실운영 시설 및 기자재구축, 인천AI융합교육센터 구축, 진산과학고 창의융합교육동 증축, 노트북 단계적 보급사업, 디지털교과서 운영 및 활동 활성화, 디지털 기반교육 혁신 교원연수, 인천오션에코스쿨 조성 등이 편성되었습니다.
인적자원 운용 정책사업은 전년 대비 9.4%, 17억 5700만원이 증가하였으며 주요 증액 사유로는 찾아가는 교육활동 보호교실운영 확대, 지역교권보호위원회 신설,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 인건비 증액, 강화교육지원청 공동관사 운영비 증액 등에 따른 것입니다.
학교시설여건개선 정책사업은 학교 신증설 및 학교시설 확충 및 여건개선을 위한 예산으로 12개 정책사업 중 유일하게 감소한 사업으로 전년 대비 12%, 669억 600만원이 감소한 4908억 7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인건비 정책사업은 교원, 지방공무원, 교육공무직 등의 인건비 예산으로 교육비특별회계의 대표적인 경직성 경비로 전년 대비 4.8%, 1295억 2000만원이 증가한 2조 8294억 92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예산총액의 53.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관별 세출 예산안을 검토하면 전년 대비 시교육청은 6.9%, 3056억 3300만원이 증가한 4조 7207억 1300만원, 교육지원청은 19.6%, 1277억 6400만원이 감소한 5247억 4000만원, 직속기관은 20.9%, 64억 5500만원이 증가한 372억 6900만원, 공공도서관은 1.7%, 1억 4800만원 증가한 88억 7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시교육청 부서별 예산 증감 현황은 정보지원과, 학교설립과, 교육시설과의 예산 증가율이 높았으며, 학교ㆍ마을협력과, 감사관, 진로진학직업교육과는 전년 대비 감소율이 높았습니다.
교육지원청은 예산 감소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교육지원청 중심으로 운영되는 학교시설여건개선 사업의 감액이 컸기 때문입니다.
직속기관의 기관별 예산 증감 현황은 학생교육원, 평생학습관, 교육과학정보원, 학교지원단 순으로 예산 증가율이 높았으며, 난정평화교육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공공도서관은 전년 대비 1.7%, 1억 4800만원 증가한 88억 7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이는 전체 세출 예산액의 0.1%를 차지합니다.
독서문화교육 및 평생학습을 담당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또한 인천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만큼 재배정 예산조정 및 신규사업 발굴 등 세출예산의 적정 배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보고서 50쪽 신규 편성 주요사업입니다.
’25년도 세출예산 사업 중 기관별 1억원 이상 신규로 편성한 사업은 총 50개 사업이며 총예산액은 380억 5900만원입니다.
신규사업의 경우 사전에 충실한 사업계획 수립과 철저한 사업 관리가 필요하며 사업 완료 이후 성과평가를 실시하여 차년도 지속적인 예산편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검토보고서 58쪽 ’25년 성인지예산 검토입니다.
’25년 성인지예산 사업수는 양성평등정책 추진사업 4개, 성별영향평가사업 4개, 교육부 지정사업 18개, 자체선정사업 10개로 총 36개입니다.
전년도 예산과 비교하면 사업수는 34개에서 36개로 2개 증가하였고 예산 규모는 207억 7700만원이 증가한 1183억 8900만원입니다.
’25년도 성인지 예산서를 분석한 결과 일부 사업의 성평등 목표를 측정하기에 성과목표가 보수적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며 성별 격차 원인 분석 및 대책에 대하여 원인 파악이 불명확한 경우와 목표치 및 달성률이 저조하여 대책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검토보고서 61쪽 ’25년 성과계획서 검토입니다.
인천교육청은 ’25년도에 ‘학생중심교육, 한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 결대로 성장하는 교육’이라는 임무와 ‘학생성공시대를 여는 인천교육’이라는 비전을 설정하여 이와 연계된 5개의 전략목표, 21개의 성과목표, 39개의 단위과제를 설정하였습니다.
’25년도 예산액 대비 성과관리 대상 예산액 비율은 32.9%로 ’24년도보다 0.3%p 감소하였으며 예산액은 1조 7386억 2000만원입니다.
성과관리는 설정한 목표치를 달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목표 대비 과다한 실적이나 지나치게 과소 달성된 목표의 경우 분석을 통해 목표치 및 산출지표를 수정하는 등의 환류 과정이 수반되어야 실질적인 성과주의 예산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상으로 검토 보고를 마치며 세부 사항은 검토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 조>
ㆍ2025년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검토보고서
(부록으로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