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센터소장 이희중입니다.
지금부터 예산서를 중심으로 농업기술센터 소관 2025년도 일반회계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세입예산안입니다.
예산서 123쪽 세입예산은 전년도 26억 130만원 대비 2억 7444만 3000원 증액된 28억 7574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된 증액사유는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 등 국고보조금이 28억 2569만원으로 전년도 25억 5145만원 대비 2억 7424만원 증액되었기 때문입니다.
세부항목별 세입액은 농기계 임대수입 3720만원과 농기계 순회수리 부담금 35만원, 보통예금 및 공공예금 이자수입 100만원, 상자텃밭 보급사업 자부담금 1150만원 등 세외수입 5005만원을 반영하였으며 국고보조금 및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 등 28억 2569만 3000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안입니다.
예산서 864쪽부터 887쪽의 세출예산은 전년도 예산액 96억 7267만원보다 2억 41만원 2.1% 증액된 98억 730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출예산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864쪽의 꿀벌소실대응 뒤엉벌 대체 화분매개기술 시범, 고온기 화훼류 고품질 안정생산을 위한 온도저감기술, 드론용 비산저감 AI노즐 및 분무장치 신기술 시범과 865쪽의 극한폭염 대비 온열질환 예방기술 시범,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식물활용 시범, 미래세대 대상 키드키드팜 조성 및 농촌체험 콘텐츠 적용시범 등 6개 사업 7억 5950만원은 농업 신기술 보급을 위한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민간자본보조금입니다.
865쪽부터 866쪽까지의 신기술 보급지원사업비 5억 2750만원은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기후 적응형 벼 안정생산 재배단지 조성 시범 등 10개 사업에 대한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및 국비보조금입니다.
866쪽부터 867쪽까지의 종합분석관리실 운영 직접예산 2480만원과 지원예산 4150만원은 종합분석관리실 운영을 위한 국비지원 인건비와 일반운영비 및 강화, 옹진군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67쪽의 가축분뇨 부숙도 측정예산 200만원은 가축분뇨 부숙도 측정을 위한 재료비입니다.
867쪽부터 868쪽의 과학영농현장 서비스 강화 직접예산 1억 90만 7000원과 지원예산 7억 6675만원은 친환경농업관리관 운영을 위한 인건비, 일반운영비, 재료비 및 자산취득비와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벼 병해충 긴급방재 지원사업, 고소득 시설 원예 특화작목 육성 지원사업 및 농기계 수리비 보조사업 등 7개 사업에 대한 시비보조금입니다.
868쪽부터 869쪽의 농작물 병해충 방제비 직접예산 8382만원과 지원예산 2억 3983만 8000원은 농작물 병해충 방제를 위한 일반운영비 및 재료비와 강화ㆍ옹진군 및 남동구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69쪽의 병해충 예찰포 진단실 운영예산 1080만원은 병해충 예찰포 진단실 운영을 위하여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69쪽부터 870쪽의 병해충 관찰포 운영 직접예산 90만원과 지원예산 108만원은 병해충 관찰포 운영을 위한 재료비와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70쪽의 영농부산물 안전처리 지원예산 8400만원은 영농부산물의 안전처리를 위하여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70쪽의 농업경영능력 향상 예산 1200만원은 우수농산물 브랜드화 시범사업을 위한 민간자본보조금입니다.
870쪽부터 871쪽의 농업인대학 직접예산 1200만원과 지원예산 1200만원은 농업인대학 교육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재료비 및 일반보전금과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71쪽의 농업기술 전문교육 직접예산 1400만원과 지원예산 2100만원은 농업기술 전문교육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와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71쪽부터 872쪽의 지도공무원 전문능력 향상 지원예산 360만원은 지도공무원의 전문능력 향상 지원을 위한 여비입니다.
872쪽의 현장기술지도 활동 지원예산 200만원은 농업산학협동심의회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입니다.
872쪽의 신규농업인 기초영농기술교육 직접예산 3700만원과 지원예산 1125만원은 귀농ㆍ귀촌교육 등 신규 농업인 기초영농기술교육을 위한 일반운영비 및 재료비와 강화군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72쪽의 우리 쌀ㆍ밀 이용 소비촉진 기술교육 직접예산 642만원과 지원예산 328만 5000원은 우리 쌀ㆍ밀의 이용과 소비촉진 기술교육을 위한 일반운영비 및 재료비와 강화군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73쪽의 농업인학습단체 교육운영 지원예산 300만원은 농업인학습단체 교육운영 지원을 위한 일반운영비입니다.
873쪽의 농업인 전문기술교육 예산 2344만원은 농업인 전문기술교육 운영을 위한 인건비입니다.
873쪽부터 874쪽의 농업기계교육 직접예산 600만원과 지원예산 1560만원은 농기계 안전교육의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및 재료비와 농업기계 교육을 위하여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74쪽의 농기계 순회교육 예산 3700만원은 농기계 순회수리 차량 유지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와 농기계 순회수리용 부품 및 공구를 구입하기 위한 재료비입니다.
874쪽의 농기계 수리비 보조 사업예산 1억 6860만원은 농기계 수리 운영물품 구입을 위한 일반운영비와 농기계 수리비 부품대금 보조를 위한 일반보전금입니다.
874쪽부터 875쪽의 농기계 임대사업 운영 예산 1억 6604만원은 농기계 임대사업 운영을 위한 인건비 및 일반운영비, 임대농기계 운송비 보조를 위한 일반보전금 및 임대사업 농기계의 구입과 수선을 위한 자산취득비와 시설비 및 부대비입니다.
875쪽부터 876쪽의 농촌지도 지원예산 4억 6380만원은 농업기술센터 운영 및 청사유지를 위한 일반운영비, 업무추진비 및 공기관 등에 대한 경상적 위탁사업비입니다.
875쪽부터 876쪽의 농촌 지도기반 조성지원 예산 13억 7500만원은 농업기술센터 청사 및 부속시설 환경개선과 농기계 교육장 조성 및 유용미생물 배양시설 유지 등을 위해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입니다.
876쪽의 지역활력화작목 기반조성 예산 6600만원은 지역활력화작목 기반조성을 위하여 친환경 병해충 종합방제 시범사업 등 3개 사업의 추진을 위한 민간자본보조금입니다.
876쪽의 농업농촌 프로그램 현장확산 기술지원 예산 1억 1000만원은 로컬푸드활용 식생활체험 프로그램 및 농촌교육농장 연계 채험을 위한 일반운영비와 재료비입니다.
876쪽부터 877쪽의 농식품 가공교육관 운영예산 3494만원은 농식품 가공교육관 운영을 위한 인건비와 농산물 가공교육을 위한 일반운영비 및 재료비입니다.
877쪽의 농촌교육농장 육성예산 1500만원은 신규 농촌 교육농장 조성을 위한 민간자본보조금입니다.
877쪽의 농촌체험 교육농장 품질향상 지원 예산 620만원은 농촌교육농장 역량강화 등 전문인력의 육성과 홍보물 제작을 위한 일반운영비입니다.
877쪽의 지역농산물 활용, 식생활체험 프로그램 예산 1000만원은 로컬푸드 활용 식생활체험 프로그램 및 농촌 교육농장 연계체험을 위한 민간경상보조금입니다.
877쪽의 생활과학실 운영 예산 800만원은 생활과학실 운영 및 우리 농산물 활용교육을 위한 일반운영비와 재료비입니다.
877쪽부터 878쪽의 치유농업센터 구축 예산 5억원은 인천 치유농업의 체계적인 확산을 위한 치유농업센터 구축 2년차 사업인 치유온실 및 치유텃밭 조성 등의 일반운영비, 시설비 및 부대비와 자산취득비입니다.
878쪽부터 879쪽의 농산물 소득조사 분석 직접예산 240만원과 지원예산 570만원은 농산물 소득조사 분석을 위한 일반운영비 및 일반보전금과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79쪽의 지역특화 농업기술 정보화 인력지원 직접예산 1000만원과 지원예산 800만원은 농업기술 정보화를 위한 인건비와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국비보조금입니다.
879쪽의 농촌지도자 육성 예산 500만원은 농촌지도자 회원의 교육 및 행사운영과 활동지원을 위한 일반운영비와 일반보전금 및 민간경상보조금입니다.
879쪽부터 880쪽의 생활개선회 육성 예산 1985만원은 생활개선회 회원의 과제교육 운영과 활동지원을 위한 일반운영비와 재료비 및 일반보전금과 민간경상보조금입니다.
880쪽의 4-H회 육성 예산 1300만원은 학생 및 청년4-H회 교육과 행사를 운영하고 청년4-H회 및 학교4-H회 지도교사의 활동지원을 위해 일반운영비와 재료비 및 일반보전금과 민간경상보조금입니다.
880쪽부터 881쪽의 농업기술보급 예산 6억 4070만원은 농촌지도사업평가회 및 품목별농업인연구회 육성을 위한 일반운영비와 드론활용 벼 생력화 시범 및 신소득 작목 육성 시범 등 6개 사업의 추진을 위한 민간자본보조금입니다.
881쪽의 농업기술보급 지원 예산 4억 6470만원은 식량작물 활성화 시범 및 벼 생력재배 무인보트 활용시범 등 5개 사업의 추진을 위해 강화ㆍ옹진군에 이전하는 시비보조금입니다.
881쪽의 시민교육활성화 예산 1억 2688만원은 시민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시민과 함께하는 전시체험행사 및 농업홍보관, 전통문화체험교육관 등 시민교육장의 운영을 위한 인건비, 일반운영비, 재료비와 시설비 및 부대비입니다.
881쪽부터 882쪽의 도시농업 기반시설 운영예산 2억 3656만원은 농업기술센터 내 도시농업체험포와 치유정원 등 도시농업 기반시설의 운영을 위한 인건비와 일반운영비 및 재료비입니다.
882쪽의 도시농업 기술지원 직접예산 1억 2000만원과 지원예산 2555만 5000원은 상자텃밭 보급사업과 복지형 텃밭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및 재료비와 도시농업교육 운영과 도시농업활성화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중구ㆍ미추홀구ㆍ부평구에 이전하는 시비보조금입니다.
882쪽부터 883쪽의 도시농업 활성화 예산 1억 4109만원은 찾아가는 도시농업교육 등 5개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한 인건비와 일반운영비 및 재료비 및 일반보전금입니다.
883쪽의 치유농업 육성지원 예산 1억 1024만원은 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과 치유농장 육성지원 등 치유농업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인건비와 일반운영비 및 재료비 입니다.
883쪽부터 884쪽의 치유농업 기반시설 운영 예산 6206만원은 치유정원과 치유농업센터의 운영을 위한 인건비와 일반운영비 및 재료비입니다.
884쪽부터 887쪽의 행정운영경비 30억 8698만 5000원은 인건비와 기본경비 등 농업기술센터 운영을 위한 법정경비입니다.
이상으로 농업기술센터 2025년도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아무쪼록 농업기술센터에서 추진하는 모든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존경하는 김유곤 산업경제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