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 한윤섭입니다.
2025년도 환경국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검토보고서 1쪽부터 7쪽까지 예산안 규모는…….
(산업경제수석전문위원, 관계관과 검토 중)
미래산업국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검토보고서 1쪽부터 7쪽까지 예산안 규모는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검토보고서 8쪽 검토의견입니다.
2025년도 미래산업국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은 일반회계 규모를 살펴보면 세입예산안은 2024년도 당초 예산액 2154억 3722만 1000원 대비 56.16%인 1209억 7883만 6000원이 감액된 944억 5838만 5000원이며 세출예산안은 2024년도 당초 예산액 3867억 3825만 4000원 대비 36.31%인 1404억 3853만 1000원이 감액된 2462억 9972만 3000원입니다.
기타특별회계 규모를 살펴보면 세입예산안은 2024년도 당초 예산액 244억 5000만원 대비 29.71%인 72억 6400만원이 감액된 171억 8600만원이며 세출예산안은 2024년도 당초 예산액 259억 5000만원 대비 33.77%인 87억 6400만원이 감액된 171억 8600만원입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총 944억 5838만 5000원으로 예산안 114쪽과 115쪽 산업정책과는 전년 대비 42.41% 감액한 22억 6159만 5000원을 세입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신규 사업으로 중소기업 장애인 일자리 사업 10억원을 기금수입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9쪽입니다.
예산안 115쪽 반도체바이오과는 전년 대비 동일한 17억 5000만원을 세입예산으로 편성하였으며 로봇랜드 로봇산업진흥시설 임대수입 17억 5000만원을 전년 대비 동일하게 편성 요구하였습니다.
예산안 115쪽 산업입지과는 전년 대비 순증한 94억 8000만원을 세입예산으로 신규 및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안ㆍ부평산단 통합관제센터 구축, 부평ㆍ주안 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 인천기계ㆍ지방산업단지 재생사업을 국고보조금 등으로 신규 및 증액 편성하였는데 사업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남동산단 복합문화센터 구축, 부평ㆍ주안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을 지방채로 편성하였는데 지방채로 편성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10쪽입니다.
예산안 116쪽 에너지산업과는 전년 대비 61.4% 감액한 809억 6679만원을 세입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신규사업으로 탄소포집용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 20억 1000만원을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으로 편성하였는데 사업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주요 증감사업으로 국고보조사업인 취약계층 에너지복지사업, 수소전기자동차 구입비 보조, 전기자동차 및 이륜자동차 보급사업 등은 전년도 대비 30% 이상 감액 편성되었는데 친환경자동차 보급사업과 관련하여 차질이 없는지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1쪽입니다.
기타특별회계 세입예산안은 171억 8600만원으로 예산안 1439쪽 산업입지과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입예산은 전년 대비 21.73% 증액한 83억 8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남동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은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안 1440쪽 에너지산업과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발전소주변개발계정 전입금 87억 6100만원을 감액 편성하였는데 감액 편성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2쪽 세출예산입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총 2462억 9972만 3000원으로 예산안 774쪽에서 782쪽까지 산업정책과는 전년 대비 1.52% 감액한 674억 4073만 5000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신규사업으로 중소기업 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 10억원, 산업혁신기반 구축 12억원을 편성하였는데 본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주요 증감내역으로 인천기업경영지원센터 운영 20억원, 뿌리산업 핵심 희소금속원료 시생산 및 품질인증 기반 구축 3억 5000만원, 지식재산 기반 디지털 혁신성장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2억 7757만 4000원이 감액되었습니다.
다만 감액 규모가 50% 이상인 사업으로 향후 추진에 문제점은 없는지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13쪽입니다.
예산안 783쪽과 784쪽 창업벤처과는 전년 대비 9.68% 증액한 54억 8547만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신규 사업으로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5억원이 편성되었는데 사업내용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주요 증감내역으로 인천 대학주도형 청년창업플랫폼 운영 9500만원,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지원사업에 5000만원을 각각 증액 편성하였는데 사업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14쪽입니다.
예산안 785쪽에서 787쪽까지 데이터산업과는 전년 대비 17.83% 증액한 90억 7232만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신규사업으로 바이오 AIoT 물류플랫폼 개발사업으로 2억 3750만원, 반도체 소자용 CMP 부품의 AI자율제조 기반 생산공정 및 시스템 개발사업 5억 3000만원을 편성하였는데 사업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예산안 788쪽에서 791쪽까지 반도체바이오과는 전년 대비 1.42% 증액한 153억 8907만 6000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신규 사업으로 인천-경기바이오특화단지 사무국 설치ㆍ운영 1억 5000만원, 바이오기업 해외진출 지원사업 6억원, 산업혁신 인재성장 지원사업 1억원,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사업 4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15쪽입니다.
주요 증감사업으로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이 1억원 감액되었고 인천반도체포럼 운영 지원사업이 1억원 증액되었는데 증액과 감액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예산안 792쪽에서 794쪽까지 산업입지과는 전년 대비 91.20% 증액한 192억 4935만 3000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신규사업으로 인천광역시 노후산업단지 구조고도화 계획수립 용역으로 1억 600만원, 주안ㆍ부평산단 스마트제조 고급인력 양성사업 3억원, 주안ㆍ부평산단 통합관제센터 구축 33억 5000만원, 인천기계ㆍ지방산업단지 재생사업 10억원, 남동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 사후환경 영향조사 용역 3억 10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16쪽입니다.
주요 증감사업으로 남동산단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사업이 6억원 감액되었고 남동산단 복합문화센터 구축 및 관리, 남동산단 복합문화센터 구축, 부평ㆍ주안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이 각각 3억 3000만원, 31억 6200만원, 40억원이 증액 편성하였는데 감액 및 증액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17쪽입니다.
예산안 796쪽에서 802쪽까지 에너지산업과는 전년 대비 53.74% 감액한 1296억 6276만 9000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신규사업으로 제6차 지역에너지 계획수립 1억 5000만원, 지역에너지 절약사업으로 4억원, 스마트 가로등디밍 원격제어시스템 3억 1500만원, 연수구보건소 흡수식 냉온수기 교체 1억 4000만원을 편성하였는데 본 사업은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제고를 위한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보급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에너지 절약효과는 어느 정도이고 향후 지속적인 확대 필요성이 있는지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수소경제활성화 및 수소대중교통 모빌리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1억원, 탄소포집용 수소생산기지 구축 26억 1000만원을 편성하고 친환경 전기승합차 보급을 위해 전기승합차 민간 보급사업 34억 40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18쪽입니다.
주요 증액사업으로 지역에너지 절약사업으로 전년 대비 78.39% 증액한 30억 1120만원, IoT 보안 등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구축으로 전년 대비 50% 증액한 2억 1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만 2025년도 전기자동차 등 관련 사업비와 수소버스 관련 사업비가 감액된바 친환경 자동차 사업 방향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19쪽입니다.
그 밖의 미래산업국 2024년 대비 전액 삭감사업으로 산업정책과 1개, 창업벤처과 2개, 반도체바이오과 2개, 산업입지과 4개, 에너지산업과 7개 등 총 16개 사업 131억 150만원 삭감하였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검토보고서 21쪽입니다.
기타특별회계 세출예산안은 171억 8600만원으로 예산안 1449쪽 산업입지과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는 전년 대비 21.73% 증액한 83억 8600만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산업입지과에서 산업시설 환경개선사업은 전년 대비 50% 증액한 15억원, 남동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은 전년 대비 371.64% 증액한 68억 8600만원을 편성하였는데 증액 사유에 대한 자체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예산안 1450쪽 에너지산업과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는 전년 대비 49.89% 감액한 88억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군도71호선 보행자도로 개선사업 등 총 13개 사업에 88억원을 신규 편성하였는데 사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22쪽 계속비 사업입니다.
예산안 1480쪽 창업벤처과 창업생태계 조성사업은 연도별 지출액이 반영되고 산업입지과 부평ㆍ주안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 인천기계ㆍ지방산업단지 재생사업 등 2개 사업은 신규로 편성되었는데 신규 편성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배부해 드린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 조>
ㆍ2025년도 미래산업국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검토보고서
(부록으로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