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 한윤섭입니다.
2025년도 경제산업본부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검토보고드리겠습니다.
검토보고서 1쪽부터 9쪽까지 예산안 규모는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검토보고서 10쪽 검토의견입니다.
2025년도 경제산업본부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은 일반회계 규모를 살펴보면 세입예산안은 2024년도 당초 예산액 2435억 6471만 1000원 대비 47.98%인 1168억 5098만 5000원이 감액된 1267억 1372만 6000원이며 세출예산안은 2024년 당초 예산액 4184억 3019만 4000원 대비 11.06%인 462억 8159만 2000원이 증액된 4647억 1178만 6000원입니다.
기타특별회계의 세입과 세출예산안은 2024년도 당초 예산액 232억 8088만 7000원 대비 32.51%인 75억 6891만 2000원이 감액된 157억 1197만 5000원입니다.
다음은 세입예산입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총 1267억 1372만 6000원으로 예산안 111쪽 경제정책과는 세입예산으로 전년 대비 10.67% 감액한 78억 2189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 감액사업으로는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으로 전년 대비 9억 617만 9000원 감액한 67억 2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11쪽입니다.
예산안 111쪽 소상공인 정책과는 세입예산으로 전년 대비 120.39% 증액한 43억 2215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 증감사업으로는 국고보조금 수입인 상권 르네상스사업을 감액하고 전통시장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 설치사업을 신규편성하여 23억 6105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사회적경제과는 세입예산으로 전년 대비 62% 감액한 414억 60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예산안 112쪽 주요 감액사업으로 국고보조사업인 마을기업 육성사업 등이 전년 대비 25억 2000만원 감액된 6500만원을 편성하였는데 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12쪽입니다.
또한 예탁금 및 예수금 수입으로 지역사랑상품권 지원사업이 전년 대비 654억원 감액된 400억원을 편성하였는데 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노동정책과는 세입예산으로 전년 대비 1293.46% 증액한 38억 2155만 5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 증액 원인으로 부담금인 검단복합문화센터 건립부지 토양정화비 20억원과 예산안 113쪽 지방채 증권인 가좌복합문화센터 건립 13억 2300만원이 증액된 사항으로 사료됩니다.
농축산과는 세입예산으로 전년 대비 49.29% 감액한 57억 9910만 7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 감액사업으로 정부양곡 관리비사업 등 32개 사업은 국고보조금 수입으로 전년 대비 21억 9791만 4000원을 감액한 231억 4389만원을 편성하였고 기본형 공익직불금 사업 등 19개 사업은 기금수입으로 전년 대비 24억 7619만 6000원을 감액한 342억 3405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검토보고서 13쪽입니다.
예산안 1423쪽부터 1441쪽까지 기타특별회계 세입예산안은 157억 1197만 5000원으로 예산안 1428쪽 소상공인정책과 지하도상가특별회계 세입은 전년 대비 27.01% 증액한 105억 1848만 9000원을 편성하여 지하도상가 임대 수수료수입, 임대료수입, 공공예금 이자수입, 순세계잉여금, 통합관리기금, 예탁금 원금 회수 및 이자수입으로 편성되었습니다.
지하도상가 임대료 수입과 관련하여 경기침체로 휴업, 폐업, 공실 증가로 세입 감소가 우려되는데도 불구하고 27.48%를 증액한 바 상가 활성화 및 세입관리에 철저를 기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됩니다.
예산안 1433쪽부터 1457쪽까지 소상공인정책과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입은 전년 대비 65.38% 감액한 57억 9348만 6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 일반회계 전입금, 정부기금 등으로 편성 요구하였으며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은 전통시장 주차환경 개선사업에 투입될 재원으로 전년 대비 72억 3300만원 감액된 바 감액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15쪽 세출예산입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총 4184억 3019만 4000원으로 예산안 725쪽 경제정책과는 전년 대비 2.9% 감액한 193억 7934만 6000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신규사업으로 예산안 727쪽 인천 일자리플랫폼 구축 ISP 수립용역 1억원과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 운영 지원 2억 8500만원은 신규편성하였는데 사업내용과 신규편성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또한 주요 증액사업으로 착한가격업소 활성화 지원사업이 전년 대비 84.56% 증액되었는데 증액된 사유에 대한 설명도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16쪽입니다.
예산안 731쪽 소상공인정책과는 전년 대비 1.61% 증액한 432억 9692만 9000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으며 주요 신규사업으로 전통시장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은 전통시장 점포별 분전반 전기화재예방 IoT 센서 설치 등 초기 대응을 통한 전방위적 통합 화재관제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38억원이 신규편성되었습니다.
주요 증감사업으로 예산안 732쪽 전통시장 화재 대비 신속한 복구 지원 및 온전한 보상체계 마련을 위한 전통시장 화재공제 가입 지원사업은 74.9% 감액되었는데 감액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며 소공인 밀집지역 화재알림시설 설치 지원사업은 125.34%가 증액되었는데 소공인 사업장의 안전성 확보 및 화재예방을 위하여 대상을 확대한 것으로 사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17쪽입니다.
예산안 736쪽 사회적경제과는 전년 대비 31.14% 증액한 1958억 3001만 1000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으며 주요 감액사업으로 예산안 737쪽 마을기업 육성사업은 사업규모 축소로 전년 대비 45.83% 감액된 9750만원, 예산안 739쪽 인천e음 부가서비스 운영사업은 67.57% 감액된 1억 2000만원을 편성하였는데 큰 폭으로 감액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예산안 739쪽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사업의 경우 각 기금으로부터 예수금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데 2025년도 세입예산안에는 시ㆍ도 지역개발기금 예수금이 400억원으로 세출예산안 1054억원보다 645억원이 적게 편성되었으며 예수금 원리금 상환비용으로 839억 1778만 9000원을 세출로 편성하였는데 재정적 부담은 없는지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18쪽입니다.
예산안 741쪽 노동정책과는 전년 대비 28.76% 감소한 99억 5438만 6000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으며 주요 신규사업으로 예산안 743쪽 가좌 근로자복합문화센터 운영사업 13억 9500만원은 근로자 및 시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해 편성하였고 주요 증감사업으로 북부 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위탁 대행비가 전년 대비 169.32% 증액된 1억 5620만 5000원, 근로자 임대아파트 운영대행사업비는 관리범위 축소로 전년 대비 42.94% 감액한 9654만 8000원, 가좌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비는 전년 대비 58% 감액한 13억 2300만원을 각각 편성한 것으로 가좌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의 공정률 등 추진상황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19쪽입니다.
예산안 746쪽 농축산과는 전년 대비 1.89% 증가한 1828억 6021만 9000원을 세출 예산으로 편성하였으며 주요 신규사업으로 예산안 749쪽 농촌 일손부족 문제 완화 및 해소를 위한 농촌고용인력 지원사업에 1억 8000만원, 예산안 755쪽 친환경 농업기반 구축사업으로 42억 1670만원, 예산안 757쪽 인천 농축산물유통공사 설립 타당성 검토 용역사업으로 2억원, 예산안 758쪽 배수 개선사업으로 20억원, 예산안 772쪽 개사육 농장주 전폐업 지원사업으로 14억 3910만원, 개식용 도축업자 전ㆍ폐업 지원사업으로 3억 1850만원을 편성한 것으로 신규 편성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20쪽 주요 증감사업입니다.
주요 증감내역을 살펴보면 예산안 748쪽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사업은 지원대상이 2024년 116명에서 2025년 129명으로 증가하였는데 청년농업인 정주율 등 영농정착 현황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이며 또한 전략 작물 직접 지불사업의 경우 논 재배 면적에 대한 조정을 통해 밭작물 재배면적을 확대하여 농가소득을 증대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사업비가 전년도 대비 92.79% 증액한 4억 100만원의 사업비를 편성요구하였는데 사업비 증액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21쪽입니다.
예산안 914쪽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는 전년 대비 2.42% 증가한 86억 5826만 4000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하였으며 주요 신규사업으로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 판매ㆍ물류동 기능보강공사로 4억 4224만 3000원을 편성한 사항으로 사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예산안 918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는 전년 대비 1.98% 증가한 47억 3263만 1000원을 세출예산으로 편성한바 일반운영비 기본경비 증가분이 반영된 것으로 사료됩니다.
검토보고서 22쪽입니다.
그 외에 경제산업본부 2024년 대비 전액삭감된 주요사업을 살펴보면 사회적 기업 일자리 창출 사업과 이동노동자 간이쉼터 설치사업은 국비 미교부 및 군ㆍ구의 공모 미참여로 전액삭감이 되었는데 사회적 약자에 대한 특별한 보호가 더욱 필요한 시점에서 문제점은 없는지 설명이 필요해 보이며, 공유경제자치구 공모사업과 농식품 소비정책 강화사업은 사업 중단으로 전액삭감된 것으로 사업 중단사유는 무엇인지 설명이 필요하며, 무기질비료 가격 보조 및 수급안정 지원사업은 무기질비료 가격상승 둔화로 사업시행 여부가 결정되지 않아 전액삭감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24쪽입니다.
기타특별회계 세출예산안은 157억 1197만 5000원으로 예산안 1429쪽 지하도상가특별회계 세출예산은 전년 대비 27.01% 증액한 105억 1848만 9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예산안 1430쪽 소상공인정책과 지하도상가 위탁관리비는 전년 대비 40.53% 증액한 95억 7806만 7000원, 입점상인들의 관리비 일부를 지원하는 민간위탁금은 전년 대비 35.21% 감액한 9억 2000만원, 예비비는 전년 대비 62.51%를 감액한 1542만 2000원으로 편성요구하였습니다.
다만 지하도상가 시설물 유지보수 등에 소요되는 지하도상가 위탁관리비의 경우 경상적 경비로 보여지는데 40% 이상 감액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예산안 1447쪽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출예산은 전년 대비 65.38% 감액한 51억 9348만 6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소상공인 정책과 신규사업으로 예산안 1448쪽 가스안전시설 설치사업은 1억 5300만원, 기타 안전시설 설치사업 382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안 1147쪽 전통시장 경영 현대화를 위한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사업은 전년 대비 50% 감액한 2억 5000만원, 주차환경 개선사업은 전액삭감하였습니다.
전통시장 주차환경 개선사업은 군ㆍ구의 공모 미참여로 미편성되었는데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꼭 필요한 사업비라 판단되는데 감액에 따른 전통시장 활성화에는 차질이 없는지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검토보고서 26쪽 계속비사업입니다.
예산안 1480쪽 검단ㆍ가좌 복합문화센터 건립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시설 현대화사업, 유기동물입양센터 설치 지원 등 4개 사업이 연도별 투자계획 및 총사업비가 변경되었는데 변경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참고자료인 예산안 주요 증감사업 현황 등 기타 자세한 내용은 배부해 드린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 조>
ㆍ2025년도 경제산업본부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검토보고서
(부록으로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