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사업본부장 이응길입니다.
지금부터 2023년도 수도사업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제안설명 올리겠습니다.
먼저 2023년도 예산편성 주요 변경사항으로 현행 품목별 예산제도에서 일반회계 편성구조와 같이 성과 중심의 사업별 예산제도로 개편하였습니다.
2024년 본격 시행에 앞서 2024년도 본예산부터 시범적으로 추진되었으며 보다 능률적이고 효율적인 재정운용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보완ㆍ수정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소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널리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2023년도 주요 예산편성 방향으로 세입 부분은 코로나19 일상회복에 따라 지역상권 회복 등 내년도 수돗물 사용량 증가를 기대하였으나 최근 고금리ㆍ고물가 등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로 사용료수입이 2022년 수준으로 예상됨에 따라 부족한 투자사업 재원 마련을 위해 올해와 같이 지역개발기금을 차입하여 운용할 계획입니다.
상수도 공급체계 확충을 위해 진행 중인 영종 해저송수관로 건설, 용유지역 등 배수지 건설,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 등의 차질 없는 추진과 안전하고 깨끗한 생산ㆍ공급환경 조성을 위해 고도정수처리시설 건설, 노후수도관 정비사업, 정수장 시설 개량 등을 지속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배부해 드린 사항별설명서를 토대로 예산안을 설명 올리겠습니다.
먼저 사항별설명서 5쪽 예산 총괄표입니다.
2023년도 예산규모는 우측 상단 예산 총계와 같이 총 3722억 7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0.5%인 16억 61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왼쪽 상단 사업수입은 전년 대비 163억 3400만원이 감액된 2442억 4300만원이며 중앙에 자본적 수입은 전년 대비 179억 9500만원이 증액된 1280억 26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왼쪽 하단 세출예산입니다.
사업비용은 전년 대비 152억 2900만원이 증액된 2500억 2100만원이며 자본적 지출은 전년 대비 135억 6800만원이 감액된 1222억 4800만원입니다.
다음은 세입ㆍ세출 주요 반영사항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사항별설명서 11쪽부터 14쪽까지는 수익적 수입에 관한 사항으로 11쪽 영업수익은 전년 대비 1억 2700만원이 감액된 2342억 8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사용료수익은 전년도 수준에서 코로나19 일상회복에 따라 가정용과 일반용 비율을 조정ㆍ편성하였으며 급배수공사수입은 ’22년 대단위 급수신청분을 조정하여 17억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13쪽 영업외수익은 상수도 공금예금 등 예치금 감소에 따른 이자수입과 올해 지원된 일반회계 전입금 150억원, 국가지원사업 종료에 따른 국고보조금 감액분 등을 반영하여 전년 대비 162억 600만원이 감액된 99억 60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15쪽 수익적 지출에 관한 사항입니다.
17쪽부터 75쪽까지는 경영관리부 소관사항으로 17쪽 경영관리부 사업예산은 전년 대비 9억 9600만원이 증액된 834억 3300만원이며 상수도 근무 일반직 및 기타직 보수 등 인력운영비 증가분 21억원, 74쪽 지역개발기금 추가차입에 따른 이자상환액 증가분 8억원 등이 반영된 사항입니다.
그 외 공무원 교육훈련비와 청사 공공운영비 등 행정운영경비를 반영하였습니다.
76쪽부터 87쪽까지는 수질안전부 소관사항으로 85쪽 5년마다 시행하는 법적 의무 기술진단을 위한 수산정수장 기술진단 용역비로 6억 5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하단에 풍납 및 팔당 원수 구입비로 전년 대비 23억 2300만원 증액된 602억 5100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영흥면, 남동구 운연동, 강화지역의 수돗물 공급을 위한 정수 구입비는 1억 2300만원이 증액된 14억 87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급수부 소관사항으로 89쪽 5년마다 수립하는 수도정비계획 수립 및 상수도 관망 기술진단 용역비 20억원과 90쪽 수운영관리 분석시스템의 유지관리 무상기간 종료에 따라 유지관리비 2억 7100만원을 신규로 편성하였습니다.
93쪽 원인자부담금 관련 소송에 따른 변호사 수임료 및 소송료 7억원과 94쪽 행정소송에 따른 배상금 45억원을 반영하여 전년 대비 총 69억 26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95쪽 시설부 소관사항으로 풍납취수장, 성산ㆍ임학가압장과 4개 정수장 동력비로 전기요금 인상분 10억원이 증액된 172억원을 편성하였으며 95쪽 하단의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지원사업은 마을상수도 비상급수시설 임차료와 관리대상 시설물 증가에 따른 유지관리비 증가분을 반영하여 6억 700만원이 증액된 31억 7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0쪽부터 123쪽은 맑은물연구소와 수도시설관리소 소관사항으로 105쪽 연구용 재료비, 각종 시험장비 유지비, 연구개발비 등 수질관리 강화를 위한 사업비 5억 9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16쪽 수도시설관리소 공동구 유지관리 부담금 등 자치단체장 이전비용 31억 200만원과 117쪽 교체 및 신설용 수도미터 구입비로 28억 1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18쪽 누수 복구공사비로 6억 8500만원이 증액된 33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24쪽부터 197쪽까지는 부평정수사업소 등 4개 정수장 소관사항으로 먼저 138쪽 부평정수사업소 시설물 안전관리와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정밀안전진단 및 에너지 진단 용역비 5억 4200만원과 139쪽 유충 발생 방지를 위한 위생관리용품 구입비 1억 35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155쪽 남동정수사업소 정수 처리 및 슬러지 처리약품 구입비로 5억원이 증액된 14억 700만원, 168쪽 공촌정수사업소 기계ㆍ전기ㆍ정수시설물 수선유지비로 1억원이 증액된 8억 14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90쪽 수산정수사업소 정수 수질관리 강화를 위한 재료비, 약품비, 시험연구비 등으로 3억원이 증액된 22억 14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공통사항으로는 각 기관별 일반운영비, 공공요금 등 필수경비를 반영하였습니다.
198쪽부터 300쪽까지는 중부수도사업소를 포함한 5개 지역 수도사업소 소관사항으로 214쪽 중부수도사업소 누수 수리공사 및 누수 탐사장비 유지비로 2억원이 증액된 19억 7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26쪽 남동부수도사업소 상수도 시설물 개ㆍ보수 공사비로 3억원이 증액된 22억 26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233쪽 신설공사비는 전년 대비 24억이 감액편성되었는데 이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대단위 급수공사 신청에 따라 2022년 일시적 증가분의 조정사항이 되겠습니다.
250쪽 북부수도사업소 상수도 시설물 개ㆍ보수 공사비로 1억원이 증액된 14억 2900만원, 276쪽 서부수도사업소 누수 수리비로 3억원이 증액된 9억 86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297쪽 강화수도사업소 누수 수리비, 상수도관 세척공사 등 수선유지비로 5억원이 증액된 9억 5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 외의 수도사업소 예산은 매년 반복적으로 소요되는 시설물 유지비와 일반운영비 등 필수소요경비를 반영하여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01쪽 자본예산입니다.
305쪽 유형자산 처분은 부평동, 계산동 운휴부지 매각수입을 반영하여 전년 대비 13억원이 증액된 23억 1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하단에 시ㆍ도 지역개발기금 장기차입금은 진행 중인 대규모 공사와 필수투자사업비 부족분 충당을 위해 전년 대비 134억 9600만원 증액된 566억 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06쪽 자본잉여금수입은 전년 대비 78억 2400만원 감액된 482억 4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 중 국고보조금은 강화군 노후상수도 정비사업 등 40억 30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하단의 타회계건설보조금수입은 수산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건설공사비 등 207억 4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07쪽 공사 부담금수입은 수도급수 신설 신청자와 사업시행자에게 부과하는 원인자부담금으로 234억 2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전년 대비 179억원이 증가된 사유는 상수도 원인자부담금 징수 조례 개정에 따라 당초 시설분담금에서 세입과목이 변경된 사항입니다.
자본잉여금수입의 주요 감액요인은 정수장 등 위생관리 개선사업 종료에 따른 보조금 56억원과 수산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공사의 연차별 투자계획에 따른 보조금 56억원이 감액편성된 사유입니다.
308쪽 순세계잉여금은 ’22년도 예산의 수입, 지출, 이월금 추계에 따라 176억 2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09쪽 자본적 지출 사항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11쪽 경영관리부 소관사항으로 스마트 원격수도검침 구축사업에 따른 통신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구입비 등 자산취득비 13억원을 편성하였으며 312쪽 효율적인 자재관리를 위한 통합자재창고 건립 시설비 및 부대비 37억 9400만원, 통합자재관리 전산시스템 구축비 6억 8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14쪽 수질안전부 소관사항으로 국비보조사업인 정수장 소형생물 대응체계 구축사업으로 1억 35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전년 대비 시설비가 186억 감액편성된 사유는 정수장 위생관리 개선사업 종료에 따른 사업비 감소분 187억원을 반영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315쪽 각종 노후된 행정장비 교체 구입비 등 자산취득비 2억 22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16쪽 급수부 소관사항으로 보조사업인 상수도 GIS정보 수정ㆍ갱신사업비로 전년 대비 10억원이 감액된 12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17쪽부터 323쪽까지는 시설부 소관사항으로 전년 대비 63억 2800만원이 증액된 601억 4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17쪽 저수능력 확충을 위한 배수지 건설사업비로 26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검암역세권과 경서2지구의 안정적인 급수체계 구축을 위한 검암배수지 건설공사는 2025년까지 총 220억원이 소요되며 이 중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비 12억 5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18쪽 영종도 해저송수관로 건설공사는 계속비사업으로서 공정 및 연차별 투자계획에 따라 ’23년도 사업비 260억 6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19쪽 수산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건설공사는 ’23년부터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지원사업에서 지방이양사업으로 전환되어 시비 72억 6200만원을 포함한 103억 7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하단의 강화군 노후상수도 정비사업은 계속비사업으로 국비 50%를 포함하여 12억 8000만원이 증액된 79억 8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20쪽 하단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은 전년 대비 34억 6200만원 증액된 131억 26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323쪽 도서지역 소규모 수도시설 개량사업은 전년 대비 1억원이 감액된 12억 37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24쪽 맑은물연구소는 노후된 공정별 유기물질 측정시스템 대체구입비 등 자산취득비 3억 5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26쪽부터 328쪽까지는 수도시설관리소 소관사항으로 326쪽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배수지 메쉬필터 설치 등 배수지ㆍ가압장 시설물 정비비로 5억원이 증액된 18억 64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327쪽 노후관 교체공사와 블록 정비공사비 등 노후수도관 정비사업비로 40억 7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29쪽에서 345쪽까지는 부평정수사업소 등 4개 정수사업소 소관 자본예산으로 334쪽 부평정수사업소 고도정수처리시설 입상활성탄 교체주기 도래에 따른 1정수 입상활성탄 교체공사비 22억 3000만원, 337쪽 남동정수사업소 노후된 제어케이블과 기기 교체를 위한 여과지 조작대 개선공사 6억 2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39쪽 공촌정수사업소 노후응집기 설비 제작구매 설치공사 4억 5000만원, 345쪽 수산정수사업소 탈수기 벨트프레스 교체공사 8억원을 편성하였으며 공통사항으로 각 기관별 정수장 운영에 필요한 자산취득비와 노후시설 개량을 위한 사업비를 편성하였습니다.
346쪽에서 364쪽까지는 중부수도사업소 등 5개 수도사업소의 자본적 지출 사업비로 346쪽 중부수도사업소 고지대 수용가의 불출수 해소를 위해 송학동과 운남동 2개소의 무인가압장 신설공사비 5억 45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347쪽 중구, 동구, 미추홀구 노후관 교체공사와 블록시스템 정비공사 55억 8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49쪽 남동부수도사업소 영흥도 미개발지역 등 상수관로 미부설구간 급수공급을 위한 급배수관 부설공사비 13억 8200만원과 350쪽 남동구ㆍ연수구 노후관 교체공사와 블록시스템 정비, 관 세척공사 등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관로 및 블록 정비사업비 49억 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54쪽 북부수도사업소 고지대 주민의 안정적 수돗물 공급을 위한 가압장 시설교체비 2억 6000만원, 355쪽 계양구ㆍ부평구 노후관 교체공사와 문제관로 정비를 위한 블록시스템 정비공사비 43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58쪽 서부수도사업소 블록시스템 정비, 상수도관 세척공사 및 노후관 교체공사 등 관로 및 블록 정비사업비 37억 47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1쪽 강화수도사업소 급배수관 부설공사비 75억원과 급배수관 부설공사에 따른 2차 포장 복구공사비 30억원을 편성하였으며 362쪽 내가배수지, 길상배수지 비탈면 개선 및 보수공사비 1억원을 신규로 편성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보고드린 바와 같이 상수도사업본부 수도사업특별회계 2023년도 예산안은 고물가ㆍ고환율 지속으로 인한 각종 자재, 약품비 및 전기료, 유류비 등의 인상에 따라 내년에도 영업비용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으로 어려운 재정여건을 감안하여 사무관리비 등 행정운영경비 증액을 최대한 억제하였으며 추진 중인 사업의 마무리에 중점을 두고 맑은 물 공급과 생활민원 해결을 위한 필수사업비 위주로 편성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상수도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협조해 주실 것을 당부드리며 이상으로 2023년도 수도사업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