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청 차장 이상범입니다.
경제자유구역청 소관 2023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은 기 배부해 드린 사항별설명서를 중심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사항별설명서 3쪽 2023년 일반 및 특별회계 예산규모입니다.
일반회계는 전액 인건비 부담금으로 정원 7명 증가분을 반영해서 2022년 예산액 340억 3334만원 대비 5.3%인 17억 9739만원이 증가한 358억 3073만원입니다.
2023년도 특별회계 예산안 규모는 2022년도 예산액 1조 1875억 7857만원 대비 10.2% 1207억 7576만원이 감소한 1조 668억 281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쪽 2023년도 경제자유구역사업특별회계 예산안 수입ㆍ지출 총괄내역입니다.
수입은 사업수익 1040억원, 자본수입 167억원이 감소하였고 지출은 사업지출 331억원이 증가, 자본지출은 1538억원이 감소하여 2022년 당초예산 대비 1207억 7576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9쪽부터 수익적 수입 목별 주요예산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1쪽 택지판매수입은 2022년도 2980억 5366만원 대비 1098억 2275만원이 감소한 1882억 3090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주요 감소사유는 부동산 경기 경색에 따른 신규매각의 축소, ’23년도 일반회계 유상이관 재산 토지대금 800억원의 선납에 따른 것입니다.
다음은 12쪽 용지임대수입은 송도 미매각 용지에 대한 임대수입으로 42억 6300만원을 편성하였고 기타사용료수익은 아트센터인천 콘서트홀ㆍ다목적홀 대관료로 2억 457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기타수수료수입은 강화된 대기환경보전법 기준 준수를 위해서 송도자원순환센터 하수슬러지 건조설비 개선으로 2022년보다 감소한 37억 3691만원으로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12쪽 하단부터 14쪽 상단까지 기타영업수입입니다.
코로나19 방역 완화에 따라 증가되는 송도컨벤시아, 트라이보울 운영수입 등 수입을 반영하여 2022년보다 증가한 148억 992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4쪽 영업외수익으로 예금 이자수입은 공공자금에 대한 시금고 이자 56억 6200만원을 편성하였고 예탁금 이자수입은 송도컨벤시아 2단계 BTL 채무상환, 2024년도 경제자유구역사업 적립금에 대한 이자로 102억 3871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계속해서 기타이자수입은 경제자유구역사업을 위한 단기적립금 시금고 예치 이자수입 등 75억 44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15쪽 국고보조금수입으로 경제자유구역청 운영비 지원 6억 500만원, 외국교육연구기관 유치지원 20억 4000만원, 인천글로벌캠퍼스 산학협력 활성화 지원 3억원을 계상하여 29억 4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6쪽 기타임대수입은 임대료 산정변수인 공시지가 상승분을 반영해서 26억 9170만원을 편성하였고 임대관리수입은 G타워, 아트센터인천 입주시설의 증가로 14억 8081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변상금 및 위약금수입은 도로 법면부 국공유재산 무단점유 변상금 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7쪽부터 20쪽까지 기타영업외수입은 인천글로벌캠퍼스 시설물 운영수입 등 영업활동 외에 발생하는 기타수입으로 244억 693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1쪽 자본적 수입입니다.
23쪽 예탁금 원금 회수수입은 ’23년도 컨벤시아 2단계 BTL 채무상환을 위한 예탁금 117억 900만원을 회수하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 23쪽 하단부터 25쪽 상단까지 자본적 투자사업에 대한 국고보조금은 송도컨벤시아 2단계 BTL 임대료 49억 4300만원,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 42억 700만원, 송도11-1공구 기반시설 공사 57억 7700만원 등 199억 4229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25쪽 중단 기타자본잉여금수입은 ’22년도 잉여재원은 시금고로 예치한 후 ’23년도 경제자유구역사업을 위해서 원금을 회수하는 사항으로 5570억원을 편성하였고 순세계잉여금은 과년도 추계를 반영하여 500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6쪽 기타미수금은 과년도 수입 5억 3800만원을 반영하였고 기타자본적수입은 제3연륙교 건설을 위한 LH, 인천도시공사 부담금 1612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27쪽 수익적 지출예산입니다.
부서별 주요예산을 중심으로 직제순에 따라서 편성내역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29쪽과 30쪽 도시디자인단은 경관위원회, 경관아카데미 관련 사업비 9440만원, 부서 행정운영경비 844만원을 계상해서 1억 28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1쪽부터 32쪽 중대재해관리단은 의무실 운영, 안전보건 관련 사업비 4102만원, 부서 행정운영경비 844만원을 계상해서 494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기획정책과는 36쪽 하단 산업부 글로벌 신산업 거점 육성사업으로 경제자유구역 혁신생태계 조성 시비 매칭에 3억원, 41쪽 예측하지 못한 지출 등에 대비한 사업, 재해ㆍ재난 예비비 140억원 등 211억 871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42쪽부터 52쪽 미디어문화과 예산은 45쪽 하단과 상단에 있는 방송ㆍ인쇄ㆍ인터넷 등 IFEZ 홍보 광고료로 62억 8000만원, 48쪽 IFEZ 문화공연 트라이보울 임차료 및 운영비 32억 811만원, 48쪽부터 59쪽까지 마이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송도컨벤시아 운영 및 경원재 앰배서더호텔 위탁사업비 229억 8574만원 등 348억 489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계속해서 53쪽부터 68쪽 운영지원과 예산은 58쪽 하단부터 61쪽까지의 G타워 수선ㆍ청소ㆍ조경 등 유지관리비와 65쪽 중단의 경제청 직원 인건비 부담금 358억 3073만원 등 439억 683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스마트시티과 69쪽부터 74쪽까지는 IFEZ 스마트시티 운영을 위한 사업비 77억 9896만원, 73쪽의 인천스타트업파크 운영관리 공기관위탁사업비 103억 400만원 등 194억 873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5쪽부터 84쪽 아트센터인천운영과는 기획ㆍ초청공연비, 공연 홍보비, 아트센터 운영을 위한 유지관리비 등 83억 851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5쪽부터 93쪽까지 투자유치기획과 예산입니다.
89쪽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출연금 및 공기관위탁사업비 205억 6377만원, 90쪽 하단에 있는 외국인 친화도시 조성 등 정주지원사업비 5억 354만원 등 해서 239억 191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94쪽부터 96쪽 서비스산업유치과는 94쪽 외국교육연구기관 유치지원사업으로 스탠퍼드연구소, 한국뉴욕주립대 FIT 운영지원비 40억 8000만원과 95쪽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지원 4억 3717만원 등 51억 577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97쪽부터 99쪽까지 바이오신산업과는 97쪽 하단의 바이오인재 육성 및 저변 확대를 위한 청소년 바이오아카데미 행사비 2억 5000만원, 98쪽 하단의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운영비 10억원 등 13억 911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00쪽부터 102쪽까지 개발계획총괄과 예산입니다.
송도 NSIC, SLC 사업시행자와의 개발이익 산정을 위한 재무회계 용역 1억원 등 1억 543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03쪽부터 107쪽 송도기반과 예산은 104쪽 하단의 송도 도시기반시설 유지관리비 49억 8459만원, 106쪽 연수구도서관, 청소년수련관 건립부담금 53억 5800만원 등 116억 702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08쪽부터 111쪽 도시건축과 예산은 공동구 사용 유지관리 위탁사업비 46억 2816만원 등 50억 7983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 112쪽부터 119쪽 환경녹지과는 115쪽 중단의 공원 14개소 공원ㆍ녹지 유지관리비 139억원, 116쪽 중단의 생활폐기물 등 처리를 위한 송도자원순환센터 운영관리비 128억원 등 428억 1441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20쪽부터 122쪽 영종청라계획과 예산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20쪽 코로나19 단계별 일상회복에 따른 이용객 증가로 ’22년보다 손실보전 비용이 감소한 공항철도 영종역사 운영손실비는 10억 1131만원, LH에서 부담하는 청라 신교통(GRT) 운영비는 44억 2435만원 등 55억 279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 영종관리과 예산 123쪽부터 128쪽이 되겠습니다.
125쪽 하단 영종국제도시 씨사이드파크 외 2개 공원에 대한 관리 및 홍보사업비로 60억 8900만원, 126쪽 하늘문화센터 스포츠센터 및 복지시설 운영비로 32억 3326만원 등 95억 663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청라관리과입니다.
129쪽부터 132쪽 청라호수공원 외 9개의 공원관리비로 95억 3426만원 등 총 113억 976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영종청라기반과 예산은 134쪽 하단의 지역주민 복리증진을 위한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으로 71억 653만원, 135쪽 하단과 136쪽의 영종ㆍ청라 도시기반시설 관리비로 106억 617만원 등 188억 701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39쪽부터 자본적 지출 투자사업으로 부서 직제순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41쪽 중대재해관리단은 의무실 운영을 위한 의료장비 구입비 1443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42쪽 기획정책과는 2023년 잉여재원을 ’24년 경제자유구역을 위한 적립금으로 1896억 9781만원 등 1962억 81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43쪽과 144쪽 미디어문화과 예산으로 송도컨벤시아 2단계 BTL사업 임대료 123억원, 경원재 한옥호텔 환경개선사업으로 3억 8000만원 등 130억 3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45쪽부터 146쪽 운영지원과 예산은 사무공간 재배치, 노후시설 개선을 위한 G타워 환경개선공사로 10억 2187만원 등 21억 41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계속해서 147쪽부터 149쪽까지 스마트시티과 예산으로 송도11공구 스마트시티 관로 구축공사로 20억원, 148쪽 하단 발전된 교통 및 안전 분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기반 서비스 1단계 구축공사비로 67억원 등 102억 874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50쪽 아트센터인천운영과 예산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난간대 보강공사비로 2억 8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51쪽부터 153쪽까지 투자유치기획과 예산입니다.
151쪽 하단부터 152쪽까지 글로벌캠퍼스 기계설비 유지보수, 학생기숙사 증축 등 162억원 또한 인천글로벌캠퍼스 교수아파트 증축 공기관위탁사업비로 56억원 등 181억 463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54쪽부터 157쪽 바이오신산업과는 바이오ㆍ로봇 등 신산업 육성을 위한 예산으로 K-바이오 랩허브 건축설계비 66억 9900만원, 커넥티드카 소재부품인증평가센터 및 로봇실증지원센터 건립사업으로 248억 4700만원,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건립으로 60억원 등 315억 4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58쪽부터 161쪽까지 개발계획총괄과 예산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58쪽과 159쪽 워터프런트 1-2단계 공사 및 2단계 설계를 위한 사업비 705억 2900만원, 161쪽 인천내항 등 경제자유구역 추가지정을 위한 사업비 62억원 등 724억 9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62쪽부터 168쪽 송도기반과 예산은 162쪽 하단부터 163쪽 투자유치 용지 공급 등 2025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11-1공구 기반시설 건설공사로 896억원을 편성하였고 168쪽 6ㆍ8공구 광2-14호선 외 15개소에 건설공사비로 238억원 등 1313억 9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69쪽 도시건축과 예산은 종이 없는 친환경건축위원회 심의를 위한 노트북 구입비 18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70쪽부터 183쪽 환경녹지과 예산은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공원 조성사업이 주요예산으로 171쪽 2024년 입주 예정인 6공구 공동주택 주변에 랜드마크시티 13호 근린공원 조성공사로 107억원, 175쪽 하단부터 176쪽 송도 워터프런트 호수 주변 랜드마크시티 3호 수변공원 조성공사로 40억원, 179쪽 송도하수처리수재이용시설 염분 제거 설비공사로 31억원 등 407억 846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84쪽부터 190쪽 영종청라계획과 예산입니다.
184쪽 영종 동측 개발 촉진 및 미단시티 연결도로인 영종해안순환도로 개설공사로 133억원, 185쪽 하단부터 188쪽까지 영종 교통환경 개선을 위한 경제자유구역 연결도로 보조 등 중구에 대한 보조금 57억 4000만원, 189쪽 하단 청라 투자유치 촉진 및 개발사업 활성화를 위한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사업비 686억원 등 970억 7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91쪽부터 193쪽 영종관리과 예산은 영종공원 소규모 정비사업비 5억 360만원 등 12억 123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94쪽부터 196쪽까지 청라관리과는 청라호수공원 정비를 주요사업으로 195쪽 하단부터 196쪽 청라호수공원 테마원 조성 6억 378만원, 청라호수공원 힐링트랙 정비사업 19억원, 청라호수공원 환상의숲 놀이터 리모델링 5억 360만원 등 84억 6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97쪽부터 204쪽 영종청라기반과 예산은 197쪽 영종과 청라를 연결하는 제3연륙교 건설공사비 1612억원, 201쪽 하단부터 202쪽 레저ㆍ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영종ㆍ청라ㆍ북도권역 300리 자전거 이음길 조성사업비로 59억 2000만원 등 1801억 738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계속비사업조서 변경사항입니다.
2023년 본예산안에서 변동되는 계속비사업은 29건이며 총사업비, 집행계획 등 계속비 변경 21건과 신규사업 8건이 있습니다.
다음 213쪽 중요자산의 취득 및 처분계획입니다.
개발사업비 조달을 위해서 산업용지와 청라의료복합타운 용지를 매각하고 로봇실증지원센터 포함 3건의 건물을 신규ㆍ변경 취득할 계획입니다.
다음 217쪽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경제청 소관 일반회계 예산은 경제자유구역사업특별회계와의 내부거래 예산입니다.
219쪽 세입예산은 경제청 직원 인건비로 358억 3073만원을, 세출예산으로는 경비를 동일하게 세출예산에 편성하였습니다.
직원 인건비 편성 세부내역은 유인물로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경제자유구역 소관 2023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