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후정책과장 김세헌입니다.
2023년도 환경국 소관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예산서를 중심으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의 세입ㆍ세출 총괄현황을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총 557억 4416만원으로 2022년 대비 85억 6599만원을 증액편성하였고 세출예산은 2022년 대비 233억 8796만원이 증액된 총 1549억 415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에 대한 세부증감내역은 부서별 예산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15쪽 환경기후정책과는 2022년 예산 대비 46억 4371만원이 증액된 151억 885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생태계보전부담금 및 환경개선부담금 부과 대상 감소로 징수교부금수입 5억 5000만원을 감액하였으며 국제기구 관련 부담금수입의 GCF 사무국 추가 사무공간 조성 등으로 44억 8324만원을 증액하였으며 환경교육도시 선정으로 신규 국고보조사업 편성 등 국고보조금 6억 5285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116쪽 생활환경과는 2억 8071만원이 증액된 15억 9536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내역은 자동차 등 탄소포인트제 운영사업과 신규 국고보조사업인 탄소중립 생활 실천 선도사업 국고보조금 2억 8071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117쪽 대기보전과는 4억 2618만원이 증액된 285억 9178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주요내역은 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사업 및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과 신규 국고보조사업인 가스열펌프 냉난방기 개조지원사업 국고보조금 4억 2618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117쪽 수질환경과는 32억 1537만원이 증액된 103억 6842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수질자동측정기기 설치ㆍ운영 지원사업 등에 국고보조금 32억 1417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으로 797쪽부터 829쪽 세출예산을 부서별 주요내역을 중심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797쪽 환경기후정책과는 2022년 예산 대비 53억 314만원이 증액된 224억 763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GCF 사무국 추가 사무공간 조성 등 녹색기후 관련 국제기구 협력 및 지원사업 96억 9456만원, 설치규모 증가로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프로그램 18억 8850만원,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사업 4억 125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환경교육도시 운영 4억원,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 17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07쪽 생활환경과입니다.
예산액은 35억 2135만원으로 2022년 예산 대비 1억 665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기후변화 대응 협력체계 구축사업으로 인천희망의숲 조성 3억원, 탄소포인트제 운영 6억 9300만원, 슬레이트 처리지원 11억 5200만원, 권역형 환경보건센터 운영지원 3억원을 편성하였으며 탄소중립 생활실천 선도사업 1억 5000만원, 화학물질 안전관리 기본계획 연구용역 1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812쪽 대기보전과입니다.
예산액은 548억 8054만원으로 2022년 예산 대비 58억 907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설치지원사업 20억 688만원, 소규모 영세사업장 방지시설 지원사업 167억 240만원, 체감환경개선에 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사업 등 51억 8246만원,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257억 104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가스열펌프 냉난방비 제조지원 4억 740만원, 스마트 광역 미세먼지ㆍ악취종합관제센터 구축 14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822쪽 수질환경과입니다.
예산액은 596억 4006만원으로 2022년 예산 대비 146억 5384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동락천ㆍ교산천ㆍ운연천 수해상습지 개선사업 119억 3100만원,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50억 4000만원, 전환사업인 수산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건설공사 72억 6250만원, 도서지역의 안정적인 생활용수 공급을 위해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 118억 89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장수천 하천 정비사업 10억원, 수질자동측정기기 설치비 지원 1억 2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829쪽 하수과입니다.
예산액은 총 114억 2325만원으로 전년 대비 22억 7144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가좌분뇨통합처리시설 위탁운영비 125억 5962만원을 편성하였고 인천광역시 분뇨수집ㆍ운반수수료 원가분석 용역 5000만원과 공공하수처리시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비 17억 2603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3년도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고 이어서 2023년도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기타특별회계 세입예산은 총 108억 1831만원으로 2022년 대비 8억 9319만원을 감액편성하였고 세출예산은 2022년 대비 3130만원이 증액된 총 142억 481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부증감내역은 회계별 예산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입니다.
환경국 소관 세출예산 주요내역은 부서별 예산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1287쪽 대기보전과는 도로먼지 제거 청소용역에 10억 9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288쪽 수질환경과는 심곡천 보행환경 개선사업 1억 6000만원, 공촌천 보행환경 개선사업 18억원, 서구 검단천 비점오염저감사업 3억 3650만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299쪽부터 1308쪽 수질개선특별회계입니다.
예산액은 세입과 세출예산이 동일하게 총 73억 2722만원으로 전년도 예산액 대비 13억 8385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세입예산은 한강수계관리기금 지원사업비와 상하류 협력지원사업비, 순세계잉여금 등을 반영한 사항이며 세출예산 주요내역은 상하류 협력지원사업 중 한강하구 환경기초조사 연구용역비 5억원,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12억 3500만원을 편성하고 나진포천 생태정화습지 조성사업 5억 98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309쪽부터 1318쪽까지 공공폐수처리시설특별회계입니다.
예산액은 세입과 세출예산이 동일하게 전년도 예산액 대비 4억 9065만원을 증액한 총 34억 910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입예산은 검단 뷰티풀파크 산업단지 입주업체의 시설재투자적립금 등이며 세출예산 주요내역은 검단공공폐수처리시설 운영관리비 2697만원, I-FOOD Park 공공폐수처리시설 운영관리비 11억 8607만원, 노후시설 긴급보수 및 교체 등에 92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예비비 15억 5741만원이 증액된 21억 8603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환경국 소관 2023년도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의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2023년도 본예산 편성방안은 어려운 시 재정여건 속에서도 탄소중립 실현을 선도하고 시민과 밀접한 생활환경 개선에 역점을 두고 당면 현안사업 추진을 위한 최선의 예산편성이 되도록 노력하였습니다.
본 예산안이 원안대로 가결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