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산의 규모 등 주요내용은 유인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세입결산입니다.
교통건설국 일반회계 세입징수율은 99.2%이며 특별회계 세입징수율은 80.7%로 이는 2021년도 인천광역시 기타특별회계 평균 징수율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2021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결산 결과 미수납액은 9.8%인 693억 3700만원이며 주요내용으로 도로점용료, 교통유발부담금,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태료 등이며 그 내역은 다음의 도표와 같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과징금, 부담금, 환수금 또는 과태료를 체납하였을 경우 관계법의 규정사항(가산금, 독촉, 압류 등 체납처분 절차, 관허사업 제한) 및 체납분을 징수하기 위하여 실제 집행부에서 추진하는 사항 등에 대하여 전반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또한 체납징수는 납세자의 권리와 의무에 관계되는 침해적 행정행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관련법에서 체납처분 절차 등을 규정하고 있으나 체납분을 징수함에 있어 집행부에서 판단하는 애로사항 추적관리를 위한 인력부족, 군ㆍ구 위임에 따른 권한의 문제, 군ㆍ구와 협조 필요사항, 기타 건의사항 등 적용에 있어 현실적인 문제점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인천시 재정건전화를 위해 체납관리 효율성 제고 및 안정적인 지방재정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체납징수 방안을 함께 강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은 일반회계 세출결산이 되겠습니다.
예산현액 8344억 9300만원의 90%인 7511억 6300만원을 집행하였으며 이월액의 경우는 750억 1400만원이며 보조금 반납액은 7억 7300만원, 집행잔액은 75억 4300만원으로 0.9%입니다.
설명서 23쪽의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사업은 환경부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대책에 따라 쾌적한 도시철도 이용환경 조성을 위해 환기설비 개선 및 차량공기정화 설비 설치 등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사업으로 예산현액 93억 3800만원 전액 집행하였으며 사업 전ㆍ후에 초미세먼지 측정결과 모니터링 등 사업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설명서 23쪽의 인천교통공사 운영 지원은 인천도시철도 1ㆍ2호선 운영비 지원 및 무임손실 지원, 지하철 노후시설과 장비 교체, 도시철도 7호선 위탁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예산현액 917억 58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향후 경상적 경비 절감 및 무임운송에 따른 국비 지원 건의 등 운영비 최소화를 위한 재정여건 개선대책 마련이 요구됩니다.
설명서 25쪽 수도권 통합환승제 시행은 인천 시내버스와 수도권 대중교통수단 간 통합환승제 시행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활성화 및 시민들의 교통편익 제공을 위해 59개 버스업체와 4개 철도기관에 대한 운수업계보조금으로 368억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철저한 사후 정산 및 검증을 통해 투명한 예산집행이 이루어지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설명서 25쪽 광역알뜰교통카드 연계 마일리지 지원사업은 교통비 절감 등 대중교통 이용활성화를 위해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후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사업으로 18억 80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금년 7월 말 기준 마일리지 가입자는 약 3만 6000명으로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은 20에서 30대가 가입자의 7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 알뜰교통카드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합니다.
설명서 29쪽 준공영제 재정 지원은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편의 증진 및 이용활성화를 위해 33개사 182개 노선의 버스 1903대에 대한 지원으로 예산현액 2181억 1200만원을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향후 대중교통 서비스의 안정적 공급 및 재정 지원의 투명성 확보 등 준공영제 효율성 제고를 위한 건전한 재정운용계획 수립이 요구됩니다.
설명서 30쪽의 쾌적한 버스정류장 환경개선사업은 시민들의 편리하고 안전한 버스 이용을 위해 버스승강장(쉘터) 473개소, 버스 승하차유도표시 35개소, 표준디자인 버스표지판을 309개소에 설치하여 68억 8800만원을 집행하였으며 버스승강장 및 편의시설물 설치를 위해 8개 구에 보조금 15억 7600만원과 버스승강장 유지관리를 위해 인천교통공사에 위탁사업비로 26억 38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시민의 버스 이용편의 제공과 쾌적한 버스정류장 환경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 효율적인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설명서 45쪽의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운영 17억 2500만원, 버스정보관리시스템 운영 24억 8700만원, 46쪽 교통안전시설 운영관리 21억 4400만원, 교통신호시설 유지관리 31억원을 집행하였으며 신뢰성 있는 교통정보 제공과 도로교통의 안전 확보를 위해 교통정보수집장치 및 교통신호제어시스템 등의 원활한 운영ㆍ관리가 요구됩니다.
설명서 51쪽 능안삼거리~인천여상 간 도로개설은 수인선 숭의역~신포역 구간의 지상철도 유휴부지에 도로를 개설하여 항만 물류차량 교통 분산과 지ㆍ정체 완화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자 시행하는 사업으로 예산현액 1억 30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공동주택 인근에 화물차가 다니는 우회도로가 개설될 경우 주민들의 반발이 우려되므로 설계단계에서 충분히 의견을 수렴하여 공사시행 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 세출결산입니다.
예산현액 860억 5300만원 중 182억 5000만원을 집행하였고 이월액은 예산현액 대비 78.8%인 677억 8200만원이고 집행잔액은 2100만원이 되겠습니다.
주요사업으로는 설명서 75쪽 루원시티 주차장1 외 3개소에 공영주차장 조성으로 110억 2500만원을 집행하였고 안전한 도로환경 및 도시미관 개선을 위해 77쪽 드림로 환경개선사업에 5억원, 왕길동 산16-1번지 낙석방지시설 보수공사에 4억 7000만원, 서구 검단 구획정리사업 구역 보도정비공사에 5억원 등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도시교통사업특별회계 세출결산입니다.
예산현액 697억 2900만원 중 639억 9400만원을 집행하였고 이월액은 예산현액 대비 4.2%인 29억 4900만원이고 보조금 반납액은 2억 7300만원, 집행잔액은 3.6%인 25억 1300만원입니다.
주요사업으로는 설명서 98쪽과 99쪽의 안전한 통학로 조성을 위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에 37억 8200만원을 집행하였고 설명서 111쪽의 버스이용 편의시설 증진 및 대중교통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버스정보관리시스템 구축사업으로 31억 21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광역교통시설특별회계 세출결산입니다.
예산현액 940억 2100만원 중 561억 5700만원을 집행하였고 이월액은 예산현액 대비 6.6%인 62억원이며 집행잔액은 316억 6400만원으로 33.7%입니다.
주요사업으로는 설명서 122쪽 광역교통시설부담금 국고귀속으로 징수액의 40%인 127억 3300만원, 2021년도 통합관리기금 예탁금으로 360억원을 집행하였고 123쪽 검단산단 버스공영차고지 조성사업으로 55억 5100만원, 인천시 노선 경유 구간의 노후정류장 시설 개선을 위한 광역버스 회차 및 환승시설 시범사업으로 15억 3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도시철도사업특별회계 세출결산입니다.
예산현액 326억 4800만원 중 집행잔액 2500원을 제외한 전액을 집행하였으며 주요내역은 인천도시철도 1호선 송도연장 건설사업 부채 상환 지원 및 인천도시철도 2호선 건설공사 재원 확보를 위해 시 기금으로부터 차입한 원금 및 이자상환 등입니다.
다음은 도시개발특별회계 세출결산입니다.
예산현액 98억 1100만원 중 17억 3600만원을 집행하였으며 이월액은 예산현액 대비 82.3%인 80억 7500만원입니다.
주요사업으로는 설명서 140쪽의 동춘1ㆍ2구역 개발사업 간 도로망 구축 및 지역 균형발전 도모를 위한 소암마을~대건고교 간 도로개설공사에 14억 9000만원을 집행하였으며 도로 병목현상으로 인한 상습 정체구간에 대한 도로구조 개선을 위한 계속비사업으로 건설기술교육원 앞 도로확장에 2억 47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출결산입니다.
예산현액 816억 1100만원 중 393억 2500만원을 집행하였으며 이월액은 예산현액 대비 51.8%인 422억 5500만원이고 보조금 반납금은 1700만원, 집행잔액은 0.02%인 1400만원입니다.
주요사업으로는 설명서 152쪽의 신트리공원 외 11개소 공영주차장 조성에 166억 3600만원, 주택가 담장을 허물고 내 집 주차장 등을 조성하여 주차난 해소 및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으로 Green Parking 개별사업에 3억 1300만원, 부설주차장 개방 지원사업에 1억 4800만원을 집행하였으며 부설주차장 개방과 관련하여 주민들과 공유실태 등에 대하여 사후평가 및 관리 등을 위한 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밖에 설명서 153쪽 농업기술센터 이전부지 공영주차장 확충을 위해 13억 5500만원, 156쪽 도로개설사업 재원 확보를 위해 시 기금으로부터 차입한 원금 및 이자상환에 따른 예수금 원리금상환으로 11억 10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예비비 지출현황입니다.
지출결정액 41억원 중 39억 4400만원을 지출하였으며 지출잔액은 1억 5600만원입니다.
주요내역은 설명서 69쪽 코로나19 장기화로 소득이 급감한 전세버스 운수종사자의 생계 및 고용안정을 위한 긴급 생활안정자금으로 1인당 100만원을 지원하여 16억 2300만원을 집행하였고 법인택시 운수종사자에게 1인당 50만원을 지원하여 23억 21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예산이월 현황입니다.
예산이월은 예산현액 3517억 3100만원 중 1363억 7000만원을 집행하고 예산현액 대비 57.5%인 2022억 7500만원을 이월하여 집행잔액은 130억 8600만원입니다.
이 중 일반회계는 예산현액 1640억 3500만원 중 858억 6800만원을 집행하고 750억 1400만원을 이월하여 집행잔액은 31억 5300만원입니다.
주요내역은 설명서 27쪽의 중ㆍ동구 일원 자전거도로 조성사업 3억원, 35쪽 월곶~판교 복선전철 건설사업 2억 9000만원, 51쪽 북항로 확장사업 5억 7100만원, 남항 대1-10호선 도로개설 3500만원, 도시간선도로망 타당성평가 용역 4200만원, 52쪽 제2영흥대교 건설사업 13억원, 58쪽의 인천도시계획시설 정비용역 1억원이 전액 이월되었습니다.
특별회계는 예산현액 1876억 9600만원 중 505억 200만원을 집행하고 1272억 6100만원을 이월하여 집행잔액은 99억 3300만원입니다.
주요내역은 76~77쪽 드림로~원당대로 간 도로개설 등 지방도 및 기타도로 건설 6개 사업은 보상협의 지연, 착공시기 미도래 등으로 665억 4800만원의 계속비이월이 발생되었으며 설명서 123쪽 계양권역 버스공영차고지 조성사업 35억 100만원, 152~153쪽의 계산택지4 등 4개 공영주차장 확충사업으로 232억 9900만원, 155쪽의 봉수대길 왕길사거리 지하차도 건설 59억 4600만원의 계속비이월이 발생하였습니다.
예산이월이 불필요하게 반복되지 않도록 사업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일정관리와 예산편성을 철저히 하고 연내 집행가능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로 이월액 최소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음은 예산이체 현황입니다.
설명서 63쪽, 80쪽의 예산이체는 인천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에 따른 업무 이관으로 일반회계 8억 500만원과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 5억원 등 총 13억 500만원이 도로과에서 교통정책과로 이체되었습니다.
다음은 예산변경 현황입니다.
설명서 70쪽, 82쪽의 예산변경은 인천발 KTX 직결사업 착공식 개최 등 총 6건에 대하여 일반회계 6억 4500만원이 예산변경되었으며 건설사업관리용역 추진을 위한 감리비 부족분 등 총 2건에 대하여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 14억 3100만원이 변경되었습니다.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21회계연도 교통건설국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 검토보고서